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인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for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1 no.3, 2020년, pp.310 - 321  

최정임 (대동대학교 간호학과) ,  최은정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for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which we developed based on Kim's interpersonal caring technique. Methods: This study employ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의 손상과 대인관계와 정신건강에 취약할 수 있는 탈북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대인간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중 · 고등학생 탈북청소년들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Kim [15-17]의 대인간호중재기법을 기반으로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인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을 대상으로 대인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유사 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Park 등[28]의 연구에서 강점 찾기 인터뷰를 통해 새로운 인간관계의 형성과 자기주장표현을 통해 대인관계의 효과를 나타낸 집단상담의 접근과정이 본 연구와 맥을 같이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을 통해 마음을 열게 하고 서로 몸을 의지하여 친근감과 신뢰를 경험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에 대해 자신의 느낌과 다른 친구의 느낌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어려운 일을 함께하는 동행의 심리적 과정을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공동의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이해와 공감능력이 높아짐으로써 대인관계의 만족감과 친근감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던 것은 수용함과 공유함의 적용효과로 여겨진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청소년을 대상으로 대인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들의 자아존중감, 정신건강, 대인관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 그러나 탈북청소년들이 남한생활에서 겪고 있는 청소년 발달과업의 문제들에 대해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데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중 ·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중재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Kim [15-17]의 대인간호중재기법의 중재적 개입을 통하여 탈북청소년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대인관계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 가설 4.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삶의 질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정신건강 점수가 더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Unification. 2019 unification white paper [Internet]. Seoul: Ministry of Unification. 2019 [cited 2019 September 29]. Available from: https://unikorea.go.kr/books/whitepaper/whitepaper/white_2019/index.html 

  2. Lee KY, Kim MK. Diversity of youths with a background of defection from north korea: Assistance policy analysis and implications. The Journal of Northeast Asia Research. 2015;30(2): 93-129. 

  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9 North Korean Student Statistics [Internet]. Chungcheongbukdo: 2011 [cited 2019 September 29]. Available from: http://www.hub4u.or.kr/hub/data/selectDataForm.do 

  4. Kim YH. Factors affecting school drop-out intention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9; 61(4):191-215. https://doi.org/10.20970/kasw.2009.61.4.008 

  5. Lee HK. North Korean Students in the South Korean School System. Journal of Human Studies. 2007;(12):7-32. 

  6. Kim HK. A study on posttraumatic growth among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Sociology. 2013;14(1):225-262. https://doi.org/10.17328/kjcs.2013.14.1.006 

  7. Kim HK, Shin HK. A comparison of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nd South Korean adolescents: Focused on gender and age.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15;20(3):347-367. 

  8. Sihn M. Adolescent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Validity and reliability study. Korean Journal of Youth Welfare. 2012;14(1):163-194. 

  9. Kim YY, Son MA, Kim SH. Effects of family and social relations on happines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18;41(2):179-205. https://doi.org/10.31693/KJPS.2018.06.41.2.179 

  10. Seo M, Yang DH, Kim HY. The development of the peer counseling program for North Korean youth.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17;25(1):197-223. 

  11. Jin MJ, Hyun MH. The effect of forgiveness education program on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of North Korean defector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4;21(9):351-370. 

  12. Byun MH, Kang KJ. The effect of a group art therapy to improve self-esteem on North Korean youth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05;12(1):127-150. 

  13. Ro EH, Oh IS. A study on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north korean defector's children born in the third counties: Focused on school based mental health program.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2018;30(2):227-264. 

  14. Choi SK, Park SM, Joung HJ.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9;22(1):73-83. 

  15. Kim 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nursing: Applic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korean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nursing.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1997;61-78. 

  16. Kim S. Interpersonal caring techniques: Concepts and quasi experimental research. Comprehensive Treatment of Schizophrenia. 2002;8:238-245. https://doi.org/10.1007/978-4-431-68514-2_26 

  17. Kim S. Interpersonal caring. 1st ed. Seoul: Soomoonsa; 2012. 120 p. 

  18. Kim SS, Kang YO, Kim SN, Lee JS, Lee KJ, Yu SJ, et al.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nursing program for rehabilitation of long-term psychiatric patients.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1998;7(1):100-124. 

  19. Cho HS. The effects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nursing program for chronic-mental inpatients of long-term psychiatric hospital.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2004;5(0):144. 

  20. Choi EJ, Lee YE.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for vulnerable adolescents in mental health clinic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0;16(3):184-194. https://doi.org/10.4094/jkachn.2010.16.3.184 

  21. Kim EJ, Gwon ES, Lee HS, Lee SY, Park IH, Jung DN, et al. Effects of a quality of life stress-management program on stress coping methods interpersonal relations, an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1;20(4):423-433. 

  22.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26 p. https://doi.org/10.12934/jkpmhn.2011.20.4.423 

  23. J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Collection of Treatises of Yonsei University. 1974;11(1):107-130. 

  24.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2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IIand Management Manual [Internet]. Jeollanamdo;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2018 [cited 2020 February 11]. Available from: https://www.jne.go.kr/upload_data/Synap/BBS_0000197/20120305_212112_025984100.htm 

  25. Schlein SP, Guerney BG. Stover L.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In: Guerney BG, editor. Relationship Enhancement. SanFrancisco (CA): Josey-Bass; 1977. p. 349-354. 

  26. Moon SM. A study on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raining group counseling. The Journa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980;19(2):195-204. 

  27. Choi EJ, Lee YE. Effects of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on the mental health among vulnerabl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of mental health. The Journal of Civic Youth Studies. 2013;4(2):1-23. 

  28. Park JH, Yu HK, Cho YS. The development of a clas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for high school student.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013;29(4):47-72. https://doi.org/10.14333/KJTE.2013.29.4.47 

  29. Kim UC, Park YS.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korean adolescents and adults at home, school, work and leisure settings: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6;9(4):973-1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