$\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보철의 기능별 환자 만족도 연구
Patient satisfaction study by function of implant prosthesis 원문보기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 JTD, v.42 no.3, 2020년, pp.262 - 271  

이혜은 (경동대학교 치기공학과) ,  문학룡 (경동대학교 치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patient satisfaction and dental services by examining the satisfaction of implant patients who have become important customers of dental treatment due to the increased demand for implants and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본 연구는 임플란트 환자의 시술 후 환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것으로 치과 병ㆍ의원의 임플란트 시술 환자의 만족도 재고와 치과의료서비스 향상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임플란트 시술 성과뿐 아니라 철저한 환자의 의견평가, 반영 아래 구강보건 행태 개선과 발전을 지향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 본 연구는 임플란트 수요 증가로 치과 치료의 중요 고객으로 자리 잡은 임플란트 환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파악해 환자 만족도 향상과 치과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플란트 수요증가로 치과 치료의 중요 고객으로 자리 잡은 임플란트 환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파악해 환자 만족도 향상과 치과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환자 만족은 기본적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기대치와 실제 경험치 간의 차이에서 이루어지는 주관적 판단이지만 그 자체가 의료서비스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으며 환자의 치료 순응도 및 병원 재이용 의사, 타인에게 권유 의사와도 관련되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0]. 본 연구에서는 환자 관점에서 평가한 임플란트 보철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환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과 요구를 파악하여 임플란트 시술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공의치의 단점은? 초기에는 상부구조물과 보철물을 연결하여 상실된 치아를 복원하는 술식으로 주로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가철성 부분의치가 필요한 환자는 물론 고철성 부분 의치로 수복 가능한 경우에도 적용되고 있다[2]. 과거 상실된 치아에 수복방법으로 많이 시술된 계속 가공의치는 건전한 인접치아를 삭제하고 근관치료를 했고 2차 우식증과 치주질환 유발 확률이 높은 점, 치조골 흡수와 저작기능이 약한 단점[3] 등이 문제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단점이 부각되면서 기능적, 심미적인 면에서 자연치에 가깝고 인접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임플란트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되었다[3].
초기 임플란트의 사용 범위는? 임플란트란 상실된 치근을 대신해 인체거부 반응이 없는 티타늄등과 같은 인공 치근을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심어 유착시킨 후 인공 치근을 만들어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는 외과적 보철 술식이다[1]. 초기에는 상부구조물과 보철물을 연결하여 상실된 치아를 복원하는 술식으로 주로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가철성 부분의치가 필요한 환자는 물론 고철성 부분 의치로 수복 가능한 경우에도 적용되고 있다[2]. 과거 상실된 치아에 수복방법으로 많이 시술된 계속 가공의치는 건전한 인접치아를 삭제하고 근관치료를 했고 2차 우식증과 치주질환 유발 확률이 높은 점, 치조골 흡수와 저작기능이 약한 단점[3] 등이 문제로 제기되었다.
임플란트란? 임플란트란 상실된 치근을 대신해 인체거부 반응이 없는 티타늄등과 같은 인공 치근을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심어 유착시킨 후 인공 치근을 만들어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는 외과적 보철 술식이다[1]. 초기에는 상부구조물과 보철물을 연결하여 상실된 치아를 복원하는 술식으로 주로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가철성 부분의치가 필요한 환자는 물론 고철성 부분 의치로 수복 가능한 경우에도 적용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GU, Choi SM. A study on the factors giving effects to patient's satisfaction in the selection of implant operation. J Korea Acad Ind Cooper Soc. 2010;11:4354-4359. 

  2. Baek JW. Dental implant. Eng Educ Technol. 2002;9:87-90. 

  3. Chung HG, Kwon YH, Lee MS, Park JB. Tissue responses around two types of dental implant in beagle dog. J Korean Acad Periodontol. 1999;29:929-941. 

  4. Misch CE. Contemporary implant dentistry. St. Louis (MO): Mosby-Year Book, 1993. 

  5. Tepper G, Haas R, Mailath G, Teller C, Zechner W, Watzak G, et al. Representative marketing-oriented study on implants in the Austrian population. I. Level of information, sources of information and need for patient information. Clin Oral Implants Res. 2003;14:621-633. 

  6. Tepper G, Haas R, Mailath G, Teller C, Bernhart T, Monov G, et al. Representative marketing-oriented study on implants in the Austrian population. II. Implant acceptance, patient-perceived cost and patient satisfaction. Clin Oral Implants Res. 2003;14:634-642. 

  7. Kang BW, Lee SM. Awareness of periodontal diseases and implant management among implant wearers. J Korean Soc Dent Hyg. 2012;12:759-770. 

  8. Chung SY, Cho JH, Cho CH, Choi YH, Song KB. Factors associated with patient satisfaction and decision to get implant surgery.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1;35:179-186. 

  9. Lee HK. Research o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dental implants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ersity, 2013. 

  10. Choi N, Kim YA. The effects of justice factors and needs for cognitions on the consumer-satisfaction of companycomplaint-handling. Korea J Bus Adm. 2000;24:93-117. 

  11. Park JY. A study of the treatment satisfaction related with oral health before and after having implant materials [master's thesis]. Gyeongsan: Daegu University, 2012. 

  12. Yu EM. A study on implant patients' satisfaction and mastication ability: compared to denture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6. 

  13. Moon SJ, Kim EH, Park HR.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dental implant patients' oral hygiene behaviors and satisfaction. J Korea Acad Ind Cooper Soc. 2015;16:576-584. 

  14. Heo SH. Cognition, management status, discomfort and dissatisfaction of dental implant patients [master's thesis]. Gimhae: Inje University, 2010. 

  15. Lee HJ. A study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dental services of the implanted patients [master's thesis]. Gyeongsan: Daegu Catholic University, 2005. 

  16. Jang BJ. Motivation of decisions in dental implant prosthesis according to ages and gender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2. 

  17. Shin CH. A study upon analyzing patients' satisfactions by the areas of his/her dental losses followed by dental implanting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5. 

  18. Cibirka RM, Razzoog M, Lang BR. Critical evaluation of patient responses to dental implant therapy. J Prosthet Dent. 1997;78:574-581. 

  19. Hong YH. Comparative analysis of patient satisfaction in the dental operation of implant and crown-bridge [master's thesis]. Gyeongsan: Daegu Catholic University, 2009. 

  20. Lee MY. A study on the influencing for the bone loss of the dental implant [master's thesis]. Yongin: Dankook University, 2008. 

  21. Noh HI. Patients' expectations for medical care in selective condition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0. 

  22. Pihlstrom BL, Michalowicz BS, Johnson NW. Periodontal diseases. Lancet. 2005;366:1809-1820. 

  23. Kim YJ. Types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 medications to be aware of during dental treatment 1 [Internet]. Seoul: Denfoline; 2012 [cited 2012 Nov 3]. Available from: http://www.denfol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6997. 

  24. Kim HJ. A study of knowledge and attitudes of dental hygienists on dental implantation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3. 

  25. Lee HN, Shim HS, Kim GY. Association of quality of dental care service on the level of patient satisfaction. J Korean Soc Dent Hyg. 2011;11:383-393. 

  26. Cho MS. A study of patient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turn following dental implant treatment service [master's thesis]. Gimhae: Inje University, 2013. 

  27. Yoon JH, Park YB, Youn SH, Oh NS. Korea Academy of Prosthodontics criteria for longevity studies of dental prosthese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6;54:341-353. 

  28. Yoon JH, Park YB, Oh NS. Analysis of longevity and success rate of fixed, removable, and implant prostheses treated in Korea.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8;56:95-104. 

  29. Adell R, Eriksson B, Lekholm U, Branemark PI, Jemt T. Long-term follow-up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otally edentulous jaw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0;5:347-3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