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층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고해상도 KOMPSAT-3 위성영상 기반 토지피복분류
Land Cover Classification Based on High Resolution KOMPSAT-3 Satellite Imagery Using Deep Neural Network Model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3 no.3, 2020년, pp.252 - 262  

문갑수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김경섭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정윤재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격탐사 분야에서 토지피복분류에는 머신러닝 기반의 SVM 모델이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한편,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다목적실용위성의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KOMPSAT-3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신경망 모델의 토지피복분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경주시 인근 해안지역의 위성영상을 취득하여 훈련자료를 제작하고, 물과 식생 및 육지의 세 항목에 대해 SVM, ANNDNN 모델로 토지피복을 분류하였다. 분류 결과의 정확도를 오차 행렬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 DNN 모델을 활용한 토지피복분류가 92.0%의 정확도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향후 다중 시기의 위성영상을 통해 훈련자료를 보완하고, 다양한 항목에 대한 분류를 수행 및 검증한다면 연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mote Sensing, a machine learning based SVM model is typically utilized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study using neural network models is also being carried out continuously. But study using high-resolution imagery of KOMPSAT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KOMPSAT-3 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SVM, ANN 및 DNN 모델의 토지피복분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오차 행렬을 사용하여 전체 정확도와 생산자 및 사용자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전체 정확도는 일반적인 정확도를 의미하고, 생산자 정확도는 토지피복 도를 만든 분석가의 관점에서 분류 모델이 얼마나 정확하게 분류해 내느냐의 관점에서의 정확도를 의미하며, 사용자 정확도는 토지피복도를 사용하는 관점에서 생성된 토지피복도가 실제 지표 피복과 얼마나 일치하느냐 하는 관점에서의 정확도를 뜻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KOMPSAT-3 위성 영상을 활용한 토지피복분류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우수한 SVM 모델과 비교하여 신경망 모델인 ANN 및 DNN의 토지피복분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ANN 모델에 의한 피복분류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정확도를 나타내었지만, DNN 모델에 의한 피복분류는 SVM 모델을 이용한 분류에 비해 전체 정확도는 1.
  • 본 연구에서는 해안지역의 토지피복을 SVM, ANN 및 DNN 모델로 각각 분류하여 토지피복 도를 생성하고, 대표적인 분류기인 SVM과 비교하여 신경망 모델의 분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고해상도 KOMPSAT-3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토지피복을 분류하고 정확도를 평가하는 과정은 그림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분류 기법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음에도 고해상도 위성영상, 특히 국내위성인 KOMPSAT 위성영상 기반의 해안지역 토지피복분류에 신경망 모델을 활용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해안지역의 경우 물과 육지의 경계이므로 신경망 분류법에 의해 분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국내위성인 KOMPSAT-3 위성영상을 바탕으로 한 해안지역 토지피복분류에 있어서 대표적인 분류 기법인 SVM과 비교하여 기본적인 신경망 모델인 ANN 및 DNN의 분류 정확도 평가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지피복분류란 무엇인가? 원격탐사 분야에서 토지피복분류는 전형적인 응용 방법의 하나로, 지표면의 물리적 상황을 여러 기법을 통해 분류하는 것이다(Yang et al., 2002).
SVM의 전체 정확도는 얼마인가? 분류 정확도가 높은 대표적인 모델인 SVM의 전체 정확도는 91.0%로 우수하였으며, 물과 식생 및 육지의 분류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고른 정확도를 보였다. 그러나 물을 분류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 정확도가 80.
KOMPSAT-3 위성 영상을 활용한 토지피복분류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우수한 SVM 모델과 비교하여 신경망 모델인 ANN 및 DNN의 토지피복분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한 본 연구의 한계점은?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단일시기 위성영상만을 사용하였고 분류 항목을 물과 식생, 육지의 세 가지로 한정하였다는 한계점이 있으며, 향후 연구를 통해 보다 많은 데이터와 은닉층을 이용하여 다양한 항목을 분류 및 검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akraborty, T., M.S. Alam and M.D. Islam. 2019. Land cover classification from multispectral remote sensing image using k-nearest neighbor, deep neural network, decision tree and SVM Algorithms: a machine learning-based comparison approach. Conference paper of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rban and Regional Planning 2019. Dhaka, Bangladesh, Oct. 5, 2019. pp.1-10. 

  2. Elhag, M. and S. Boteva. 2016. Mediterranean land use and land cover classification assessment using high spatial resolution data. World Multidisciplinary Earth Sciences Symposium, IOP Conference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Prague, Czech Republic, Sep. 5-9, 2016. Vol. 44(4), 042032. 

  3. Heo, S.Y., J.Y. Kim and T.H. Moon. 2018. Predicting crime risky area using machin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1(4):64-80. 

  4. Jeon, H.S. and G.S. Cho. 2000. A comparison of neural networks and maximum likelihood classifier for the classification of land-co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8(2):23-33. 

  5. Jo, W.H., Y.H. Lim and K.H. Park. 2019. Deep learning based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 case stud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4(1):1-16. 

  6. Kang, M.S., S.W. Park and K.S. Yoon. 2006. Land cover classification of image dat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2(1):75-83. 

  7. Kang, N.Y., J.G. Pak, G.S. Cho and Y. Yeu. 2012. An analysis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IKONOS satellite im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0(3):65-71. 

  8. Kim, D.H., K.Y. Hwang and Y. Yoon. 2019. Prediction of traffic congestion in seoul by deep neural network.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8(4):44-57. 

  9. Kim, H.O. and J.M. Yeom. 2012. A study on object-based image analysis methods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26-41. 

  10. Kim, Y.K. 2020. A study on urban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object-based image analysis(OBIA)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22(1):122-144. 

  11. Ko, S.Y., G. Jun and J.H. Won. 2016. HyperConv: spatio-spectral classication of hyperspectral images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9(5):859-872. 

  12. Ku. C.Y. 2007. Generation of the land cover map with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1(1):83-94. 

  13. Lee, H.J., J.H. Ru and Y.G. Yu. 2010. Extracting high quality thematic information by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8(1):73-81. 

  14. Lee, M.B., N.S. Kim, G.R. Lee and U. Han. 2005.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coastal area in oncheon gun of pyeongnam province by neural network classification using satellite images, West Coast of Nor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1(2):278-290. 

  15. Lee, M.J., S.R. Lee and S.W. Jeon. 2012. Landslide hazard mapping and verification using probability rainfal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2):57-70. 

  16. Lim, H.Y., H.S. Kim, J.S. Choi and S.H. Song. 2005. A study on efficient topography classification of high resolution satelite im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3(3):33-40. 

  17. Moon, T.H. 2000. Integrated simulation system of GIS and ANN for land price appraisa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3(2):1-10. 

  18. Na, H.S. and J.S. Lee. 2014. Analysis of land cover characteristics with objectbased classfication method -focusing on the DMZ in Inje-gun, Gangwon-d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2):121-135. 

  19. Song, A.R. and Y.G. Kim. 2017. Deep learning-based 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 with application to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3(6):1061-1073. 

  20. Yang, I.T., S.M. Han and J.K. Park. 2002. An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accuracy improvement in classification of remotely sensed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0(1):21-31. 

  21. Yoon, Y.S., Y.S. Kim and Y.S. Kim. 2007. A study on the object-based classification method for wildfire fuel type map.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6(1):213-221. 

  22. Xu, C.X., J.H. Lim, X.M. Jin and H.C. Yun. 2018. Land cover mapping and availability evaluation based on drone images with multi-spectral camer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6(6):589-5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