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 섭취와 강도별 유산소 운동이 성장기 운동학습과 체중에 미치는 영향의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for Effect of Probiotics Ingestion and Aerobic Exercise with Different Intensities on Motor Learning and Bodyweight in Adolescenc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9, 2020년, pp.297 - 303  

박기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  김준철 (텍사스 A&M 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에 해당하는 암컷 생쥐를 대상으로 유산소 운동과 유산균 섭취가 운동 학습능력과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실험대상을 비운동, 중강도, 고강도 운동과 유산균 섭취, 비섭취 변인의 6집단으로 나누고 4주간 운동강도별 트레드밀과 유산균으로 처치하였다. 처치 전 후로 버티컬그리드 테스트를 수행하여 운동학습능력과 체중을 평가하였다. 버티컬그리드 테스트에서는 유산균을 섭취하고, 고강도 운동을 수행한 집단의 상행·회전·하행 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운동을 하지 않은 비유산균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운동을 하지 않은 비유산균집단이 가장 느린 수행 속도를 기록했다. 또한, 운동 수행과 유산균 섭취를 함께한 집단이 운동만 수행한 집단에 비해 빠른 수행 속도를 기록하는 경향을 보였다. 체중 변화를 비교한 결과 중강도 운동만 수행한 집단의 체중 증가는 운동을 수행하지 않은 비유산균집단의 체중 증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32). 종합하면, 성장기의 유산소 운동은 운동학습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유산균 섭취와 병행하면 보다 효율적인 운동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probiotics ingestion on motor learning and body weight in female mice during adolescenc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of variables, such as non-exercise, moderate, high-intensity exercise, probiotics inges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유산소 운동과 유산균 섭취를 병행하였을 때, 불안 감소와 운동학습 증진에 미치는 효과가 증대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생쥐를 대상으로 강도별 유산소 운동과 유산균의 섭취가 운동학습 능력과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그 후 3일 간의 트레이닝을 통해 생쥐들이 그리드를 올라가서 돌아 내려오면 케이지로 돌아갈 수 있다는 학습을 하게 된다. 이 트레이닝의 주요 목적은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마우스가 그리드를 잡고 올라가서 돌아 내려오는 과정을 잘 인지할 수 있도록 운동학습을 시키는 것이다. 이후 테스트를 실시하여 시간을 측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보고된 사항은? 최근 유산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유산균은 성장과 운동능력 및 인지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Lactobacillus Reuteri 6475는 칼슘의 흡수를 높이고 뼈와 근육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어[16]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청소년기의 성장발달에 운동의 영향은? 청소년기의 성장발달을 위한 운동은 매우 중요하다[1]. 이 시기의 신체활동은 인지능력 향상을 가져올 수 있고[2, 3] 특히, 유산소 운동은 선택적 주의 집중력과 기억력에 도움을 준다[4, 5].
유산균 섭취가 뇌의 운동과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또한, 유산균 섭취가 뇌에서 운동과 인지기능에 관여하는 주요 신경전달물질의 변화를 유발하여 뇌 기능과 행동을 조절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보고되었으며[19, 20], 유산균을 급여 받은 생쥐 군이 학습 및 기억 능력과 운동능력 테스트에서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하게 뛰어난 결과도 보고되었다[21]. Lactobacillus plantarum은 뇌의 해마 부위에서 Brain Derived Nerutrophic Factor(BDNF)의 증가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고[22], Lactobacillus를 생쥐 장내에 주입하여 신경전달물질의 수용체 발현을 조절하고 불안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행동 장애를 완화 시킬 수 있으며[23, 24] Lactobacillus와 Bifidobacterium 균종의 섭취가 불안감을 감소시킨다는 연구도 보고되었다[25, 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T. W. Rowland. (2005). Children's exercise physiology- 2nd(ed). Champaign, IL: Human Kinetics. 

  2. J. Y. Kim. (2014). The Study of Physical Activity Level on Serum BDNF and Cognitive Function in Adolescence. Korean Society Of Growth And Development, 22(2), 119-125. UCI : G704-001365.2014.22.2.002 

  3. C. H. Hillman, K. I. Erickson & A. F. Kramer. (2008). Be smart, exercise your heart: exercise effects on brain and cognition. Nature Reviews Neuroscience, 9(1), 58-65. DOI : 10.1038/nrn2298 

  4. K. Lambourne & P. Tomporowski. (2010). The effect of exercise-induced arousal on cognitive task performance: a meta-regression analysis. Brain Research, 23(1341), 12-24. DOI : 10.1016/j.brainres.2010.03.091 

  5. T. McMorris, J. Sproule, A. Turner & B. J. Hale. (2011). Acute, intermediate intensity exercise, and speed and accuracy in working memory tasks: a meta-analytical comparison of effects. Physiology & Behavior, 102, 421-428. DOI : 10.1016/j.physbeh.2010.12.007 

  6. J. Brisswalter, M. Collardeau & A. Rene. (2002). Effects of acute physical exercise characteristics on cognitive performance. Sports Medicine, 32, 555-566. DOI : 10.2165/00007256-200232090-00002 

  7. K. Kashihara, T. Maruyama, M. Murota & Y. Nakahara. (2009). Positive effects of acute and moderate physical exercise on cognitive function. Journal of Physiological Anthropology, 28(4), 155-164. DOI : 10.2114/jpa2.28.155 

  8. C. R. R. Alves, V. H. Tessaro, L. A. C. Teixeira, K. Murakava, H. Roschel, B. Gualano & M. Y. Takito. (2014). Influence of acute high-intensity aerobic interval exercise bout on selective attention and short-term memory task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18(1), 63-72. DOI : 10.2466/22.06.PMS.118k10w4 

  9. C. S. Mang, N. J. Snow, K. P. Wadden, K. L. Campbell & L. A. Boyd. (2016). High intensity aerobic exercise enhances motor memory retrieval.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48(12), 2477-2486. DOI : 10.1249/MSS.0000000000001040 

  10. J. M. Allen, L. J. Mailing & G. M. Niemiro. (2018). Exercise Alters Gut Microbiota Composition and Function in Lean and Obese Human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50(4), 747-757. DOI : 10.1249/MSS.0000000000001495 

  11. J. Chen, Y. Guo, Y. Gui & D. Xu. (2018). Physical exercise, gut, gut microbiota,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s. Lipids in Health and Disease, 17(17). DOI : 10.1186/s12944-017-0653-9 

  12. M. D. Cook et al. (2015). Exercise and gut immune function: evidence of alterations in colon immune cell homeostasis and microbiome characteristics with exercise training. Immunology & Cell Biology, 94(2), 158-163. DOI : 10.1038/icb.2015.108 

  13. S. Sporn, T. P. Hein & M. H. Ruiz. (2018). Bursts and variability of beta oscillations mediate the effect of anxiety on motor exploration and motor learning. bioRxiv. DOI : 10.1101/442772 

  14. E. Anderson & G. Shivakumar. (2013). Effects of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on anxiety. Frontiers in Psychiatry, 4(27). DOI : 10.3389/fpsyt.2013.00027 

  15. M. Wegner, I. Helmich, S. Machado, A. E. Nardi, O. Arias-Carrion & H. Budde. (2014). Effects of exercise on anxiety and depression disorders: review of meta-analyses and neurobiological mechanisms. CNS Neurological Disorders, 13(6), 1002-1014. DOI : 10.2174/1871527313666140612102841 

  16. L. R. McCabe, R. Irwin, L. Schaefer & R. A. Britton. (2013). Probiotic use decreases intestinal inflammation and increases bone density in healthy male but not female mice. Journal of Cellular Physiology, 228(8), 1793-1798. DOI : 10.1002/jcp.24340 

  17. J. Scheiman et al. (2019). Meta-omics analysis of elite athletes identifies a perforance enhancing microbe that functions via lactate metabolism. Nature Medicine, 25(7), 1104-1109. DOI : 10.1038/s41591-019-0485-4 

  18. W. C. Huang, C. C. Wei, C. C. Huang, W. L. Chen & H. Y. Huang. (2019). The Beneficial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PS128 on High-Intensity, Exercise-Induced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Performance in Triathletes. Nutrients, 11(2), 353. DOI : 10.3390/nu11020353 

  19. A. J. Montiel-Castro, R. M. G. Cervantes, G. B. Ruiseco & G. P. Lopez. (2013). The microbiota gut brain axis: neurobehavioral correlates, health and sociality. Frontiers in Integrative neuroscience, 7(70), 1-16. DOI : 10.3389/fnint.2013.00070I. 

  20. A. Marin et al. (2017). Microbiota alteration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stress induced despair behavior. Scientific Reports, 7, 7. DOI : 10.1038/srep43859 

  21. M. L. Park. (2018). Probiotic Lactobacillus fermentum JDFM216 improves cognitive behavior and longevity by regulating immune response. Doctoral dissertation. JBNC University, Jeonju. 

  22. J. Choi, Y. K. Kim & P. L. Han. (2019).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increase BDNF Expression in cultured hippocampal neurons and produce antidepressant like effects in mice. Experimental Neurobiology, 28(2), 158-171. DOI : 10.5607/en.2019.28.2.158 

  23. Y. W. Liu et al. (2016). Psychotrop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PS128 in early life-stressed and naive adult mice. Brain Resesrch. 1631, 1-12. DOI : 10.1016/j.brainres.2015.11.018 

  24. J. Dhaliwal et al. (2018). Lactobacillus plantarum MTCC 9510 supplementation protects from chronic unpredictable and sleep deprivation-induced behaviour, biochemical and selected gut microbial aberrations in mice.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125(1), 257-269. DOI : 10.1111/jam.13765 

  25. J. Luo, T. Wang, S. Liang, X. Hu, W. Li & F. Jin. (2014). Ingestion of Lactobacillus strain reduces anxiety and improves cognitive function in the hyperammonemia rat. Science China. Life Science, 57(3), 327-335. DOI : 10.1007/s11427-014-4615-4 

  26. Y. Guo et al. (2019). Prophylactic Effects of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on Anxiety and Depression-Like Phenotypes After Chronic Stress: A Role of the Gut Microbiota-Inflammation Axis. Frontiers in Behavioral Neuroscience, 13(126). DOI : 10.3389/fnbeh.2019.00126 

  27. N. A. Castillo, G. Perdigon & A. M. LeBlanc. (2011). Oral administration of a probiotic Lactobacillus modulates cytokine production and TLR expression improving the immune response against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infection in mice. BMC Microbiology, 11(1), 177. DOI : 10.1186/1471-2180-11-177 

  28. V. Schefer & M. I. Talan. (1996). Oxygen consumption in adult and aged C57BL/6J mice during acute treadmill exercise of different intensity. Experimental Gerontology, 31(3), 387-392. DOI : 10.1016/0531-5565(95)02032-2 

  29. S. T. Kim, H. J. Son, J. H. Choi, I. J. Ji & O. Y. Hwang. (2010). Vertical grid test and modified horizontal grid test are sensitive methods for evaluating motor dysfunctions in the MPTP mouse model of Parkinson's disease. Brain Research, 8(1306), 176-183. DOI : 10.1016/j.brainres.2009.09.103 

  30. V. S. Valentinuzzi et al. (1998). Automated measurement of mouse freezing behavior and its use for quantitative trait locus analysis of contextual fear conditioning in (BALB/cJ x C57BL/6J)F2 mice. Learning & Memory, 5(4), 391-403. 

  31. S. K. Powers, W. B. Nelson & M. B. Hudson. (2011). Exercis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s: Cause and Consequences.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51(5), 942-950. DOI : 10.1016/j.freeradbiomed.2010.12.009 

  32. T. Imai, S. Seki, H. Dobashi, T. Ohkawa, Y. Habu & H. Hiraide. (2002). Effect of weight loss on T-cell receptor-mediated T-cell function in elite athlete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4(2), 245-250. DOI : 10.1097/00005768-200202000-00011 

  33. T. Kullisaar, M. Zilmer, M. Mikelsaar, T. Vihalemm, H. Annuk, C. Kairane & A. Kilk. (2002). Two antioxidative lactobacilli strains as promising probio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72(3), 215-224. DOI :10.1016/s0168-1605(01)00674-2 

  34. Y. M. Chen et al. (2016). Lactobacillus plantarum TWK10 Supplementation Improves Exercise Performance and Increases Muscle Mass in Mice. Nutrients, 8(4), 205. DOI : 10.3390/nu8040205 

  35. J. H. Kim. (2015). Effects of Aerobic Exercise Intensity on Growth Hormone and Serotonin in Adolescent.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4(1), 1257-1267. UCI : G704-001369.2015.24.1.03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