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8 no.3, 2020년, pp.268 - 273
송지민 (한경대학교 생명공학부 원예생명공학전공) , (한경대학교 생명공학부 원예생명공학전공) , 김자윤 (한경대학교 생명공학부 원예생명공학전공) , 강대선 ((주)케이글로벌) , 유정연 (한경대학교 생명공학부 원예생명공학전공) , 강희완 (한경대학교 생명공학부 원예생명공학전공)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composting spent mushroom substrate (SMS) materials of Lentinula edodes (Le), Hericium erinaceus (He), and Pleurotus ostreatus (Po). The different SMSs were composted for 7 to 10 days at high temperatures over 50℃; the composting procedure was co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농산버섯이 연간 약 16만 톤이나 생산될 수 있게 된 배경은? | 국내 버섯 생산량 중 농산버섯은 팽이, 큰느타리, 느타리버섯이 88%이상을 차지 하며 자동화 규모화에 힘입어 대량생산체계가 정립되어 약 16만톤/년이 생산되고 있다. 임산 버섯의 대표적인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의 생산량은 31,000톤/년 내외가 되며 원목재배 에서 톱밥 봉지 재배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 볼 수 있다. | |
임산 버섯의 대표적인 버섯은? | 국내 버섯 생산량 중 농산버섯은 팽이, 큰느타리, 느타리버섯이 88%이상을 차지 하며 자동화 규모화에 힘입어 대량생산체계가 정립되어 약 16만톤/년이 생산되고 있다. 임산 버섯의 대표적인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의 생산량은 31,000톤/년 내외가 되며 원목재배 에서 톱밥 봉지 재배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 볼 수 있다. 버섯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산물로 버섯수확후배지(spent mushroom substrate, SMS)도 동시에 증가 되고 있으며 대략 100 만톤 이상이 방출되고 있다. | |
버섯수확후배지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 버섯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산물로 버섯수확후배지(spent mushroom substrate, SMS)도 동시에 증가 되고 있으며 대략 100 만톤 이상이 방출되고 있다. 느타리, 송이, 팽이, 양송이, 표고 등의 SMS는 퇴비로 직접 살포하거나 가축의 사료 첨가제, 토양개량제 및 bioremidation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SMS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물병원균 방제에 유용하게 활용 된 바 있다(Kang, 2019). |
Ben-Dor E, Banin A. 1989. Determination of organic matter content in arid-zone soils using a simple "loss-on-ignition" method. Commun Soil Sci Plant Anal 20: 75-1695.
Brady NC. 1990.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Macmillan, New York, USA.
Bremner JM. 1965. Total nitrogen. In C. A. Black (ed.) Methods of Soil Analysis.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Wisconsin, USA.
Gonzalez-Marcos A, et al. 2014. Composting of spent mushroom substrate and winery Sludge. Comp Sci Ultiliz 23: 58-65.
Kang HW. 2019. Industrial utilization of spent mushroom substrate. J Mushrooms 17: 85-92.
Lee CJ, et al. 2009. Applicability of spent mushroom media as horticultural nursery media. Kor J Soil Sci Fertil 42: 117-122.
Lou Z, et al. 2017. Composition variability of spent mushroom substrates during continuous cultivation, composting process and their effects on mineral nitrogen transformation in soil. Geoderma 307: 30-37.
Paula FS, et al. 2017. Stabilisation of spent mushroom substrate for application as a plant growth-promoting organic amendment. J Environ Manage 196: 476-486.
Said-Pullicino D, Erriquens FG, Gigliotti G. 2007. Changes i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extractable organic matter during composting and their influence on compost stability and maturity. Bioresour Technol 98: 1822-1831.
Suess A, Curtis J. 2006. Report: value-added strategies for spent mushroom substrate in BC. British Columbia Mushroom Industry, Columbia, UK. pp. 101.
Uzun I. 2004. Use of spent mushroom compost in sustainable fruit production. J Fruit Ornam Plant Res 12: 157-165.
Zhang L, Sun X. 2014. Changes in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during the two-stage co-composting of green waste with spent mushroom compost and biochar. Bioresour Technol 171: 274-284.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