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PBL 수업에서 과제참여 수준에 대한 몰입의 영향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 효과 탐색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Impact of Flow on the Level of Task Participation in PBL Classes for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9, 2020년, pp.150 - 157  

이은철 (백석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PBL 환경에서 과제참여 수준에 대한 몰입의 영향을 문제해결력이 매개하는지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6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몰입, 문제해결력, 과제참여 수준을 설문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사용하여 과제참여 수준에 대한 몰입의 영향에 대해 문제해결력이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제참여 수준에 대해 몰입의 영향이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력이 .292 수준에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제참여 수준에 대한 몰입의 영향을 문제해결력이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PBL 활동에서 문제해결력 지원을 통해 과제참여 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hether problem solving ability mediates the effect of flow on the level of task participation in PB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students(in Education methods and technology class).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flow, probl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선행연구에서 제시하지 못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한 것이 가장 큰 차별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논리적 근거는 PBL 활동에서 난이도가 높은 과제에 의해 몰입이 저해되고, 이를 통해서 과제참여 수준이 낮아질 때, 문제해결력을 지원함으로써 과제참여 수준에 대한 문제에 접근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한 것이다.
  • 먼저 PBL 수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성찰저널을 작성하도록 하여 자신의 학습 과정을 반성적으로 개선할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였다[6]. 다음으로 ICT 교수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상호작용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여서 수업 효과를 개선하고자 하였다[7]. 최근에는 플립드(Flipped) PBL을 통해서 학생들의 인지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하였으며[8], 학생들의 특성에 맞추어 인지적 스캐폴딩을 지원하거나[1], PBL 과제에 동기설계를 반영하여 과제에 대한 난이도 인식 수준을 조절하려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2].
  •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의 PBL 활동에 대한 몰입은 과제참여 수준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 둘째, PBL 활동에서 과제참여 수준에 대한 몰입의 영향을 문제해결력이 매개하는가?
  • 본 연구는 PBL 활동에서 과제참여 수준에 대한 몰입의 영향에 대해 문제해결력의 매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PBL 과제를 수행하였고, 과제 수행 중에 연구 대상의 몰입수준과 문제해결력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PBL 활동에서 과제참여수준에 대한 몰입의 영향에 대해 문제해결력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그 결과 첫 번째 연구문제인 과제참여수준에 대해 몰입은 .
  • 본 연구는 과제참여 수준은 측정하기 위해 PBL 활동을 수행하였다. PBL 활동은 4주에 걸쳐서 진행하였으며, 2학점 수업에서 1차시는 강의를 진행하였고, 1차시는 토론을 통한 협력활동을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PBL 활동에서 과제참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하였으며, PBL 활동에서 과제참여 수준에 대한 몰입의 영향에 대해 문제해결력이 매개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선행연구에 의하면 몰입은 과제참여 수준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학업성취 수준과 교과 흥미 그리고 학습 동기에도 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9].

가설 설정

  • 따라서 문제해결력에 따라서 과제참여 수준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에 PBL 활동에서 몰입이 과제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문제해결력의 매개를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선행연구들을 종합하면, 과제참여 수준에 대한 몰입수준의 직접적인 영향을 문제해결력이 매개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제참여 수준에 대한 몰입수준의 영향에 대해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 연구모형을 가정하고 검증하고자 한다[그림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BL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그러나 PBL은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높은 수준의 과제난이도를 인식하고, 여러 해결 방안 중에서 가장 적절한 것을 찾아야 하기에 의사결정에도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고 보고하고 있다[4]. 특별히 협력학습 활동 중에서 무임승차하는 학생들로 인해서 협력학습의 효과가 감소하거나[5], 생소한 학습방법으로 인해서 인지부하가 발생하기도 한다.
PBL의 장점은? 특별히 교육방법에 대한 혁신을 추구하며, 수업에서 PBL(Problem Based Learning)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다[2]. PBL은 실제 상황에서 만날 수 있는 복잡한 과제와 비구조화된 문제를 수행함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협력활동을 통해 협업 능력 및 의사소통, 상호작용 역량까지 향상되기 때문에 대학 수업의 교육방법으로 매우 선호되고 있다[3].
PBL 활동에 대한 흥미와 몰입 수준이 저하되는 원인은? 그러나 PBL은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높은 수준의 과제난이도를 인식하고, 여러 해결 방안 중에서 가장 적절한 것을 찾아야 하기에 의사결정에도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고 보고하고 있다[4]. 특별히 협력학습 활동 중에서 무임승차하는 학생들로 인해서 협력학습의 효과가 감소하거나[5], 생소한 학습방법으로 인해서 인지부하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처럼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서 학생들은 PBL 활동에 대한 흥미와 몰입 수준이 저해되기도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이은철,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스캐폴딩 지원이 PBL 수업 환경에서 교과 흥미와 상호작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2호, pp.471-482, 2019. 

  2. 이은철, "PBL수업에서 교육과정 편성 과제에 대한 동기 설계가 학습자의 교과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호, pp.334-344, 2020. 

  3. M. J. Dingel, W. Wei, and A. Huq, "Cooperative learning and peer evaluation: The effect of free riders on team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se performance and peer evaluation," Journal of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Vol.13, No.1, pp.45-56, 2013. 

  4. 양유정, "비구조화 복잡과제 학습에서 협력학습 방식이 인지부하 및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제29권, 제4호, pp.909-936, 2013. 

  5.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무임승차 학습자의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0호, pp.385-396, 2019 

  6. 정영란, 최혜숙, 장기완,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성찰일지 작성의 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4권, 제3호, pp.444-450, 2010. 

  7. 김영애, 박현숙, "ICT활용 문제중심학습(PBL)이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 신장에 미치는 효과: 농어촌 소인수 학급을 대상으로," 통합교육과정연구, 제2권, 제2호, pp.75-92, 2008. 

  8. 강인애, 허정필, 최성경, "Flipped PBL 과 Flipped Learning 간의 흥미도 및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pp.331-375, 2017. 

  9. 김아영, 탁하얀, 이채희,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1호, pp.39-59, 2010. 

  10. 이승은, 김영미, "PBL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2호, pp.73-89, 2018. 

  11. R. Hamalainen and P. Hakkinen, "Teachers' instructional planning for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Macro-scripts as a pedagogical method to facilitate collaborative learn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6, No.4, pp.871-877, 2010. 

  12. H. Bouta, S. Retalis, and F. Paraskeva, "Utilising a collaborative macro-script to enhance student engagement: A mixed method study in a 3D virtual environment," Computers & Education, Vol.58, No.1, pp.501-517, 2012. 

  13. M. Csikszentmihalyi,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y Bass, 1975. 

  14. E. L Deci, Intrinsic motivation, New York: Plenum Press, 1975. 

  15.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16. Z. R. de. Yolanda and Z. Victoria Zenotz, "Learning strategies in CLIL classrooms: how does strategy instruction affect reading competence over time?," Received, Vol.29, pp.319-331, 2017. 

  17. L. M. Fawcett and A. F. Garton, "The effect of peer collaboration on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British Educational Psychology, Vol.75, No.2, pp.157-169, 201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