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지역사회 보행 수준 구별을 위한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8자 모양 경로 보행 검사, 네 막대 스텝 검사, 스텝 검사의 변별력과 예측 타당도
Discriminant and predictive validity of TUG, F8WT, FSST, ST for community walking levels in chronic stroke survivor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7 no.2, 2020년, pp.25 - 35  

이동건 (신세계요양병원) ,  안승헌 (국립재활원) ,  이규창 (경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re are many situations where walking in an actual community needs to change direction along with walking on a straight path, and this situation needs to be reflected in assessing walking ability of the commun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determine whether the assessm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러한 평가 도구들을 사용하여 지역사회 보행 수준을 구별하거나 예측하려면, 그 도구들의 변별력이나 타당도에 대해 먼저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보행 수준을 구별하고 예측하기 위한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8자 모양 경로 보행 검사, 네 막대 스텝 검사, 스텝 검사가 지역사회 보행 수준을 구별하는데 선별 기준값과 변별 타당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지역사회 보행 수준 구별을 위한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8자 모양 경로 보행 검사, 네 막대 건너기 검사, 스텝 검사의 변별력과 예측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전 연구에 의하면 직선 보행에서 이루어지는 단거리 보행 속도 검사(5m∼10m)와 먼거리 보행 지구력(6분 보행)의 지역사회 보행 수준 구별을 위한 선별 기준값과 변별 타당도는 다양하게 보고되었으며 매우 중요한 변수로 보고되었다 (Bijleveld-Uitman 등, 2013; van de Port 등, 200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성철, 허영구. 편마비 환자의 트레드밀과 체중지지의 트레드밀 훈련이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8;25(1):31-43. 

  2. Benaim C, Perennou DA, Villy J, et al. Validation of a stand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1999;30(9):1862-8. 

  3.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2;73(11):1073-80. 

  4. Bijleveld-Uitman M, van de Port I, Kwakkel G. Is gait speed or walking distance a better predictor for community walking after stroke? J Rehabil Med 2013;45(6):535-40. 

  5. Blennerhassett JM, Jayalath VM. The Four Square Step Test is a feasible and valid clinical test of dynamic standing balance for use in ambulant people post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8;89(11):2156-61. 

  6. Courtine G, Schieppati M. Human walking along a curved path. I. Body trajectory, segment orientation and the effect of vision. Eur J Neurosci. 2003;18(1):177-90. 

  7. Dite W, Temple VA. A clinical test of stepping and change of direction to identify multiple falling older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11):1566-71. 

  8. Duncan PW, Propst M, Nelson SG. Reliability of the Fugl-Meyer assessment of sensorimotor recovery following cerebrovascular accident. Phys Ther 1983;63(10):1606-10. 

  9. Flansbjer UB, Holmback AM, Downham D, et al. Reliability of gait performance tests in men and women with hemiparesis after stroke. J Rehabil Med 2005;37(2):75-82. 

  10. Fugl-Meyer AR, Jaasko L, Leyman I, et al. The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 1. a method for evaluation of physical performance. Scand J Rehabil Med 1975;7(1):13-31. 

  11. Fulk GD, Reynolds C, Mondal S, et al. Predicting home and community walking activity in people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10;91(10):1582-6. 

  12. Fulk GD, He Y, Boyne P, et al. Predicting Home and Community Walking Activity Poststroke. Stroke 2017;48(2):406-411. 

  13. Goh EY, Chua SY, Hong SJ, et al.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Four Square Step Test scores i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a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13;94(7):1306-11. 

  14. Greiner M, Pfeiffer D, Smith RD. Principle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for diagnostic tests. Prev Vet Med 2000;45(1-2):23-41. 

  15. Hill KD, Berhardt J, McGann AM, et al. A new test of dynamic standing balance for stroke patients: reliability, validity and comparison with healthy elderly. Physiother Can 1996;48:257-62. 

  16. Hong SJ, Goh EY, Chua SY, Ng S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tep test scores i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12;93(6):1065-71. 

  17. Kirschbaum JB, Axelson PW, Longmuir PE, et al. Pedestrian crossings. In: Designing sidewalks and trails for access. Part II: best practices design guide.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01. 

  18. Lennon S, Johnson L. The modified rivermead mobility index: validity and reliability. Disabil Rehabil 2000;22(18): 833-9. 

  19. Lerner-Frankiel M, Vargas S, Brown M, et al. Functional community ambulation: what are your criteria? Clin Manage 1986;6:12-5. 

  20. Liaw LJ, Hsieh CL, Lo SK, et al. The relative and absolute reliability of two balance performance measur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Disabil Rehabil 2008;30(9):656-61. 

  21. Lord SE, McPherson K, McNaughton HK, et al.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how important and obtainable is it and what measures appear predictive?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34-9. 

  22. Lord SE, Rochester L. Measurement of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s. Stroke 2005;36(7):1457-61. 

  23. Perry J, Garrett M, Gronley JK, Mulroy SJ. Classification of walking handicap in the stroke population. Stroke 1995;26(6):982-9. 

  24. Powell LE, Myers AM.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Scale.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1995;50A(1):M28-34. 

  25. Rosa MC, Marques A, Demain S, et al. Fast gait speed and self-perceived balance as valid predictors and discriminators of independent community walking at 6 months post-stroke--a preliminary study. Disabil Rehabil 2015;37(2):129-34. 

  26. Salbach NM, Mayo NE, Higgins J, et al. Responsiveness and predictability of gait speed and other disability measures in acu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1;82(9):1204-12. 

  27. Segal AD, Orendurff MS, Czerniecki JM, et al. Local dynamic stability in turning and straight-line gait. J Biomech 2008;41(7):1486-93. 

  28. Shumway-Cook A, Patla AE, Stewart A, et al. Environmental demands associated with community mobility in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mobility disabilities. Phys Ther 2002;82(7):670-81. 

  29. Tsang RC, Chau RM, Cheuk TH, et al. The measurement properties of modified Rivermead mobility index and modified functional ambulation classification as outcome measures for Chinese stroke patients. Physiother Theory Pract 2014;30(5):353-9. 

  30. van de Port IG, Kwakkel G, Lindeman E. Community ambul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how is it related to gait speed? J Rehabil Med 2008;40(1):23-7. 

  31. Wong SS, Yam MS, Ng SS. The Figure-of-Eight Walk test: reliability and associations with stroke-specific impairments. Disabil Rehabil 2013;35(22):1896-9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