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진 피해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of Earthquake Victim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3, 2019년, pp.345 - 356  

곽민영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PTG) of earthquake victims based on Tedeschi and Calhoun's model (2004).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95 earthquake victims living in K. City. The exogenous variables include dis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변수 간 관계와 경로 등의 결과를 토대로 지진 피해자의 외상 후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전략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진 피해자의 고통 지각은 외상 후 성장에 직접 연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매개로 외상 후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Calhoun과 Tedeschi [10]가 제시한 외상 후 성장 이론과 선행문헌을 바탕으로 지진 피해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및 직·간접적 경로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모형의 적합도를 검정하여 지진 피해자의 외상 후 성장을 설명하는 구조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Calhoun과 Tedeschi [10]의 외상 후 성장 모델과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지진 피해자의 외상 후 성장에 관한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모형에서 제시한 가설들을 검정하는 횡단적 설계의 구조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지진 피해자의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는 직간접적인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횡단적 조사를 시행하였 지만, 포항지진 및 반복되는 여진과 관련한 대상자의 외상사건 노출 시기와 각 변수 간 시간적 우선성을 고려하여 외상 후 성장의 변화과정을 확인하는 종단적 연구가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연구대상에 있어 남녀의 표본 수 차이(여자 166명, 남자 29명)가 상대적으로 크며 지진 이외의 외상사건 경험이 있는 자가 포함되어 연구결과를 지진 피해자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대상자 선정 단계에서 외상 사건의 경험 및 성비를 고려하거나 남녀의 집단을 구분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외상 후 성장을 비교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외상 후 성장 이론[10]에서는 주변사람들에게 자신의 외상 경험을 노출하고 공유하면서 주변인의 수용과 지지를 받으며 감정 해소,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촉진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자기 노출이 궁극적으로 외상경험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줌으로써 외상에 대한 의미를 재구조화하여 성장을 이루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이므로 본 연구와 맥락을 같이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Calhoun과 Tedeschi [10]의 외상 후 성장 이론과 문헌고찰을 토대로 하여 외상 경험 이후에도 반복되는 재발 위험성을 안고 살아가는 지진 피해자의 외상 후 성장 가설모형을 구축하고 실제 피해자를 대상으로 모형을 검정함으로써, 지진 충격을 극복하고 나아가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외상 후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는 무엇이었는가? 연구결과, 지진 피해자의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하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변수는 고통 지각, 회복탄력성, 의도적 반추였으며, 고통 지각, 사회적 지지는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통 지각, 회복탄력성이 크고 의도적 반추를 많이 할수록 외상 후 성장이 높으며, 고통 지각과 사회적 지지가 클수록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매개로 하여 외상 후 성장이 높음을알 수 있었다.
지진 이후 지역 사회주민들이 겪는 영향은 무엇인가? 7%는 각종 정신건강 문제로 고통을 겪었다[2]. 더욱이 지진 이후 언론 보도를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 역시 심리적 스트레스와 혼란을 경험하게 되며 재난의 슬픔을 공유하고 영향을 받게 된다. 그리하여 자연 재난 중에서도 특히 지진은 지역사회 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직접적인 피해 당사자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위기를 가져올 만큼 그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2].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 점수는 몇 점이었으며,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은 평균 26.28점이었으며 문항 평균은 1.64점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의 외상 후 성장 평균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이는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지금까 지의 연구 대부분이 자연 재난 이외의 인적 재난, 질병 및 대인간 외상 유형을 다루었던 점에서 설명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oo MR, Choi SY, Han HL, Seo YM, Noh MI. The effect of post-traumatic growth, resilience, and optimism on quality of life among the disaster Victim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015;33(2):1-14. 

  2. Uemura M, Ohira T, Yasumura S, Otsuru A, Maeda M, Harigane M, et al. Association between psychological distress and dietary intake among evacuees aft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in a cross-sectional study: The Fukushima Health Management Survey. British Medical Journal Open. 2006;6(7):e011534. https://doi.org/10.1136/bmjopen-2016-011534 

  3. Choi NH, Byun JH, Han DI, IM SB. Psychological impact and depressive response of sufferers of natural disaster, a torrential downpou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7;16(2):139-149. 

  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 Seismological annual report [Internet]. Seoul: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7 [cited 2017 october 16]. Available from: http://web.kma.go.kr/notify/press/kma_list.jsp?bidpress&modeview&num1193318 

  5. Kim Y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disaster mental health and the roles and contributions of social work fiel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011;42(4):5-34. 

  6. Alderman K, Turner LR, Tong, S. Assessment of the health impacts of the 2011 summer floods in Brisbane.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Preparedness. 2013;7(4):380-386. https://doi.org/10.1017/dmp.2013.42 

  7. Goto T, Wilson JP, Kahana B, Slane S. The Miyake Island volcano disaster in Japan: Loss, uncertainty, and relocation as predictors of PTSD and depression.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006;36(8):2001-2026. https://doi.org/10.1111/j.0021-9029.2006.00091.x 

  8. Song SS, Kim KH, Kwon SJ, Lee H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2006 Annual Conference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6 August 18-19;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006 August. 695 p. 

  9. Kwak M, Bae J.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in firefigh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17;26(2):124-133. 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2.124 

  10. Calhoun LG, Tedeschi RG. Target article: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An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Psychological Theory. 2004;15(1):1-18.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501_01 

  11. Kim MY. Posttraumatic growth characteristics and di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5;15(4):239-245. 

  12. Kim BR, Shin HC.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meaning in life on posttraumatic growth: Mediating effect of searching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010;22(1):117-136. 

  13. Kim MY, Kim KS. Influence of hope, core beliefs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in mothers of chronically ill children.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4):493-502. 

  14. Choi SM. Exploration of posttraumatic growth related variable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8. 107 p. 

  15. Han YM. The influence of ego resilience on post-traumatic growth in single men and women who have experienced dating relationship breakup [master's thesis]. [Seoul]: Myongji University; 2015. p. 1-69. 

  16. Bellizzi KM, Blank TO.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s. Health Psychology. 2006;25(1):47-56. https://doi.org/10.1037/0278-6133.25.1.47 

  17. Cann A, Calhoun LG, Tedeschi RG, Vishnevsky T, Lindstrom CM. Assessing posttraumatic cognitive processes: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Anxiety, Stress, & Coping. 2011;24(2):137-156. https://doi.org/10.1080/10615806.2010.529901 

  18. Linley PA, Joseph S.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04;17(1):11-21. 

  19. Kim YA, Choi YK. A qualitative study for the process of post-traumatic growth-a comparison of trauma survivors'and therapists'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7;22(1):199-228. 

  20. Yoon MS, Park EA. Posttraumatic growth amo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1;39:61-89. 

  21. Lee S, Kim YJ. Posttraumatic growth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6):907-915. https://doi.org/10.4040/jkan.2012.42.6.907 

  22. Shin SY, Jeong NW. The effect of meaning in life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2012;33(2):217-235. 

  23. Yu HJ.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deliberate rumination in the influence of resilience and distress perception on posttraumatic growth.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4;15(1):59-85. 

  24. Yu JP.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2. 567 p. 

  25. Shin WY, Kim MG, Kim JH.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udies on Korean Youth. 2009;20(4):105-131. 

  26.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127 p. 

  27. Ahn HH, Joo HS, Sim KS, Min JW. Validation of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in a Korean population.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2013;13(1):839-854. 

  28. Calhoun LG, Tedeschi R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6;9(3):455-471. https://doi.org/10.1002/jts.2490090305 

  29. Eun HJ, Lee SM, Kim TH. The epidemiological stud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1;40(4):581-591. 

  30. Kim HS, Nam CY, Lee HJ. Effects of post traumatic growth of firefighters-focused on the D-city fire official.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2014;10(10):103-1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