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무조건적 긍정적 자기존중 척도의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Unconditional Positive Self-Regard Sca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9, 2020년, pp.577 - 588  

윤효정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주은선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로저스의 인간중심상담 이론을 바탕으로 Patterson과 Joseph이 개발한 '무조건적 긍정적 자기존중(Unconditional Positive Self-Regard; UPSR)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원척도 번안 및 수정의 과정을 거쳤으며 신뢰도 및 타당도와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예비검사는 번안한 12개 문항의 척도를 남·녀 대학생 및 대학원생 1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신뢰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3개의 항목을 삭제하였다. 남은 9개의 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2개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최종 선정된 2요인 9개 문항의 내적 합치도는 .89로 나타났다. 본 검사에서는 성인 남·녀 419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구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른 5개의 척도들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체로 선행 연구와 일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Korean translation and validity of the Unconditional Positive Self-Regard Scale(UPSR) that Patterson and Joseph(2006) originally developed based on the Rogerian person-centered theory. K-UPSR was adapted, modified and validated from the UPSR Scale. This s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중심상담에 기반을 둔 ‘무조건적 긍정적 자기존중’에 관한 척도연구로서 비교적 가장 최근에 알려진 Patterson과 Joseph의 ‘무조건적 긍정적 자기존중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척도의 활용이 타당한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 또한 선행 논문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까지 실행한 ‘척도의 타당화’를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 번안한 K-UPSR 척도는 조건화된 가치와 무관하게 스스로를 존중하고 수용하는 태도의 수준을 측정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인간중심상담에서 설명하는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의 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Patterson과 Joseph이 개발한 ‘무조건적 긍정적 자기존중(Unconditional Positive Self-Regard; UPSR)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음의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조건적 자기존중 척도의 특징은 무엇인가? Betz 등은 로저스의 이론에 근거한 ‘무조건적 자기존중 척도(Unconditional Self-Regard Scale; USRS)’를 개발하였다. USRS는 총 20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그중 9개의 문항은 부정적인 단어로 구성되어 있고, 나머지 11개의 문항은 긍정적인 단어로 제작되었으며 리커트식 5점 척도를 따른다[14].
무조건적 긍정적 자기존중을 측정할수 있는 척도로 Barrett과 Lennard는 무엇을개발하였는가? Barrett과 Lennard는 ‘버렛-레널드 관계 측정도구(Barrett-Lennard Relationship Inventory: BLRI)’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BLRI를 사용하여 상담을 진행한 직후에 즉각적으로 상담자-내담자 쌍을 대상으로 상담자의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태도에 관하여 측정하였다[12].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이란? 인간중심상담의 창시자인 칼 로저스(Carl Rogers)는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unconditional positive regard)’의 개념을 상담 기술이 아닌 상담자가 내담자(Client)를 대하는 기본적인 태도의 관점에서 조명하였다.1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이란 다른 사람을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수용하며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2]. 로저스는 내담자에게 건설적인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상담자가 여섯 가지 필수 전제들을 이행해야 하며 그 전제들 중 하나로,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의 경험을 언급하였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이장호, 상담 심리학, 박영사, 2003. 

  2. C. E. Hill, 상담의 기술: 탐색, 통찰, 실행의 과정{Helping skills: Facilitating, exploration, insight, and action(3rd ed.)}, (주은선 역), 학지사(원전은 2009년 출판), 2012. 

  3. C. R. Rogers,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1, No.2, pp.95-103, 1957. 

  4. G. Corey,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8thed.)}, (조현춘, 조현재, 문지혜, 이근배, 홍영근 역), Cengage learning(원전은 2009년 출판), 2012. 

  5. D. Mearns and B. Thorne, 인간중심 상담의 임상적 적용{Person-centered counseling in action(3rd ed.)}, (주은선 역), 학지사(원전은 2007년 출판), 2012. 

  6. C. R. Rogers, 진정한 사람되기{On becoming a person}, (주은선 역), 학지사(원전은 1961년 출판), 2009. 

  7. G. L. Flett, A. Besser, R. A. Davis, and P. L. Hewitt, "Dimensions of perfectionism,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depression," Journal of Rational-Emotive and Cognitive-Behavior Therapy, Vol.21, No.2, pp.119-138, 2003. 

  8. 김사라형선, "무조건적 자기수용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3권, 제5호, pp.161-170, 2005. 

  9. J. M. Chamberlain and D. A. F. Haaga,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responses to negative feedback," Journal of Rational-Emotive & Cognitive-Behavior Therapy, Vol.19, No.3, pp.177-189, 2001. 

  10. 추미례, 이영순,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6권, 제1호, pp.27-43, 2014. 

  11. 나영, 박상규, 사회과학분야 통계적 연구방법론의 이해, 신영사, 2009. 

  12. G. T. Barrett-Lennard, "Dimensions of therapist response as causal factors in therapeutic change," Psychological Monographs: General and Applied, Vol.76, No.43, pp.1-36, 1962. 

  13. 홍종관, "상담자의 인간중심적 기본태도에 관한 고찰," 대학상담연구, 제10권, 제1호, pp.45-71, 1999. 

  14. N. E. Betz, E. Wohlgemuth, D. Serling, and J. Harshbarger, "Evaluation of a measure of self-esteem based on the concept of unconditional self-regard,"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74, No.1, pp.76-83, 1995. 

  15. T. G. Patterson and S. Joseph, "Development of a self-report measure of unconditional positive self-regard,"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Vol.79, No.4, pp.557-570, 2006. 

  16. 오민아,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중복부하 문항 처리를 위한 통계적 방법 탐색,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7. 윤미숙,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8. 김지현, 아동의 애착안정성 및 자아존중감과 외로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9. 이수란, 한국 대학생의 자존감의 수반성 : 영역별 수반성과 자기 평가 사이의 불일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0. 성승연, 대인관계의 지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21. 박중규, "소년 대상 단축형 13문항 Marlowe-Crowne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의 요인 구조," 한국심리학회지:학교, 제6권, 제3호, pp.429-439, 2009. 

  22. 박종익, 김영주, 조맹제, "한국판 일반 건강 설문지의 요인 구조," 대한신경정신의학학회지, 제51권, pp.178-184, 2012. 

  23. A. S. Zigmond and R. P. Snaith,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Vol.67, No.6, 361-370, 1983. 

  24. 김성록, "혈액투석 중인 환자의 우울증과 불안증," 대한신장학회지, 제29권, 제6호, pp.733-741, 2010. 

  25. 오세만, 민경준, 박두병, "병원 불안-우울 척도에 관한 표준화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학회지, 제38권, 제2호, pp.289-296, 1999. 

  26. 김인숙, 최형심, 임영이, 원선애, 김정우, 이상아, "간호사의 직장생활의 질 측정도구-한국어판: 타당도와 신뢰도," 성인간호학회지, 제28권, 제6호, pp.646-658, 2016. 

  27. R. L. Ebel, Measuring Educational Achievement, Prentice Hall of India, 1966. 

  28. H. F. Kaiser,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Vol.39, No.1, pp.31-36, 1974. 

  29.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0. 

  30.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31.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한나래출판사, 2013. 

  32. 한유화, 정진경, "2요인 자아존중감 척도: 개인주의적 및 집단주의적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1권, 제4호, pp.117-131, 2007. 

  33. 이자영, 남숙경, 이미경, 이지희, 이상민, "Rosenberg 의 자아존중감 척도: 문항수준 타당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1호, pp.173-189,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