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위한 양육지지 집단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Parenting Support Group Program for Mothers with Infa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2 no.1, 2021년, pp.40 - 50  

박선화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전경자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s in parenting competency, parenting environment, and parenting stress by developing and applying parenting support group program based on the social support intervention model for mothers with infants. Methods: In this experimental stud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요인은 프로그램 결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선택 편중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본 연구자는 대조군 어머니들에게도 중재 후 양육지지 집단프로그램에서 진행하였던 내용을 공유하여 선택 편중을 줄이려고 노력하였다. 또 양육환경 조사 도구는 직접 관찰하여 조사하는 도구로서 본 연구자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조사를 수행하였다.
  • 또 프로그램 내용으로 발달 놀이, 베이비 마사지, 이유식과 구강 건강관리, 안전, 아기의 신호 읽기, 어머니의 신체적 회복 및 새로운 삶의 적응에 대한 프로그램 내용이 필요함을 참조하였다. 그리고 어머니들이 직접 수행할 수 있고 적용할 수 있으며, 논의를 통해 문제해결 과정을 거칠 수 있는 기법이 요구되어 이에 적절한 수행 전략을 모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위한 Oh [6]의 간호중재방법으로서의 사회적 지지 개입 모델을 기반으로 사회적 지지 구조 측면(전문가 지지와 동료 지지)과 사회적 지지 기능 측면(정보적, 정서적, 도구적, 평가적 지지)을활용한 양육지지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양육역량, 양육환경,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지지 집단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어머니의 양육역량, 양육환경,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nonequivalent control pretest-posttest design)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위한 사회적 지지로서의 양육지지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양육역량, 양육환경,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에 양육역량, 양육환경, 양육 스트레스가 중재 직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환경의 경우 중재 효과가 중재 후 3개월까지 지속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위한 전문가 지지와 동료 지지를 활용한 사회적 지지로서의 양육지지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양육지지 집단 프로그램 중재 직후 어머니들의 양육역량과 양육환경은 증진되었고, 양육 스트레스는 감소되었으며, 양육환경의 경우 추후조사 시점까지 지속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 지지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양육지지 집단 프로그램이 양육역량, 양육환경,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 또 양육환경 조사 도구는 직접 관찰하여 조사하는 도구로서 본 연구자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에 결과 편중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겠지만 그럼에도 결과 편중을 줄이기 위해서 HOME 평가 도구 사용을 위한 교육을 받았고 내적일치도를 확인하였다. 또 방문 가능한 날짜를 결정할 때 실험군과 대조군을 구분하지 않고 혼합하여 방문 날짜를 예약하였다.
  • 이에 국내 ․ 외 문헌고찰을 통해 보편적 상황에 있는 어머니들을 위한 양육지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1회기 120분씩 7회기의 전문가 지지와 동료 지지를 활용한 양육지지 집단프로그램으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또 프로그램 내용으로 발달 놀이, 베이비 마사지, 이유식과 구강 건강관리, 안전, 아기의 신호 읽기, 어머니의 신체적 회복 및 새로운 삶의 적응에 대한 프로그램 내용이 필요함을 참조하였다.

가설 설정

  • 이와 같은 문헌고찰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양육 지지 집단 프로그램에서의 목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어머니들의 양육역량이 향상된다. 2) 어머니들의 양육환경 조성이 향상된다.
  • 1) 어머니들의 양육역량이 향상된다. 2) 어머니들의 양육환경 조성이 향상된다. 3) 어머니들의 양육 스트레스가 감소된다.
  • 2) 어머니들의 양육환경 조성이 향상된다. 3) 어머니들의 양육 스트레스가 감소된다.
  • • 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양육 스트레스 점수가 더 감소할 것이다.
  • •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양육환경 점수가 더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DW, Kwon IS. An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on child rearing in Korea.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4): 264-274. 

  2. Bang KS. Effects of role education program on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infant development.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1;7(1):21-34. 

  3. Sanders MR, Woolley ML.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elf-efficacy and parenting practices: Implications for parent training.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005;31(1): 65-73. https://doi.org/10.1111/j.1365-2214.2005.00487.x 

  4. Moran P, Ghate D, Van Der Merwe A. Policy Research Bureau. What works in parenting support?: a review of the international evidence. London: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2004. 203 p. 

  5. Cohen S, Syme SL. Issues in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social support. San Francisco (USA): Academic Press; 1985. 10 p. 

  6. Oh KS. Social support as a prescription theory. Journal of Nursing Query. 2006;15(1):134-154. 

  7. Lefevre A, Lundqvist P, Drevenhorn E, Hallstrom I. "From resistance to challenge": Child health service nurses experiences of how a course in group leadership affected their management of parental groups. BioMed Central nursing. 2017;16(1): 73. https://doi.org/10.1186/s12912-017-0267-6 

  8. Strange C, Fisher C, Howat P, Wood L. Fostering supportive community connections through mothers' groups and playgroup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4;70(12):2835-2846. https://doi.org/10.1111/jan.12435 

  9. Guest EM, Keatinge DR. The value of new parent groups in child and family health nursing. The Journal of Perinatal Education. 2009;18(3):12-22. https://doi.org/10.1624/105812409X461180 

  10. Lefevre A, Lundqvist P, Drevenhorn E, Hallstrom I. Parents' experiences of parental groups in Swedish child health-care: Do they get what they want?. Journal of Child Health Care. 2016; 20(1):46-54. https://doi.org/10.1177/1367493514544344 

  11. Khang YH, Cho SH, June KJ, Lee JY, Kim YM, Cho HJ. The Seoul healthy first step project: Introduction and expansion, program content and performance, and future challen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8;22 (2):63-76. https://doi.org/10.21896/jksmch.2018.22.2.63 

  12. Lee GM, Choi YH. Effects on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child-rearing knowledge, child-rearing stress, and child-rearing self-efficacy of immigrant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2;26(3):561-571. https://doi.org/10.5932/JKPHN.2012.26.3.561 

  13. Shin YH, Lim JH, Kim GE. Effects of maternal empowerment program o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parenting confidence in mothers of preterm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8;24(2):252-261. https://doi.org/10.4094/chnr.2018.24.2.252 

  14. Song SM, Park MK. Effects of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on breast feeding self-efficacy, adaptation and continuation in primiparous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3):409-419. https://doi.org/10.4040/jkan.2016.46.3.409 

  15. Goldfeld S, Price A, Bryson H, Bruce T, Mensah F, Orsini, F, et al. 'Right@ hom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sustained nurse home visiting from pregnancy to child age 2 years, versus usual care, to improve parent care, parent responsivity and the home learning environment at 2 years. BMJ open. 2017; 7(3):e013307. https://doi.org/10.1136/bmjopen-2016-013307 

  16. Bradley RH, Caldwell BM. The HOME Inventory and family demographics. Developmental Psychology. 1984;20(2):315-320. https://doi.org/10.1037/0012-1649.20.2.315 

  17. Lee Y, Lee JR, Park SJ, Woo HK, Koo JY, Chung HJ.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normative scores for the IT-HOME inventor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15;53(4):433-445. https://doi.org/10.6115/fer.2015.035 

  18. Matthey S. Assessing the experience of motherhood: The Being a Mother Scale (BaM-13).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1; 128(1-2):142-152. https://doi.org/10.1016/j.jad.2010.06.032 

  19. Bartholomew-Eldredge LK, Markham CM, Ruiter RA, Fernandez ME, Kok G, Parcel GS. Plann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n intervention mapping approach. New Jersey: John Wiley & Sons; 2016. 704 p. 

  20. Park SH, Park SH, June K. Effects of a group-based parenting support program for infant and toddler parent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9;30(3):377-389. https://doi.org/10.12799/jkachn.2019.30.3.377 

  21. McLaughlin DE, Freed PE. Tadych RA. Action methods in the classroom: Creative strategies for nursing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2006;3(1): 1-16. https://doi.org/10.2202/1548-923X.1229 

  22. Heo KH, Kim SH, Kim NI, Ma EH, Im HS, Sohn BD. The effects of multi-tiered social-emotional program on you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and parenting capabilit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019;19(2): 127-151. 

  23. Chung KS, Yoo MS, Cha JR, Choi EA, Park HK, Kim JY. Effectiveness of an action learning based community of practice program for enhancing parental competence: For mothers with young and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4;34(2):501-531. 

  24. Lee MS, Koh YH. Analysis of Parents' competencies and needs to support parenting of infant parent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2016;20(4):437-456. 

  25. June KJ, Yu JO, Park SH, Woo MS. Research on access to information of pregnancy and child birth. Asan: Soonchunhyang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020. 271 p. 

  26. Park GJ, Cho KO, Rho SH, Chio SK, Khan YJ. Parental counseling for infant teachers. Paju: Yangseowon; 2015. 294 p. 

  27. Bang KS, Huh BY, Kwon MK. The Effect of a postpartum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immigrant mothe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1):11-19. https://doi.org/10.4094/chnr.2014.20.1.11 

  28. Choi HW. A research trend i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centering around thesis- [master's thesis]. [Changw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9. 91 p. 

  29. Forster DA, McLachlan HL, Rayner J, Yelland J, Gold L, Rayner S. The early postnatal period: Exploring women's views, expectations and experiences of care using focus groups in Victoria, Australia. BioMed Central pregnancy and childbirth. 2008;8(27):1-11. https://doi.org/10.1186/1471-2393-8-27 

  30. Park KM.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4. 91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