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교육은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신앙의 내면화를 추구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는 학습의 적극적인 주체로서 성경교육을 이끌어가는 자기주도적 학습자로서의 전환이 요구된다. 학습 환경 또한 삶 속에서 성경을 배우고, 느끼고, 성취할 수 있는 학습의 장으로 전환이 요구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작은교회 청소년 43명을 대상으로 2박 3일 일정으로 진행한 교회학교 계절 성경캠프 프로그램을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프로그램으로 개발 및 적용하였고, 질적조사방법론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여 교회교육 캠프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둘째, 실생활 문제해결을 통하여 학생들 간의 협동심이 고취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신앙의 내면화를 위한 촉매제 역할을 했음을 발견했다. 따라서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은 21세기의 기독교 교회교육 방법의 새로운 대안적 방식으로 고려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교회교육은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신앙의 내면화를 추구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는 학습의 적극적인 주체로서 성경교육을 이끌어가는 자기주도적 학습자로서의 전환이 요구된다. 학습 환경 또한 삶 속에서 성경을 배우고, 느끼고, 성취할 수 있는 학습의 장으로 전환이 요구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작은교회 청소년 43명을 대상으로 2박 3일 일정으로 진행한 교회학교 계절 성경캠프 프로그램을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프로그램으로 개발 및 적용하였고, 질적조사방법론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여 교회교육 캠프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둘째, 실생활 문제해결을 통하여 학생들 간의 협동심이 고취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신앙의 내면화를 위한 촉매제 역할을 했음을 발견했다. 따라서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은 21세기의 기독교 교회교육 방법의 새로운 대안적 방식으로 고려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Contemporary Christian educators emphasize that the student has to become not a passive beneficiaries of knowledge, but an active subject for self-directed learner to pursue a Bible training. In addition, learning environments need to be converted into a learning place in which students can learn th...
Contemporary Christian educators emphasize that the student has to become not a passive beneficiaries of knowledge, but an active subject for self-directed learner to pursue a Bible training. In addition, learning environments need to be converted into a learning place in which students can learn the principles of the Word, taste its meaning, and apply them into the scene in their liv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ew possibilities of self-directed volunteer camp, developing it as an alternative program for summer retreat and evaluating its effectiveness. According to qualitative research findings. self-directed volunteer camp provide for the youth students to develop their leadership as well as their faith. Especially, the higher effect of self-directed volunteer camp was found on program satisfaction, promoting cooperation through real problem-solving, and internalizing of the faith. Therefore, self-directed volunteer camp for vacation Bible church programs can be expected as an alternative teaching method for church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Contemporary Christian educators emphasize that the student has to become not a passive beneficiaries of knowledge, but an active subject for self-directed learner to pursue a Bible training. In addition, learning environments need to be converted into a learning place in which students can learn the principles of the Word, taste its meaning, and apply them into the scene in their liv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ew possibilities of self-directed volunteer camp, developing it as an alternative program for summer retreat and evaluating its effectiveness. According to qualitative research findings. self-directed volunteer camp provide for the youth students to develop their leadership as well as their faith. Especially, the higher effect of self-directed volunteer camp was found on program satisfaction, promoting cooperation through real problem-solving, and internalizing of the faith. Therefore, self-directed volunteer camp for vacation Bible church programs can be expected as an alternative teaching method for church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한걸음 더 나아가 학습자인 학생은 단순한 신앙 지식의 수혜자가 아니라, 보다 적극적인 주체로서 성경교육을 이끌어가는 자기주도적학습자로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교회학교 계절 프로그램인 성경캠프를 체험형 자기주도적 프로그램으로 설계하고, 개발하여, 적용함으로 기존의 교회교육 운영방식에서 탈피하여 자기주도적 캠프 프로그램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앞서 언급했던 자기 주도적 봉사활동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으로 이를 위한 것으로 기존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교회교육 수련회 방식인 강의식 교육방식이 아닌 자기 주도적 체험형 프로젝트 기반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진행하고 이를 평가, 분석했다.
가설 설정
⑦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은 학습자의 학업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제안 방법
또한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5가지 단계를 소개하며, 첫째 “orienting or preparing” 단계로 생애 모적과 학습 목적, 전지식과 기술, 문제와 질문, 가능한 학습활동 그리고 조건 등을 탐색하고, 둘째 “taking strategic decisions” 단계로 우선순위와 무엇을 어떤 순서로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셋째 “executing learning activities” 단계로 실험, 연구, 사회적 상호작용, 반성 등의 학습 활동들을 실행한다.
넷째“evaluation” 단계로 학습이 생애 목적에 어떤 공헌을 했는지와 학습 과정을 평가한다.
이를 위하여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진행하고 이를 평가, 분석했다.
이를 위하여 계절 성경캠프의 방향성에 대한문제제기를 통하여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게 되었고, 다양한 주제들에 소개와 토론을 통하여 계절 성경캠프에 대한 동기를 부여했으며, 여러 차례에 걸친 회의와 답사를 통하여 연간 교회교육 과정에 따른 계절 성경캠프의 주제 및 목표를 설정하여 "섬김과 나눔"으로 확정했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실행 후 프로그램에 참석했던 학생에게 나타난 신앙의 내면화 현상을 점검하기 위하여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및 면담, 성찰저널(신앙일기)을 작성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참여 관찰을 활용했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실행 후 프로그램에 참석했던 학생에게 나타난 신앙의 내면화 현상을 점검하기 위하여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및 면담, 성찰저널(신앙일기)을 작성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참여 관찰을 활용했다. 그리고 교사들을 대상으로는 면담을 실시하고 분석했다.
그리고 프로그램참여 관찰을 활용했다. 그리고 교사들을 대상으로는 면담을 실시하고 분석했다. 교사 및 학습자 대상 면담은 프로그램이 종료된 시점에서 무작위로 실시했다.
한편 본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두 축인 봉사활동과 캠프활동이 가능한 복지 시설을 확보하고 학습활동에 대한 협조를 구했다. 또 봉사활동 시 학습자들이 할 수 있는 영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복지시설관계자와 협의의 과정을 거쳐 학습자들에게 제시할 문제 상황을 구성 후, 평가를 위한 설문 및 면담 질문 등을 준비했다.
한편 본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두 축인 봉사활동과 캠프활동이 가능한 복지 시설을 확보하고 학습활동에 대한 협조를 구했다. 또 봉사활동 시 학습자들이 할 수 있는 영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복지시설관계자와 협의의 과정을 거쳐 학습자들에게 제시할 문제 상황을 구성 후, 평가를 위한 설문 및 면담 질문 등을 준비했다.
본 과정의 주요활동은 직접적인 학습과정의 준비과정으로서 자기주도적학습의 주요과정으로서 학습의 목표, 과정, 방법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먼저 캠핑 활동과 관련된 활동들을 자기주도적으로 계획하고 준비하기 위해 먼저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사전 모둠활동으로서 스마트기기 및 SNS를 활용한 팀빌딩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팀별로 학습결과에 대한 기대 및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캠프와 봉사 활동의 역할 나눔을 실시했다. 또한 캠핑을 위한 식단표, 필요 준비물 등을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구성하게 하였고, 필요 경비까지 산출하도록 했다.
먼저 캠핑 활동과 관련된 활동들을 자기주도적으로 계획하고 준비하기 위해 먼저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사전 모둠활동으로서 스마트기기 및 SNS를 활용한 팀빌딩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팀별로 학습결과에 대한 기대 및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캠프와 봉사 활동의 역할 나눔을 실시했다. 또한 캠핑을 위한 식단표, 필요 준비물 등을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구성하게 하였고, 필요 경비까지 산출하도록 했다. 그리고 자기주도적 봉사활동을 위해 사전활동으로 시설 종사자(사회복지사) 특강을 통해 봉사활동의 영역 및 방법, 유의사항에 대한 교육을 실시했다.
또한 캠핑을 위한 식단표, 필요 준비물 등을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구성하게 하였고, 필요 경비까지 산출하도록 했다. 그리고 자기주도적 봉사활동을 위해 사전활동으로 시설 종사자(사회복지사) 특강을 통해 봉사활동의 영역 및 방법, 유의사항에 대한 교육을 실시했다. 뿐만 아니라 모둠활동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문제기반학습을 사용하여 봉사활동에 대한 사전 지식들을 습득하도록 했다.
그리고 자기주도적 봉사활동을 위해 사전활동으로 시설 종사자(사회복지사) 특강을 통해 봉사활동의 영역 및 방법, 유의사항에 대한 교육을 실시했다. 뿐만 아니라 모둠활동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문제기반학습을 사용하여 봉사활동에 대한 사전 지식들을 습득하도록 했다. 그리고 자기주도적으로 팀별로 할 수 있는 봉사활동 탐색과정 및 계획 수립과정을 진행했다.
뿐만 아니라 모둠활동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문제기반학습을 사용하여 봉사활동에 대한 사전 지식들을 습득하도록 했다. 그리고 자기주도적으로 팀별로 할 수 있는 봉사활동 탐색과정 및 계획 수립과정을 진행했다. 탐색과정으로는 사전에 시설 종사자로부터 소개 받은 봉사활동 영역을 탐방하며, 팀원들과 토의 과정을 거쳐 활동 영역 및 활동 목표를 확정했다.
그리고 자기주도적으로 팀별로 할 수 있는 봉사활동 탐색과정 및 계획 수립과정을 진행했다. 탐색과정으로는 사전에 시설 종사자로부터 소개 받은 봉사활동 영역을 탐방하며, 팀원들과 토의 과정을 거쳐 활동 영역 및 활동 목표를 확정했다. 그리고 팀별로 봉사 목표에 따라 활동 방법 및 일정을 수립하고, 시설 종사자와 협의 과정을 거치게 했다.
캠핑 활동을 위해 학습자들이 팀별(4~5명)로 직접 텐트를 설치하고, 계획 수립 단계를 통해 도출된 식단 및 필요 준비물 구입을 위해 학습자들에게 산출된 경비를 지급하고, 직접 마트로 이동하여 물품을 구입하도록 했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식단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식사를 위한 조리방법을 확인하여 직접 조리할 수 있도록 했다.
캠핑 활동을 위해 학습자들이 팀별(4~5명)로 직접 텐트를 설치하고, 계획 수립 단계를 통해 도출된 식단 및 필요 준비물 구입을 위해 학습자들에게 산출된 경비를 지급하고, 직접 마트로 이동하여 물품을 구입하도록 했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식단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식사를 위한 조리방법을 확인하여 직접 조리할 수 있도록 했다.
특별히 학생들도 하여금 성찰저널(reflection paper) 혹은 신앙일기(spiritual journal)를 작성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활동에 대해 주관적인 평가뿐만 아니라, 깨달은 원리들을 정리하고 내면화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했다. 그리고 수치적이면서도 객관적인 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준비된 평가 도구(설문지)를 활용하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실시했다.
2박 3일에 걸쳐 이루어진 자기주도적 자원봉사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의 결과는 먼저 설문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 프로그램 참여시 학습자가 느낀 자기주도성, 캠핑활동과 협력적 태도 관계, 봉사활동에 대한 반응, 그리고 캠프활동을 통한신앙생활의 내면화에 대하여 학습자에게 미친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개별면담과 성찰저널(신앙일기) 등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자기주도적 자원봉사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했다.
2박 3일에 걸쳐 이루어진 자기주도적 자원봉사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의 결과는 먼저 설문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 프로그램 참여시 학습자가 느낀 자기주도성, 캠핑활동과 협력적 태도 관계, 봉사활동에 대한 반응, 그리고 캠프활동을 통한신앙생활의 내면화에 대하여 학습자에게 미친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개별면담과 성찰저널(신앙일기) 등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자기주도적 자원봉사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했다.
대상 데이터
이를 위해 2019년 7월 21일~23일까지 2박 3일간 “그리스도의 섬김과 나눔”이라는 주제 하에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작은교회 청소년 43명과 교사 7명이 참여했고 ,캠프 참가 신청 시 연구에 대한 공지와 학부모와 학생의 동의를 구한 후 연구를 진행했다[표 2].
성능/효과
본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1-3항)는 5점 만점에 평균 4.33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주도적 자원봉사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이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학습자들은 특히 자신들이 직접 야외 캠프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만족도와 더불어 봉사활동이라는 나눔의 활동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학습자들이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환경 속에서 적응하는 과정과 나눔에 대한 실천이라는 부분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낼 수 있게 했다.
학습자들은 특히 자신들이 직접 야외 캠프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만족도와 더불어 봉사활동이라는 나눔의 활동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학습자들이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환경 속에서 적응하는 과정과 나눔에 대한 실천이라는 부분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낼 수 있게 했다.
신앙은 단순한지식의 전달 또는 누군가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삶의 문제에 대해 고민하는 과정 속에서 성숙되어지는 것이다.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에 대한 설문 항목(4-7항)에서는 평균 4.29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기주도성에 대한 내용은 학생과 교사 면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학습자들은 자신들이 직접 만들어가는 캠프 프로그램, 즉 자기주도적 캠프 프로그램에 높은 성취감과 함께 만족감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단순한 캠프의 참여자가 아닌 캠프 시작에서부터 기획자로, 또한 문제 해결자로서의 역할이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약간의 부담감을 가지고 있으나 자신의 역할에 익숙해짐으로 인해 그 것이 더욱 캠프 프로그램에 몰입하게 하는 요인이며, 학습자 스스로를 신장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학습자의 협력적 태도를 측정한 항목(8-9항)의 평균은 4.33으로 높게 나타났다 .협력적 태도에 대한 학생 성찰일지와 교사 면담내용은 다음과 같다.
청소년기의 학습자들이 평소 자기중심적인 생활환경속에 있다가 야외 캠프 프로그램을 통하여 야외의 열린 공간 속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해나가는 과정 속에서 자신의 약점을 스스로 발견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단순히 자신들의 약점을 발견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상호작용 속으로 자신을 노출시키고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학습자의 봉사활동 영역은 측정한 항목(10-11항)의 평균은 4.60으로 높게 나타났다. 봉사활동에 대한 태도에 대한 학생 성찰일지와 교사 면담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인 교회의 계절 성경학교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학습목표라 할 수 있는 신앙의 내면화는 개념적인 설명에 의한 이해보다 학습자 스스로 체득하는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본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신앙의 내면화가 성공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캠프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영역에 있어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습자들이 직접 경험하고, 만들어가는 자기주도적 프로그램 설계가 학습자들을 캠프 상황가운데 몰입하게 하고, 스스로 학습하고, 느끼고, 고민하게 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캠프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영역에 있어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습자들이 직접 경험하고, 만들어가는 자기주도적 프로그램 설계가 학습자들을 캠프 상황가운데 몰입하게 하고, 스스로 학습하고, 느끼고, 고민하게 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는 기존에 진행되어 오던 계절성경캠프 프로그램에 비해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참여도와 만족도가 높다라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의 성찰저널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비록 환경이 열악한 캠프 시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이 직접 캠프활동들을 설계하고 진행함으로 인해 `참여도가 향상되었다.
둘째는 기존에 진행되어 오던 계절 성경캠프 프로그램에 비해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은 학생들로 하여금 실제적인 봉사활동에 참여하면서 보다 적극적으로 학생 간의 협동심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바로 교사의 비지시적 캠프 운영과 함께 학생들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의 효과라 할 수 있다[20][22][23].
셋째는 기존에 진행되어 오던 계절성경캠프 프로그램에 비해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은 신앙의 내면화를 촉진시키는데 촉매적 역할을 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특별히 학생들로 하여금 성찰저널(신앙일기)을 작성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경험을 생각 속에만 남겨두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험을 가시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는 기존에 진행되어 오던 계절성경캠프 프로그램에 비해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은 신앙의 내면화를 촉진시키는데 촉매적 역할을 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특별히 학생들로 하여금 성찰저널(신앙일기)을 작성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경험을 생각 속에만 남겨두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험을 가시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홀로 있는 시간(solo time, solitude time)’을 통해 자신의 신앙과 삶을 위한 영적 원리들을 개인적으로 정리하고, 그렇게 일반화되어진 원리들을 개인의 실제적인 삶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됨으로써 신앙의 내면화를 촉진시키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2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회교육은 무엇을 추구하는가?
교회교육은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신앙의 내면화를 추구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는 학습의 적극적인 주체로서 성경교육을 이끌어가는 자기주도적 학습자로서의 전환이 요구된다.
성경교육에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것은?
교회교육은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신앙의 내면화를 추구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는 학습의 적극적인 주체로서 성경교육을 이끌어가는 자기주도적 학습자로서의 전환이 요구된다. 학습 환경 또한 삶 속에서 성경을 배우고, 느끼고, 성취할 수 있는 학습의 장으로 전환이 요구된다.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이 21세기의 기독교 교회교육 방법의 새로운 대안적 방식으로 고려해볼 만한 가치가 있는 근거는?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작은교회 청소년 43명을 대상으로 2박 3일 일정으로 진행한 교회학교 계절 성경캠프 프로그램을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프로그램으로 개발 및 적용하였고, 질적조사방법론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여 교회교육 캠프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둘째, 실생활 문제해결을 통하여 학생들 간의 협동심이 고취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신앙의 내면화를 위한 촉매제 역할을 했음을 발견했다. 따라서 자기주도적 봉사활동 교회교육 캠프 프로그램은 21세기의 기독교 교회교육 방법의 새로운 대안적 방식으로 고려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24)
A. M. Grant and S. J. Ashford, "The dynamics of proactivity at work,"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28, pp.3-34, 2008.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Georgia, 1977.
S. Brookfield,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eory to practice, CA: Jossey-Bass Inc Pub, 1985.
B. J. Zimmerman,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In M. Boekaerts, P. R.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p. 13-39), Academic Press, 2000.
H. B. Long,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practical justifications for studying self-direction in learning, In H. Long & Associates,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and research. Norman, Oklahoma: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 University of Oklahoma, pp.9-24, 1992.
M. H. Abdullah, Self-directed Learning. ERIC Digest, (Vol.ED459458). Bloomington, IN: ERIC Clearinghouse on Reading Englich and Communication, Indiana Unversity, 2001.
S. Bolhuis, "Towards active and Self Directed Learning, with Reference to Dutch Secondary Education,"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ED 396141), 1996.
P. R. Pintrich,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In M. Boekaerts, P. R.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CA: Academin Press, 2000.
G. Schraw, "Promoting general metacognitive awareness," Instructional Science, Vol.26, pp.1-2, 1998.
B. J. Zimmerman,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cognitive perspective, In M. Boekaerts, P. R.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p.13-39),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000.
J. M. Lee, "Debriefing Questions in Experience-Based Educatio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Vol.25, pp.69-96, 2014.
D. W. Johnson and F. P. Johnson, Joining Together, 1st ed.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Inc, 1982.
M. Magdalen, Jesus, Man of Prayer, Downers Grove, CA: InterVersity Press, 1987.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