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먹방의 유행과 문화현상 연구
A Study on the Trend and the Cultural Phenomenon of Mukba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9, 2020년, pp.68 - 85  

조은하 (강원대학교 영상문화학과)

초록

2000년대 초반 뉴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등장한 '먹방'은, 사회경제적 조건의 악화 속에서 혼자 식사를 해야 하는 청년 세대의 삶을 반영하였다. 많은 젊은이들이 먹방을 함께 시청하며, 비슷하게 어려운 처지를 겪는 이들과 가상적 일상 생활의 공동체를 구축하며 위안을 얻을 수 있었다. 이후 먹방은 사회를 반영하며, 또한 시청자의 요구를 수용하며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여, 현재는 한국에서만이 아니라 글로벌 현상이 되었다. 기존 연구는 이런 먹방의 성장과 변화보다는 초반에 나타나는 화제거리로서의 현상에만 주목하여 먹방을 제한적으로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런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먹방의 성장과 발전이 사회적 변화 과정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전개되었는가, 그리고 이런 먹방의 고유성이 어떻게 뉴 미디어의 특성 속에서 등장할 수 있었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먹방이 세계적 현상으로 성장한 맥락과 기존 미디어에 미친 영향 등을 두루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kbang, which appeared through the new media platform in the early 2000s, reflected the life of the young generation who had to eat alone in the face of deteriorating socio-economic conditions. Many young people were able to watch Mukbang together, and gain comfort by establishing a virtual communi...

주제어

표/그림 (1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먹방이란? 먹방은 식사(食事)를 메인으로 하는 방송 콘텐츠의 한 장르이다. 그런데 먹거리나 이를 먹는 행위만으로 먹방의 콘텐츠적 고유성을 주장할 수는 없다.
해외 먹방 콘텐츠에서 국내의 라면, 짜장면, 치킨, 떡볶이 등이 메인 메뉴로 자주 등장하는 이유는? 이처럼 타인에게 식사 장면을 제공하고, 타인의 식사 장면을 시청하는 단순하지만 독특한 방식의 먹방 콘텐츠가 국제적으로 소비되면서, 해외 크리에이터들도 자신의 고유한 음식문화를 소개하는 차별화된 먹방을 생산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해외 먹방 콘텐츠는, 콘텐츠의 원형에 대한 니즈로 인해, 음식 선정이나 촬영 방식 등 국내 먹방 콘텐츠들을 롤모델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먹방에서 선호하는 라면, 짜장면, 치킨, 떡볶이 등이 해외 먹방에도 메인 메뉴로서 자주 등장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제대로 된 한국 요리를 선보이기 위해 한국 식기를 별매하여 방송에 사용하기도 한다.
먹방의 다양화 추세를 내용 면에서 보았을 때, 초기의 대식/속식형 먹방과는 달리 지금은 어떤 형태로 차별화하고 있는가? 먼저 먹방의 다양화 추세를 내용 면에서 살펴보면, ‘누가, 무엇을, 어떻게 먹는가’라는 콘텐츠적 차별화 전략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분화한다. 콘텐츠 등장 초기에는 먹는 ‘양’과 먹는 ‘속도’에 초점이 맞춰지는 대식(大食)이나 속식(速食)형 먹방이 주를 이루었다면, 이후에는 ‘무엇을 먹는가’에 초점을 두고 메인과 디저트까지 다양한 메뉴를 나열하는 뷔페형 먹방, 새로 출시된 상품을 먼저 먹어보고 리뷰하는 시식(試食)형 먹방, ‘누가 먹는가’에 초점을 두고 특정 세대가 즐기는 메뉴를 해당 메뉴에 낯선 세대에 소개하면서 반응을 살펴보는 세대형 먹방, 외국인에게 한국음식을 소개하면서 반응을 살펴보는 대외(對外)형 먹방, ‘어떻게 먹는가’에 초점을 두고 조리과정을 보여주는 조리형 먹방, 다양한 식문화와 식사법을 설명하는 정보형 먹방도 등장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김예경, 김보연, 박여영, 박해균, "먹방 마케팅," 마케팅, 제51권, 제11호, pp.58-70, 2017. 

  2. Mengyu Yang, Greta Babenskaite, Mukbang Influencers, Online eating becomes a new marketing strategy, Master's Thesis, Uppsala University, 2019. 

  3. Samantha Gillespie, Watching Women Eat: A Critique of Magical Eating and Mukbang Video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Nevada, 2019. 

  4. 문영은, 심지수, 박동숙, "내가 좋아하는 먹방 BJ는요," 언론과사회, 제25권, 제2호, pp.58-101, 2017. 

  5. Mattias Strand and Sanna Aila Gustafsson, "Mukbang and Disordered Eating: A Netnographic Analysis of Online Eating Broadcasts," Culture Medicine and Psychiatry, Vol.44, No.2, 2020. 

  6. Kagan Kircaburan, Andrew Harris, Filipa Calado, and Mark D. Griffiths, "The association of addictive mukbang watching with mukbang watching motives, emotion regulation, impulsivity, and psychiatric distress," Journal of Concurrent Disorders, Vol.(TBD) No.(TBD), 2020. 

  7. 지앙슈에진, 황하성, "인터넷 개인방송 먹방 시청이 한국 대학생들의 시청행복감과 비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pp.103-111, 2019. 

  8. 강미정, 조창환, "욕구충족 영상콘텐츠(Vlog/ASMR/먹방) 이용 동기, 수용자 특성, 시청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호, pp.73-98, 2020. 

  9. 양사범, 김영빈, 한혜경, "먹방 이용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에 관한 한.중 대학생의 인식 비교 연구," 동북아문화연구, 제61권, pp.117-139, 2019. 

  10. Hanwool Choe, "Eating together multimodally: Collaborative eating in mukbang, a Korean livestream of eating," Language in Society, Vol.48, pp.171-208, 2019. 

  11. 최강민, "먹방 전성시대를 해부하다," 플랫폼, 제51호, pp.35-39, 2015. 

  12. 노의현, "'먹방'의 욕망에서 '쿡방'의 욕망으로," 문화과학, 제86권, pp.356-376, 2016. 

  13. 김예란, "인간-기계-동물의 다양체," 커뮤니케이션이론, 제13권, 제1호, pp.94-134, 2017. 

  14. 홍석경, 박소정, "미디어 문화 속 먹방과 헤게모니 과정," 언론과사회, 제24권, 제1호, pp.105-150, 2016. 

  15. 최영준, "시청자는 왜 TV먹방 (쿡방) 프로그램에 열광하는가?: 정치경제학적 접근과 스트레스 해소에 대한 고찰,"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44권, pp.121-150, 2017. 

  16. 장윤재, 김미라, "정서적 허기인가 정보 오락의 추구인가," 한국방송학보, 제30권, 제4호, pp.152-185, 2016. 

  17. https://www.youtube.com/channel/UC2tfQfxl_wmAosF4ES_zULw, 2020.06.10. 

  18. https://channels.vlive.tv/B4A951, 2020.06.10. 

  19. https://www.youtube.com/user/wangjugoddess, 2020.06.10. 

  20. https://www.youtube.com/user/thedivakorea, 2020.06.10. 

  21. https://www.youtube.com/user/eodyd188, 2020.06.10. 

  22. https://www.youtube.com/channel/UCsNVs68quFJMaDmR6frfUsQ, 2020.06.10. 

  23. https://www.youtube.com/channel/UCtvKnzSHvW8XUxfwpYkGrvQ, 2020.06.10. 

  24. https://www.youtube.com/channel/UCfpaSruWW3S4dibonKXENjA, 2020.06.10. 

  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A6KBBX8cLwYZNepxlE_7SA, 2020.06.10. 

  26. https://www.youtube.com/channel/UCWUwriihuQ_ybNrAOqbg3yg, 2020.06.10. 

  27. https://www.youtube.com/channel/UCyozK5OFN5lDrwim5wqQnLA, 2020.06.10. 

  28. FBE, "Youtubers React To Mukbang(Eating Shows)," https://youtu.be/SG5WcKr4_m0, 2020.06.10. 

  29. https://www.youtube.com/channel/UCPKNKldggioffXPkSmjs5lQ, 2020.06.10. 

  30. https://www.youtube.com/channel/UC5XuQxiWAB6f-qu6gJMDBQ, 2020.06.10. 

  31. https://www.youtube.com/channel/UC2fsxQr6Hcx1enORxXgKpxQ, 2020.06.10. 

  32. https://www.youtube.com/channel/UChYcJLnVxqgO3SkM6vKX9aw, 2020.06.10. 

  33. https://www.youtube.com/channel/UC0ZqpSq-OIpOITZ7U16-Xeg, 2020.06.10. 

  34. https://www.youtube.com/channel/UCoLQZ4ZClFqVPCvvjuiUSRA, 2020.06.10. 

  35. https://www.youtube.com/channel/UC5oft5dVf43M2cFmhpJLVGQ, 2020.06.10. 

  36. https://www.youtube.com/user/sleepshin, 2020.06.10. 

  37. https://www.youtube.com/channel/UC4PpFUrfT2Pou7OwpVF0MUQ, 2020.06.10. 

  38. https://www.youtube.com/channel/UC9Mo-ijXMy7LuGaLHkBxn7Q, 2020.06.10. 

  39. https://www.youtube.com/channel/UCUfwJCfZhyo5z_MH7zYynbw, 2020.06.10. 

  40. 이재흔, 관태기를 겪고 있는 20대의 인간관계 인식 및 실태조사 보고서 발표, 보도자료, 대학내일20대연구소, 2016.04.26. https://www.20slab.org/archives/12976 

  41. 전병유, 신진욱, 다중격차, 페이퍼로드, 2016. 

  42. 이승윤, 백승호, 김미경, 김윤영, "한국 청년노동시장의 불안정성 분석," 비판사회정책, 제54호, p.489, 2017. 

  43. 이수욱, 김태환, "소득변화에 따른 청년가구의 임대료부담능력 전망과 지불 가능한 임대주택 규모 추정," 주택연구, 제24권, pp.98-99, 2016. 

  44. Frances Cha, "South Korea's online trend: Paying to watch a pretty girl eat," CNN, 2014.02.03, https://edition.cnn.com/2014/01/29/world/asia/korea-eating-room 

  45. Elise Hu, "Koreans Have An Insatiable Appetite For Watching Strangers Binge Eat," Food for Thought, The Salt, NPR Morning Edition, 2015. 03.24, https://www.npr.org/sections/thesalt/2015/03/24/392430233/koreans-have-an-insatiable-appetite-for-watching-strangers-binge-eat 

  46. Stephen Evans, "The Koreans who televise the mselves eating dinner," BBC News, 2015.02.05. https://www.bbc.com/news/magazine-31130947 

  47. 존 스토리, 박모 역,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1999. 

  48. ヘルム?ト R ワ?グナ?, アルフレッド.シュッツ, 森重拓三, 中村正 (??), 明石書店, 2018. 

  49. David Lewis-Williams, David Pearce, Inside The Neolithic Mind, Thames & Hudson, 2005. 

  50. https://www.youtube.com/channel/UC-Bsa2ivAGWq7bsSPrPGFVA, 2020.06.10. 

  51. https://www.youtube.com/channel/UCBCY00Ox6Cins0oRwSLqNGA, 2020.06.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