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 구조모형
A Structural Model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Police Officer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1 no.3, 2020년, pp.348 - 359  

한승우 (경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최은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model for the Post-traumatic Growth (PTG) of police officers. The conceptual model is based on Calhoun and Tedeschi's PTG theor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69 police officers working at 10 police stations in Seoul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국내에서는 외상 후 성장을 다룬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암 환자, 뇌졸중 환자 등 특정 질환에 중점을 둔 연구들이 많았으며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간호사 등 외상을 경험하는 특정 직업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12,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edeschi와 Calhoun [8]의 외상 후 성장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다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11].
  •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가설적 모형의 구축하여 적합성을 검증함으로써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을 설명하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의도적 반추, 사회적 지지, 자기 노출과 같은 변수들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Calhoun과 Tedeschi [11]의 외상 후 성장 모델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상 후 성장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외상사건 경험, 고통지각,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와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요인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Calhoun과 Tedeschi [11]의 외상 후 성장 모형과 선행연구들[11-16]을 바탕으로 구축한 가설적 모형의 10개 가설 중 7개 가설이 지지되었고 모형의 적합도도 만족한 수준으로 지지되었다.
  •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가설적 모형의 구축하여 적합성을 검증함으로써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을 설명하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의도적 반추, 사회적 지지, 자기 노출과 같은 변수들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을 설명하기 위해 Calhoun과 Tedeschi [11]의 외상 후 성장 모형을 바탕으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모형 구축연구이다[17].
  • 본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기 위해 Calhoun과 Tedeschi [11]의 외상 후 성장 모델에 근거하여 개인의 생명을 위협하는 외상사건 경험 후 건강한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지각하는 개인의 긍정적인 심리적 변화를 연구의 개념적 기틀로 구축하였다.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최근 연구들[9,12,13]을 살펴보면 대처, 사회적 지지, 낙관성, 스트레스 반응, 자존감 등 변수들 간의 단편적인 관계에 초점을 두었으며 외상 후 성장 모델을 구축하여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외상에 많이 노출되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그들의 외상에 따른 성장을 촉진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Tedeschi와 Calhoun [8]의 외상 후 성장이론을 토대로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외상사건 경험, 고통 지각, 자기 노출, 사회적 지지, 의도적 반추와 같은 변인들 간의 인과적 경로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Police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cited 2020 March 11]. Available from: https://www.crimestats.or.kr/portal/stat/easyStatPage/T182673024419756.do 

  2.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Police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cited 2019 November 9]. Available from: https://www.police.go.kr/www/open/publice 

  3. Kim JH, Kim JK. The relation of a type of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of police offic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 Korean Police Studies Association. 2013;12(3):27-50. 

  4. Lee OJ, Ji YH. The analysis of field police officers'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for the application of police job stress reduction program. Korean Police Studies Association. 2010;12(4):173-203. 

  5. Kim TK, Jung EE. Posttraumatic growth and acculturation according to traumatic experience and intentional rumin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stitute of North Korea Studies. 2012;37(2):147-173. 

  6. Seligman M. Csikzentmihalyi M.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2000;55(1):5-14. https://doi.org/10.1037/0003-066X.55.1.5 

  7. Joseph S, Wiliams R, Yule W. Changes in outlook following disaster: The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measure to assess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3;6(2):271-279. https://doi.org/10.1002/jts.2490060209 

  8. Tedeschi RG, Calhoun L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6;9(3):455-471. https://doi.org/10.1002/jts.2490090305 

  9. Han SW, Kim HS.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with police officer. Crisisonomy. 2015;11(3):189-205. 

  10. Han KA. Prediction model for post-traumatic growth (PTG) among emergency room nurses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16. 135 p. 

  11. Calhoun LG, Tedeschi RG. The foundation of posttraumatic growth: An expand ed framework. In: Calhoun LG & Tedeschi RG, editors.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Mahwah(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6. 23 p. 

  12. Park JH, Jung YS, Jung YM.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 survivors of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3):454-462. https://doi.org/10.4040/jkan.2016.46.3.454 

  13. Jeong YJ, Kim HS. Post-traumatic growth among stroke patients: Impact of hope, meaning in life, and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9;31(6):605-617. https://doi.org/10.7475/kjan.2019.31.6.605 

  14. Cann A, Calhoun LG, Tedeschi RG, Solomon DT. Posttraumatic growth and depreciation as independent experiences and predictors of well-being. Journal of Loss and Trauma. 2010;15 (3):151-166. https://doi.org/10.1080/15325020903375826 

  15. Tedeschi RG, Calhoun LG.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2004;15(1):1-18.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501_01 

  16. Jeon YJ, Bae JK.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social support and intentional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2013;34(2):215-228. 

  17. Yu JP. The Basics and interpret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2. 567 p. 

  18. Thomas-Riddle R.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work stress, and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and cynicism in police officers [dissertation]. [San Diego California]: United States International University; 1999. 

  19. Horowitz M, Wilner N, Alvarez W.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979;41 (3):209-218. https://doi.org/10.1097/00006842-197905000-00004 

  20. Weiss DS, Marmar CR.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Keane TM, Wilson JP, editor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New York: Guilford Press; 1997. 399-411 p. 

  21. Eun HJ, Kwon TW, Lee SM, Kim TH, Choi MR, Cho SJ.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5;44(3):303-310. 

  22. Park JH.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and self-disclosure regarding the stressful life event on negative emo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2;17(1):271-286.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16 

  23.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24. Joo SA. A study of PTSD of the subway operators with the experience of "person under train" incident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9. 138 p. 

  25. Calhoun LG, Cann A, Tedeschi RG, McMillan J. A correlational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ion, and cognitive processing.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00;13(3):521-537. https://doi.org/10.1023/A:1007745627077 

  26. Shin SY, Chung NW. The effect of meaning in life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Rumin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2012;33(2):217-235. 

  27. Song SH, Lee HS, Park JH, Kim K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9;14(1):193-214. 

  28. Kim JK. A study on the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of police officer.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2012;14(5):31-54. 

  29. Yu HJ.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deliberate rumination in the influence of resilience and distress perception on posttraumatic growth.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4;15(1):59-85. 

  30. Park SJ, Jung K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loss of parents on the posttraumatic growth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deliberate rumination, active coping. Journal of Youth Welfare. 2016;18(2):115-14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