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2형 양극성 장애의 주요우울 삽화에 대한 복합 한방 치료 사례보고: 대인관계 및 사회적 리듬 치료와 변증 치료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a Patient with Major Depressive Episode of Bipolar II Disorder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Interpersonal and Social Rhythm Therapy and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31 no.3, 2020년, pp.213 - 223  

이지윤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  김주연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  정진형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  정인철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제2형 양극성 장애 환자에게 한의학적 변증체계와 함께 IPSRT의 심리 치료 기법을 적용한 증례이다. 제2형 양극성 장애 환자에게 한의치료와 IPSRT를 4개월간 병용한 결과, 환자의 사회적 리듬, 우울증 및 대인관계 능력이 개선되었으며 4개월후 추적조사에서도 호전상태가 유지되었다. 향후 양극성 장애 환자에 대한 높은 근거수준의 한의 임상연구 수행과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의 개발 등을 통해 양극성장애에 한의치료가 보다 활발히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determine treatment effects of a combination of interpersonal and social rhythm therapy and Korean medicine for a patient with major depressive episode of bipolar II disorder. Methods: A patient wa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acupuncture, herbal medicine, etc.) and interpersonal a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通於陰蹻하는 照海와 通於陽蹻하는 申脈을 불면을 증상 개선을 위해 사용하였고, 이를 지속하기 위해 혈위에 추가로 피내침을 부착하였다29). 百會, 神庭 鬱로 인한 上焦熱을 淸熱하고 安神시켜 頭痛, 目眩을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였다28).
  • 심리치료는 환자의 인지재구성 및 대처능력을 향상시켜 우울 삽화 또는 조증 삽화의 재발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생물학적 취약성을 기반으로 하는 양극성 장애의 특성상 단독치료로 증상을 관리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3). 따라서 한의치료를 통해 의과 치료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줄이면서 다양한 증상을 개선시키고, IPSRT를 통해 대인관계에 대한 대처전략을 수립하고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일반적인 한의치료와 함께 IPSRT를 병용할 때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증상이 일정 정도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고, 환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특정한 대인관계 상황에서의 적절한 대처를 습득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 즉, 하루의 리듬 안에서 인체의 위기(衛氣)가 주간는 양분(陽分)을 순행하고 야간에는 음분(陰分)을 순행하여 일어나는 생리적 과정이라고 보았다11). 따라서, 이러한 균형이 깨질 때 수면 관련 장애가 발생한다고 보아 함께 동반된 증상들을 변증하여 진단하고 치료하고자 하였다.
  • 이전 한의계의 연구를 살펴보면 MBTI를 활용한 증례12)와 고방치료를 적용한 증례 보고13)가 있었으나 이외 높은 근거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는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양극성 장애에 대해 IPSRT의 대인관계 정신치료, 사회적 리듬 치료와 함께 한의학적 변증 치료를 통해 병의 증상과 신체적 특징, 소증의 치료를 병행한다면 양극성 장애 환자를 보다 통합적인 수준에서의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원에 내원한 제2형 양극성 장애 환자에 대해 한의 치료와 더불어 IPSRT의 치료 도식을 사용한 증례가 있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본 논문은 제2형 양극성 장애 환자에게 IPSRT와 한의학적 변증 체계를 진단 및 치료에 적용한 사례이다. 환자는 기존의 의과 약물 치료를 스스로 중단한 이유가 떨림, 과도한 졸림, 우울증 악화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 본 논문은 제2형 양극성 장애 환자에게 한의학적 변증 체계와 함께 IPSRT의 심리 치료 기법을 적용한 증례이다. 제2형 양극성 장애 환자에게 한의치료와 IPSRT를 4개월간 병용한 결과, 환자의 사회적 리듬, 우울증 및 대인관계 능력이 개선되었으며 4개월후 추적조사에서도 호전상태가 유지되었다.
  • 본 논문에서는 양극성 장애에 대해 IPSRT의 대인관계 정신치료, 사회적 리듬 치료와 함께 한의학적 변증 치료를 통해 병의 증상과 신체적 특징, 소증의 치료를 병행한다면 양극성 장애 환자를 보다 통합적인 수준에서의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원에 내원한 제2형 양극성 장애 환자에 대해 한의 치료와 더불어 IPSRT의 치료 도식을 사용한 증례가 있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매번 환자는 주로 낮잠 이후 밤에는 잠이 잘 오지 않아서 12:00 am 이후로 잠자리에 들어 1:00∼ 2:00 am 가량 입면하고 9:00∼10:00 am에 기상하는데, 깨어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아침의 과한 졸림이 있어 이를 2∼3시간 정도의 낮잠으로 보충하였다. 수면 주기가 지연되어 있었기 때문에 잠자리에 드는 시간을 10:30 pm까지 당기는 것을 목표로 하였고, 낮잠을 자더라도 오후 2시 이전에 30분 안으로 짧게 잘 것을 권고하였다. 환자는 당시 꼭 나가야 할 규칙적인 직장이 없었고 우울감이 심할 때는 9:00∼ 10:00 am 사이까지 기상하지 않고 있었기에 잠자리에 늦어도 7:30 am에는 일어나 9:00 am에는 첫 번째 교류를 할 수 있도록 권고하였다.
  • 그리고 대인관계 인벤토리(Interpersonal inventory)라고 하여, 환자가 관계에서 주로 보이는 패턴, 상대방과 심리적 거리를 어느 정도까지 좁힐 수 있는지(capacity for intimacy), 그리고 특히 현재 관계들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치료 중기에 초점을 맞추어 치료할 수 있도록 IPT에서 제시하는 네 가지 영역의 대인관계 중 어느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환자는 본인에게 불편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사람으로 아버지, 군대 선임, 맞먹으려 하는 후배 등을 꼽았다.
  • 환자는 IPT 이후 가정에서 나 전달법(I-message)로 아버지와 대화를 시도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적용해 본 사례는 가정에서 아버지가 형광등을 교체하는 작업을 하는 도중 잘 되지 않는다며 가족들에게 화를 냈었는데, 환자는 아버지에게 함께 화를 내거나 자리를 피하는 대신 소리를 지르는 것에 대해 본인이 느끼는 불안하고 놀란 감정을 설명하였다고 한다.
  • 앞으로의 치료는 이러한 갈등 상황에서 환자가 기능적으로 대처할 있는 방안에 초점을 맞출 것임과 앞으로의 치료 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환자도 함께 사는 아버지와 겪고 있는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여 치료를 시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Tohen M, Frank E, Bowden CL, Colom F, Ghaemi SN, Yatham LN, Malhi GS, Calabrese JR, Nolen WA, Vieta E, Kapczinski F, Coodwin GM, Suppes T, Sachs GS, Chemgappa KR, Grunze H, Mitchell PB, Kanba S, Berk M..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Bipolar Disorders (ISBD) Task Force report on the nomenclature of course and outcome in bipolar dis orders. Bipolar Disord 2009;11(5):453-73.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rlington, VA: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991. 

  3. Jung YE, Kim MD. Psychosocial Treatment for Bipolar Disorder. Mood Emot 2016;14:19-24. 

  4. Yatham LN, Kennedy SH, Parikh SV, Schaffer A, Beaulieu S, Alda M, et al. Canadian Network for Mood and Anxiety Treatments(CANMAT) and International Society for Bipolar Disorders(ISBD) col laborative update of CANMAT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Bipolar Disord. 2018; 20(2):97-170. 

  5. Goodwin GM, Haddad PM, Ferrier IN, Aronson JK, Barnes TRH, Cipriani A, Coghill DR, Fazel S, Geddes JR, Grunze H, Holmes EA, Howes O, Hudson S, Hunt N, Jones I, Macmillan IC, McAllister-Williams H, Miklowitz DR, Morriss R, Munafo M, Paton C, Sahakian BJ, Saunders KEA, Sinclair JMA, Taylor D, Vieta E, Young AH.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treating bipolar disorder: Revised third edition recommendations from the British Association for Psychopharmacology. J Psychopharmacol 2016;30(6):495-553. 

  6. Miklowitz DJ, Johnson SL. Social and familial risk factors in bipolar disorder: basic processes and relevant interventions. Clin Psychol (New York). 2009;16(2): 281-96. 

  7. Harvey AG. Sleep and circadian functioning: critical mechanisms in the mood disorders? Ann Rev Clin Psychol 2011;7:297-319. 

  8. Kim BN. Evidence-Based Treatments of Bipolar Disorder.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9;38(4):427-44. 

  9. Lee HJ. Is the Circadian Rhythm Dysregulation a Core Pathogenetic Mechanism of Bipolar Disorder?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4):276-86. 

  10. Choe EH. Interpersonal and Social Rhythm Therapy(IPSRT). J of Kor Soc for Dep and Bip Disorders 2004;2:211-6. 

  11. Cho YS, Kim BK. Effects of Tianwangbuxin-dan, Wendantang, Guipi-tang on the expression of MT1 and MT2 melatonin receptors in C6 glial cells.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0;21(2):103-23. 

  12. Kang HC, Choi WJ, Hu YS, Lee SG. Clinical study on a case of Bipolar disorder with MBTI and OMT.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5;16(1):201-9. 

  13. Roh YB, Choi YH. 49 Case reports of Depressive disorder and Bipolar disorder Patient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J of KMediACS 2010;2(1):15-24. 

  14. Lee SM, Shin YS, Nam DW, Choi DY. Korean Translation of the CARE guidelines. The Acupuncture 2015;32(4):1-9. 

  15. Mental health Scale Research team. Manual of Evidence-Based Mental health Scale.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2020:175. 

  16. Lee SH, Huh YJ, Kim JH, Han CS. Finding Optimal Cut Off Point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PHQ-9) for Screening Depressive Disorders. J of Kor Soc for Dep and Bip Disorders 2014;12:32-6. 

  17. Sasdelli A, Lia L, Luciano CC, Nespeca C, Derardi D, Menchetti M. Screening for Bipolar Disorder Symptoms in Depressed Primary Care Attenders: Comparison between Mood Disorder Questionnaire and Hypomania Checklist (HCL-32). Psychiatry Journal 2013:n.pag 

  18. Kim CH, Min KJ, Shin YC, Yun BH, Cho HS, Jon DI, Kim YK, Kwon JS, Bahk WM et al. Feasibility of Korean Medication Algorithm for Bipolar Disorder(I):Global Assessment. Korean J Psychopharmacol 2005;16(3):225-33. 

  19. Lee EH, Choi WC, Jung IC.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n Pattern Identifications for Depression.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3;24(4):435-50. 

  20. Jeong JH, Lee JY, Kim JY, Kim SY, Kang WC, Lim JH, Kim BK, Jung IC. A Pilot Study of Evalua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attern Identification Tool for Insomnia and Analyzing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Tests.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20;31(1):1-12. 

  21. Abdullah S, Murnane EL, Matthews M, Choudhury T. Circadian Computing: Sensing, Modeling, and Maintaining Biological Rhythms. Rehg J eds. Murphy SA. Kumar S. Mobile Health: Sensors, Analytic Methods, and Applications. 1st ed.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35-58. 

  22. Choe EH. Interpersonal and Social Rhythm Therapy(IPSRT). J of Kor Soc for Dep and Bip Disorders 2004;2:211-6. 

  23. Kim EJ, Yook SP, Cho YJ. The Study of a Group Counseling Effect Based on Interpersonal Psychotherapy(IPT) for Elders Who Lives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6;36(2):233-57. 

  24. Jin SM, Son CN. Effects of Interpersonal Psychotherapy for Group (IPT-G) on Depression Decrease, Anger Control, and Suicidal Ideation Decrease of Depression-prone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5;34(3):649-66. 

  25. Curriculum for Practitioner Training in Interpersonal Psychotherapy(Trainee). Available from: https://interpersonalpsychotherapy.org/ [Accessed Aug 25 2020] 

  26. Department of Prescriptions of Oriental Medicine. Medical Prescriptions. Revised edition. Younglim-sa. 2019:620. 

  27. Song IS, Lee JL, Ha KS, Shin JN.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Insook-san on disorder of sleep in childhood.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2004;18(2):201-8. 

  28. Institute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Acupuncture Medicine.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Jipmumdang. 2012:928. 

  29. Kim SH, Lee CH, Yuk SW, Lee KG, Lee TY, Lee SR. Central neural pathways projecting to the acupoints B62 and K6 using the neural tracer. J Acupunct Res. 2001;18(2):51-66. 

  30. Frederick KG, Kay RJ. Manic-depressive illness: Bipolar disorders and recurrent depression. New York, NY: Ox ford University Press. 2nd rev. ed. NY: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62. 

  31. Kim BN. Evidence-Based Treatments of Bipolar Disorder.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9;38(4):427-44. 

  32. Chantal H, Donatienne VDB, Frank B, Isabelle R, Joel S, Katia MB, Larry JS, Marion L. Affective lability and affect intensity as core dimensions of bipolar disorders during euthymic period. Psychiatry Res. 2008;30(159):1-6. 

  33. David EK. Managing the side effects associated with commonly used treatments for bipolar depression. J Affect Disord. 2014;169:34-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