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적 물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네트워크 분석: 제주특별자치도의 물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A network approach to local water management for building collaborative water governance: the case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9, 2020년, pp.671 - 680  

김보람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  양원석 (제주특별자치도청 환경보전국) ,  안종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국토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네트워크 접근을 통해 지역 물관리의 구조적 특징과 주요 행위자를 밝히고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협력적 물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함의를 도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제주특별자치도 물관리 네트워크의 주요 행위자와 이들의 역할 및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소시오그램(sociogram)으로 도식화한다. 연구결과, 제주지역의 행정부서 간 물관리 업무 네트워크와 민·관 정책네트워크(정보 공유 및 협의), 전체 네트워크와 이수 및 수질 영역별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과 중심 행위자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적 물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는 이수 및 수질 담당 행정부서 간 협업관계를 개선하고, 공공·민간 부문을 포함한 전체 이해관계자 간 정보 공유 및 협의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처럼 지역 물관리 이해관계자 간의 공식적·비공식적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ructural properties and central actors of the local water policy system through a network approach, an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collaborative water governance at the local level. Especially, this study conducts a social network analysis to emp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하위 정책영역별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수자원 개발 및 이용, 수질・수생태계 보전 및 관리 등 물관리 정책영역별로 동일한 질문을 하여 각각의 응답을 구하였다. 그리고 각 질문에 대하여 복수응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분석요소는 구조적 측면에서 밀도와 중심도, 행위자 측면에서 내향 및 외향 연결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을 측정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네트워크적 관점에서 지역 물관리 정책의 주요 행위자와 이들 간의 관계적 특성을 밝히고,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협력적 물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력적 물 거버넌스란 무엇인가? 한정된 자연자원인 물을 다양한 정책 수요에 맞춰 지속가능하게 이용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협력적 물 거버넌스에 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협력적 물 거버넌스는 물 정책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협력이 이뤄지는 체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물 거버넌스는 정부, 기업, 시민사회 등 공공・민간부문의 이해관계자들이 책임을 공유함으로써 물 정책의 설계 및 이행에 기여할 수 있다(OECD, 2011; 2015).
사회연결망분석에서 중심도란 무엇인가? 중심도(centralization)는 네트워크 내 행위자들의 연결이 집중된 정도를 나타낸다. 중심도가 높을 경우, 특정 행위자를 중심으로 집중된 구조로 해석할 수 있다.
네트워크 분석 시 행위자와 행위자들 간의 연결이 될 수 있는 요인들로 무엇이 있는가? 네트워크는 행위자(actor, node)와 행위자들 간의 연결(relation, ties)로 구성되며, 이에 대한 분석은 구조주의적 접근을 토대로 한다. 행위자는 연구주제에 따라 개인, 집단, 조직 등 다양한 독립적인 개체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의 유형은 행위자 간 유사성(similarities), 사회적 관계(social relations), 상호작용(interactions), 흐름(flows) 등을 예로 들 수 있다(Borgatti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e, J.H. (2010). "A study of the network governance of local government: A focus on a Busan river protection movement."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48, No. 3, pp. 195-221. 

  2. Borgatti, S.P., Mehra, A., Brass, D.J., and Labianca, G. (2009). "Network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Science, Vol. 323, No. 5916, pp. 892-895. 

  3. Brown, R.R. (2008). "Local institutional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for advancing sustainable urban water futures."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41, No. 2, pp. 221-233. 

  4. Choi, C.H. (2006). "A study on the informal networks in organizations: An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 17, No. 1, pp. 1-23. 

  5. Choi, H.S., and Hong, S.M. (2004). "Analyzing changes in the governance of water supply: From policy community to issue network."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 16, No. 1, pp. 49-79. 

  6. Freeman, L.C. (1978).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Vol. 1, No. 3, pp. 215-239. 

  7. Han, J.Y., and Yun, S.J. (2011). "Policy networks among actors concerning intro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trading scheme in Korea: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Vol. 20, No. 2, pp. 81-108. 

  8. Hanneman, R.A., and Riddle, M. (2011). "Concepts and measures for basic network analysis." The SAGE Handbook of Social Network Analysis, Edited by Scott, J., and Carrington, P.J., SAGE publications, London, U.K., pp. 340-369. 

  9. Kang, M.G., Lee, K.M., Ko, I.H., and Jeong, C.Y. (2008). "Development of a integrated indicator system for evaluating the state of watershed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river basin management using factor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3, pp. 277-291. 

  10. Kim, B.R., Yang, W.S., and Ahn, J.H. (2020). "A study on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diagnosis for water management: Lessons from experience in the case of Jeju specia self-governing province."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 30, No. 4, pp. 71-104. 

  11. Kim, C.M., Seo, S.H., and Kim, T.Y. (2014). "A study on the household waste i nformation n etwork u sing s ocial network a nalysis: With application for Nowon-gu, Seoul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Vol. 22, No. 1, pp. 113-136. 

  12. Kim, C.S. (2018). "An analysis on the water governance in the Netherlands." Korean Governance Review, Vol. 25, No. 1, pp. 211-235. 

  13. Kim, M.S., Kim, J.H., Chang, C.Y., and Jang, J.R. (2013). "A social network analysis on stakeholders of watershed management in Saemanguem area." ECO, Vol. 17, No. 2, pp. 227-274. 

  14. Ko, K.K. (2007). "The review of studies on policy network and the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45, No. 1, pp. 137-164. 

  15. Koh, J.K., and Lee, M.H. (2010).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environmental governance."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Vol. 19, No. 1, pp. 151-181. 

  16. Lee, J.H., Kim, H.S., Hong, I.P., Kang, B.S., and Kim, K.H. (2008). "Governance for the negotiation an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related conflict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10, No. 2, pp. 97-103. 

  17. Lee, J.H., Lee, C.S., and Kim, G.H. (2014). "A consensus-building support system for water environment governance based on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7, No. 7, pp. 573-585. 

  18. Lee, K.S., Chung, E.S., and Kim, Y.O. (2006). "Integrated approach for watershed management in an urban a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2, pp. 161-178. 

  19. Lee, Y.H., and Kwon, G.H. (2013). "Study of policy making process in adopting emission trading scheme in Korea: Applying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nd social network analysis."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Vol. 22, No. 3, pp. 1-29. 

  20.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11). Water Governance in OECD Countries: A Multi-level Approach. OECD Studies on Water, OECD Publishing, Paris, France. 

  21.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15). OECD Principles on Water Governance, accessed 29 July 2020, . 

  22. O'Toole, L.J.Jr. (1997). "Treating networks seriously: Practical and research-based agendas in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57, No. 1, pp. 45-52. 

  23. Park, Y.S. (2004). "A study on the dynamic taxonomy of policy network in watershed policy makings."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 15, No. 3, pp. 99-128. 

  24. Provan, K.G., Veazie, M.A., Staten, L.K., and Teufel­Shone, N.I. (2005). "The use of network analysis to strengthen community partnership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65, No. 5, pp. 603-613. 

  25. Schneider, V. (1992). "The structure of policy networks: A comparison of the 'Chemicals control' and 'Telecommunications' policy domains in Germany."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Vol. 21, No. 12, pp. 109-129. 

  26. Scott, J. (2017). Social Network Analysis, Fourth Edition. SAGE publications, London, U.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