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예술적 경험이 노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개인 창의적 특성을 매개로
Effects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on Elderly Life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e Trai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9, 2020년, pp.461 - 474  

이은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  고정훈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적 경험이 노인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개인 창의적 특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노인 144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 기술통계, 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적 경험과 노인생활만족도, 개인 창의적 특성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 둘째, 문화예술적 경험 하위요인 창작경험과 감상경험은 노인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창작경험과 감상경험은 매개변인인 개인 창의적 특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개인 창의적 특성은 문화예술적 경험과 노인생활만족도의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문화예술적 경험과 개인 창의적 특성은 노인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개인 창의적 특성은 문화예술적 경험을 통해 증진될 수 있다. 또한 개인 창의적 특성이 문화예술적 경험을 통해 증진될 경우 노인생활만족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on elderly life satisfaction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e traits. The outcome of the study on 144 elderly people using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is as fo...

주제어

표/그림 (5)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만족도란 무엇인가? 생활만족도가 낮은 노인일수록 우울을 경험할 확률이 높다는 것은 여러 선행연구에서 확인된다[2-4]. 생활만족도는 개인의 삶 전반에 대한 주관적 평가이자 삶 과정의 성공적인 적응을 의미한다[5]. 노년기 생활만족도를 높이기위해서는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삶의 동기가 요구된다.
노년기에 필요한 사고는 무엇인가? 노인의 불안정한 심리는 노화라는 인생의 변화에 창의적으로 적응하지 못해 삶의 흥미를 잃고 사회적 고립을 자초하는 생활태도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삶의 흥미와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는 노년기에 더욱 요구되며 이는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 생활만족도가 낮은 노인일수록 우울을 경험할 확률이 높다는 것은 여러 선행연구에서 확인된다[2-4].
노년기의 불안정한 심리가 지속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문제는? 사회활동에서 소외로 ‘상실’의 문제에 직면하면서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놓인다. 이러한 심리상태가 지속되면 우울증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극단적인 선택으로 생을 마감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2017년보건복지부의 노인실태조사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노인의 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보건복지부 통계 노인실태조사, 2017. 

  2. 이묘숙, "노인의 우울 수준이 죽음 불안에 미치는 영향 및 생활만족도 조절효과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9권, pp.241-265, 2010. 

  3. 윤명숙, 이묘숙, "지역사회 여성노인들의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6권, 제36호, pp.39-115, 2011. 

  4. 고정은, 이선혜,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층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1호, pp.322-352, 2012. 

  5. B. L. Neugarten, R. J. Havighurst, and S. S.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pp.134-143, 1961. 

  6. 송지준, 엄인숙, "중년과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우울, 고독감 간의 관계,"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제23권, 제1호, pp.43-62, (2008). 

  7. 백경숙, 권용신, "노년기의 경제활동과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5권, pp.87-106, 2007. 

  8. 최인근,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9. 정은화, "국내 노인 여가활동에 관한 설문조사연구,"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제1권, 제2호, pp.7-16, 2019. 

  10. 이석훈, 송강영, 김재운, "노인 여가활동 참여현황 및 활성화 방안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3권, 제3호, pp.234-243, 2008. 

  11. 홍석호, "경제적 부담과 건강문제를 겪는 노인들의 여가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제40권, 제1호, pp.197-216, 2020. 

  12. 최승은, 문화예술적 경험이 개인의 창의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3. 김명숙, 고종욱, "노인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47-259, 2013. 

  14. 김석경, 소외계층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 세종문화회관 세종꿈나무오케스트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5. 박혜련, 허식, "노인의 여가시간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 : 문화예술 활동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제17권, 제4호, pp.31-55, 2019. 

  16. S. R. Kaufman, Reflection on "The Ageless Self," Generation, Vol.17, No.2, pp.13-16, 1993. 

  17. G. Hurwich, and G. Leclerc, Late-life Potential. Panel Discussion Presented at Meeting of The American Society on Aging, 1992. 

  18. 이호영, "노년기의 창의성,"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제41권, 제5호, pp.788-795, 2002. 

  19. 박응희, "노인문화에술교육의 평생교육학적 성찰 :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pp.47-62, 2016. 

  20. J. Dewey, Art as Experience, A Perigee Book, 1980. 

  21. 김연희, "질적 사과와 창의성 : 예술교육을 위한 새로운 개념," 미학예술학연구, 제33권, pp.309-343, 2011. 

  22. E. Eisner, "Should We Create New Aims for Art Education?," Art Education, Vol.54, No.5, pp.6-10, 2001. 

  23. A. L. Kroeber and C. Kluckhohn, Culture : A Critical Review of Concepts and Definitions, Vintage Books, 1963. 

  24. R. G. Collingwood, The Principles of Art, Oxford University Press, 1938. 

  25. E. Winner, Invented Worlds The Psychology of the Art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26. E. Kleinbauer, "The Double-shell Tetraconch Building at Perge in Pampylia and the Origin of the Architectural Genus," DOP, Vol.41, pp.277-293, 1987. 

  27. 황연주, 정연희, "문화예술교육의 미술교육적 논의," 미술교육논총, 제19권, 제1호, pp.1-27, 2005. 

  28. J. C. Kaufman, "Genius, Lunatics, and Poets: Mental Illness in Prizewinning Authors,"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20, pp.305-314, 2001. 

  29. 김용학, 경계를 넘나드는 크로스 씽킹: 생각, 엮고 허물고 뒤집어라, 21세기 북스, 2011. 

  30. 박성진, 신을연, 이계원, "창작을 통한 학습자의 동기화 신장과 미술-문학 통합예술교육의 연관성 연구," 예술교육연구, 제8권, 제3호, pp.39-54, 2010. 

  31. M. Jan and T. Masood, "An 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among Women," Stud. Home Comm. Sci., Vol.2, No.1, pp.33-42, 2008. 

  32. 최성재, "노인생활만족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논총, 제49권, pp.233-158, 1986. 

  33. A. Maslow,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rper, 1954. 

  34. E. Cummings and W. E. Herny, Growing Old, Basic Books, 1961. 

  35. R. C. Atchley, "A Continuity Theory of Normal Aging," The Gerontologist, Vol.29, pp.183-190, 1989. 

  36. 한주희, 이민영, 이용우, "문화예술 활동과 중연 여성의 심리적 웰빙 : 스트레스와 성격의 조절적 매개역할," 여가학연구, 제13권, pp.1-24, 2015. 

  37. 윤홍권, 신아란, 권혁인, "문화예술 여가활동 참여자의 외향성과 스트레스, 문화적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의 인과적 관계 : 지속적 소셜댄스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4호, pp.335-346, 2018. 

  38. 장찬애, 노인의 문화예술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미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위한 분석과 제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9. 김충언, 공연예술 활동과 스포츠 활동의 생활만족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0. M. Csikszentmihalyi,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 View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325-33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41. M. Rhodes, "An Analysis of Creativity," The Phi Delta Kappan, Vol.42, No.7, pp.305-310, 1961. 

  42. K. K. Urban, Creativity : A Component Approach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World Conference on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995. 

  43. A. F. Osborn, Applied Imagination : Principle and Procedur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3rd Ed, Charles Scribner's Sons, 1963. 

  44. R. J. Sternberg and T. I. Lubart,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Vol.34, No.1, pp.1-32, 1991. 

  45. C. R. Rogers, "Towards a Theory of Creativity," A Review of General Semantics, Vol.11, pp.249-260, 1954. 

  46. W. M. Cohen and D. A. Levinthal, "Absorptive Capacity :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terly, Vol.35, pp.128-153, 1990. 

  47. N. Goodman, Language of Art: Approach to a Theory of Symbols. second edition,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1976. 

  48. 임효진, 박병기, 한지은, 장경은, 여영기, "노인집단에서 창의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제68권, pp.133-160, 2015. 

  49. 김경미, "대학생의 물질주의와 주관적 안녕감 및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0호, pp.295-314, 2014. 

  50.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정운, "여가생활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가? : 대학생의 여가생활유형과 생활만족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여가학연구, 제1권, 제1호, pp.41-56, 2003. 

  51. 고현, 박신영,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만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5호, pp.215-238, 2019. 

  52. 김애경,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9호, pp.47-66, 2019. 

  53. 정현희, 박분희,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학습몰입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19호, pp.325-345, 2019. 

  54. 이혜림, 백윤정, 김은실, "긍정심리자본과 개인 창의성의 관계,"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제2호, pp.145-168, 2013. 

  55. 백영숙, 강병재,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 및 교수 효능감과 교수 창의성과의 관계," 제76권, pp.25-47, 2013. 

  56. 이려정, "여행사 종사원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23권, 제5호, pp.151-170, 2011. 

  57.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58. 최용구,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문화예술활동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59. 한정란, 박성희, 세계의 노인교육, 학지사, 2006. 

  60. 기영화, 김남숙, 김선주, 성정온, 노인 문화예술교육 모델 발굴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