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수정된 노팅엄 감각평가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Revised Nottingham Sensory Assess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9, 2020년, pp.511 - 519  

지은규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작업치료실) ,  이상헌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정된 노팅엄 감각평가(rNSA)를 한국판으로 번역하고 검증하는 것이었다. 수정된 rNSA를 한국어로 번역하기 위해 번안/역번안 과정을 사용하여 단면 연구가 수행되었고, 한국판 rNSA의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평가자간 및 평가자내 신뢰도, 내적일관성동시타당도를 조사하였다. 한국판 rNSA는 평가자간 신뢰도(r=0.92-1.00), 평가자내 신뢰도(r=0.93-1.00)로 높은 신뢰도를 확인하였고, 한국판 Fugl Meyer의 감각항목과의 유의한 상관관계(r=0.96)를 확인하였다. 한국판 rNSA의 내적일치도에 대한 Cronbach 값은 0.73-0.90의 범위이고, 한국판 Fugl Meyer의 감각항목의 Cronbach 값은 0.70-0.88의 범위였다. 이 결과로, 한국판 rNSA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임상환경에서 뇌졸중 이후 감각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revised Nottingham Sensory Assessment(rNSA) in Republic of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translate the rNSA into Korean using a modified forward/backward translation procedure.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internal...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translate the rNSA into Korean with cultural adaptation and to validat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hemiparetic patients after stroke.
  • This wa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rNSA. These findings may support the use of the K-rNSA by clinicians and researchers as a comprehensive measure to evaluate somatosensory impairments in people with stroke.

가설 설정

  • A few limitations of the study warrant consideration. 1) The validity of translation study experts may be deteriorated.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use the Delphi method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tool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판 rNSA의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해 무엇을 하였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정된 노팅엄 감각평가(rNSA)를 한국판으로 번역하고 검증하는 것이었다. 수정된 rNSA를 한국어로 번역하기 위해 번안/역번안 과정을 사용하여 단면 연구가 수행되었고, 한국판 rNSA의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평가자간 및 평가자내 신뢰도, 내적일관성 및 동시타당도를 조사하였다. 한국판 rNSA는 평가자간 신뢰도(r=0.
수정된 rNSA를 한국어로 번역하기 위해 무엇을 수행하였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정된 노팅엄 감각평가(rNSA)를 한국판으로 번역하고 검증하는 것이었다. 수정된 rNSA를 한국어로 번역하기 위해 번안/역번안 과정을 사용하여 단면 연구가 수행되었고, 한국판 rNSA의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평가자간 및 평가자내 신뢰도, 내적일관성 및 동시타당도를 조사하였다. 한국판 rNSA는 평가자간 신뢰도(r=0.
한국판 rNSA로 임상환경에서 뇌졸중 이후 감각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근거는 무엇인가? 수정된 rNSA를 한국어로 번역하기 위해 번안/역번안 과정을 사용하여 단면 연구가 수행되었고, 한국판 rNSA의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평가자간 및 평가자내 신뢰도, 내적일관성 및 동시타당도를 조사하였다. 한국판 rNSA는 평가자간 신뢰도(r=0.92-1.00), 평가자내 신뢰도(r=0.93-1.00)로 높은 신뢰도를 확인하였고, 한국판 Fugl Meyer의 감각항목과의 유의한 상관관계(r=0.96)를 확인하였다. 한국판 rNSA의 내적일치도에 대한 Cronbach 값은 0.73-0.90의 범위이고, 한국판 Fugl Meyer의 감각항목의 Cronbach 값은 0.70-0.88의 범위였다. 이 결과로, 한국판 rNSA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임상환경에서 뇌졸중 이후 감각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Amy, D. Susan, and M. Rebecca, "Reliability of a U.S. Version of the Nottingham Sensory Assessmen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70, 2016(8). 

  2. S. S. Kessner, U. Bingel, and G. Thomalla, "Somatosensory deficits after stroke: a scoping review," Top Stroke Rehabil, Vol.23, No.2, pp.136-146, 2016. 

  3. C. S. Ha, M. W. Jung, D. Y. Yu, D. G. Kim, U. R. Lee, S. U. Myung, J. U. Kwon, and S. H. Lim, "The Effect of Somatosensory Training Focused on Upper Limb with Trunk Muscle Stability for Upper Limb Function Performance of Chronic Hemiplegia after Stroke-Case Report," J Korean Soc Neur Ther, Vol.20, No.3, pp.39-49, 2016. 

  4. S. M. Hatem, G. Saussez, M. dellar Faille, V. Prist, X. Zhang, D. Dispa, and Y. Bleyenheuft, "Rehabilitation of Motor Function After Stroke: A Multiple Systematic Review Focused on Techniques to Stimulate Upper Extremity Recovery," Front Hum Neurosci, Vol.10, p.442, 2016. 

  5. H. F. L. Daniela, P. Q. Ana, D. S. Geovana, S. M. Yoneyama, T. D. Oberg, and N. M. F. V. Lima, "Brazilian version of the Nottingham Sensory Assessment. validity, agreement and reliability," Rev Bras Fisioter, Vol.14, No.2, pp.166-74, 2000. 

  6. S. Doyle, S. Bennett, and L. Gustafsson, "Occupational therapy for upper limb post-stroke sensory impairments: A survey,"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76, pp.434-442, 2013. 

  7. S. F. Tyson, M. Hanley, J. Chillala, A. B. Selley, and R. C. Tallis, "Sensory loss in hospital admitted people with stroke: Characteristics, associated factors, and relationship with function," Neurorehabil Neural Repair, Vol.22, pp.166-172, 2008. 

  8. B. K. Song, S. M. Chung, and J. K. Moon, "The Effect of Multi-Sensory Training for Postural Control in Hemiplegic Patients after Stroke," J Korean Soc Neur Ther, Vol.15, No.1, pp.41-47, 2011. 

  9. L. A. Connell and S. F. Tyson, "Clinical reality of measuring upper-limb ability in neurologic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Arch Phys Med Rehabil, Vol.93, No.2, pp.221-228, 2012. 

  10. L. A. Connell, N. B. Lincoln, and K. A. Radford, "Somatosensory impairment after stroke: frequency of different deficits and their recovery," Clin Rehabil, Vol.22, pp.758-767, 2008. 

  11. P. S. Williams, D. M. Basso, J. Case-Smith, and D. S. Nichols-Larsen, "Development of the hand active sensation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Arch Phys Med Rehabil, Vol.87, No.11, pp.1471-1477, 2006. 

  12. J. H. Lin, I. P. Hsueh, C. F. Sheu, and C. L. Hsieh,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ensory scale of the Fugl-Meyer assessment in stroke patients," Clin Rehabil, Vol.18, No.4, pp.391-397, 2004. 

  13. N. B. Lincoln, J. M. Jackson, and S. A. Adams, "Reliability and revision of the Nottingham sensory assessment for stroke patients," Physiotherapy, Vol.84, No.8, pp.358-365, 1998. 

  14. K. J. Sullivan, J. K. Tilson, S. Y. Cen, D. K. Rose, J. Hershberg, A. Correa, J. Gallichio, M. McLeod, C. Moore, S. S. Wu, and P. W. Duncan, "Fugl-Meyer assessment of sensorimotor function after stroke: standardized training procedure for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trials," Stroke, Vol.42, No.2, pp.427-432, 2011. 

  15. H. S. Kim, J. G. Her, J. Y. Ko, D. S. Park, J. H. Woo, Y. Y. Y, and Y. G. Choi, "Reliability, Concurrent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Fugl-Meyer Assessment (FMA) for Hemiplegic Patients," J. Phys. Ther. Sci, Vol.24, pp.893-899, 2012. 

  16. A. Floden, M. Stadtler, S. E. Jones Collazo, T. Mone, R. Ash, and B. Fridlund,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Psychometric Validation of the Floden ATODAI Instrument in the North American Context," BMC Nurs, Vol,19, p.55, 2020. 

  17. T. K. Koo and M. Y. Li, "A Guideline of Selecting and Report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Reliability Research," J Chiropr Med, Vol.15, No.2, pp.155-163, 2016. 

  18. M. Travakol and R. Dennick, "Making sense of Cronbach's alpha,"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2, pp.53-55, 2011. 

  19. F. S. Hornsveld, J. L. Crow, E. P. Hendriks, R. van der Baan, and B. C. H. van der Wel, "The Erasmus MC modifications to the (revised) Nottingham Sensroy Assessment: a reliable somatosensory assessment measure for patients with intracranial disorders," Clin Rehabil, Vol.20, pp.160-172, 2006. 

  20. C. Y. Wu, I. C. Chuang, H. I. Ma, K. C. Lin, and C. L. Chen,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Revised Nottingham Sensation Assessment for Outcome Evaluation in Stroke Rehabilitation," Am J Occup Ther, Vol.70, No.2, pp.1-8,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