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수자원 분야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지역 맞춤형 지하수자원 최적 운영 관리 방안 제시
A proposal for regional customization and optimal operation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through analysis of water resources research trend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9 suppl., 2020년, pp.743 - 753  

이재범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김진수 (국회입법조사처 국토해양팀) ,  양정석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역 맞춤형 지하수자원 최적 운영 관리 방안 제시를 위하여 국내 수자원 분야 연구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자원 분야와 지하수 자원 분야에서 세부 분류 분야를 결정하였다. 수자원 및 지하수자원 관련 연구의 사례 및 동향 분석을 통해 장기 관측 가능 실증 연구 부지의 확충, 공간 단위 위주의 수자원 평가, 법률 및 조례의 유역 특성 미반영 등 세 가지 개선 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지하수자원 관리 정책 입안자 집단으로 하여금 연구 현장에서 요구 사항을 파악할 수 있고, 이후 지하수자원 관리 정책 결정 시 정책적 판단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research trends in the water resources in Korea were analyzed to present regional customization and optimal operation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Detailed classification fields were determined in the water and groundwater resources. Through the analysis of examples and trends...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상황에서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수원으로서의 지하수자원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역 맞춤형 지하수자원 최적 운영 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최근 15개년 동안의 2005 ~ 2019년에 출판된 수자원 분야 관련 논문의 연구 사례 및 동향을 분석하였다. 수자원 분야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특성 평가 및 전망, 유역 물 순환・물 관리 분야, 지표수-지하수 연계 및 유역 단위 통합 수자원 시스템 평가 및 분석 분야, 수자원 정책 및 제도적 연구 분야로 구분하였다.
  • 지하수자원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지하수자원 최적 운영을 위한 연구 사례를 파악하였다. 지하수자원 최적 관리를 위한 세부 연구 분야는 지하수자원 유동해석 기술, 지하수자원 특성 평가 기술, 지하수자원 관련 법・제도 현황 및 개선 분야로 구분하여 연구 사례 및 동향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 순환이란? 물 순환은 전 지구적인 물의 지속적인 움직임으로 강수, 증산, 증발, 침투, 유출 등의 연속된 과정을 의미하며, 물 순환은 유역 내 생태계 및 인간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 도시화는 불투수 면적이 증가를 야기하고 이는 표면 유출 증가, 침투량 감소에 영향을 미쳐집중호우 시 돌발홍수 및 하천건천화, 하천 수질 악화 등 다양한 도시 수자원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도시화가 도시 수자원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물 순환은 전 지구적인 물의 지속적인 움직임으로 강수, 증산, 증발, 침투, 유출 등의 연속된 과정을 의미하며, 물 순환은 유역 내 생태계 및 인간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 도시화는 불투수 면적이 증가를 야기하고 이는 표면 유출 증가, 침투량 감소에 영향을 미쳐집중호우 시 돌발홍수 및 하천건천화, 하천 수질 악화 등 다양한 도시 수자원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Lee et al.
IPCC에 따른 지역단위의 수자원 관리・이용 취약성 평가 기법이란? 최근 지하수위 변동 예측 연구 이외에도 지하수자원을 포함한 지속가능한 수자원 개발 및 관리를 위하여 취약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지역단위의 수자원 관리・이용 취약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IPCC (2007)에 따르면, 유역 단위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잠재적인 피해량 또는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되었다. 국외 연구에서 수자원 관리・이용 취약성 평가를 위해 수자원 변동에 기여할 수 있는 수문・환경적 지표뿐만 아니라 인문사회적 지표를 선정하여 연구 대상 지역의 수자원 관리・이용 취약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Leal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hn, J.M., Im, T.H., Lee, I.J., and Cheon, S.U. (2014). "Assessment of future river environ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basin runoff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7, No. 3, pp. 269-283. 

  2. Allan, J.A. (1993). "Fortunately there are substitutes for water otherwise our hydro-political futures would be impossible." ODA, Priorities for water resources allocation and management, ODA, London, UK, pp. 13-26. 

  3. Arnold, J.G., Allen, P.M., and Bemhardt, G. (1993). "A comprehensive surface-groundwater 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142, pp. 47-69. 

  4. Asher, M.J., Croke, B.F., Jakeman, A.J., and Peeters, L.J. (2015). "A review of surrogate models and their application to groundwater modeling."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51, No. 8, pp. 5957-5973. 

  5. Bae, D.H., Jung, I.W., and Kwon, W.T. (2007). "Generation of high resolution scenarios for climate change impacts on water responses (I): Climate scenarios on each sub-basi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0, No. 3, pp. 191-204. 

  6. Bae, D.H., Jung, I.W., Lee, B.J., and Lee, M.H. (2011). "Future Korean water resources projection considering uncertainty of GCMs and hydrological model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5, pp. 389-406. 

  7. Cai, J., Varis, O., and Yin, H. (2017). "China's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A spatio-temporal analysis during 2003-2013."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 142, pp. 2901-2910. 

  8. Chachadi, A.G., and Ferreira, A.C.A.P.L. (2005). "Assessing aquifer vulnerability to sea-water intrusion using GALDIT method: Part 2 - GALDIT Indicators Description." Proceedings The Fourth Inter-celtic Colloquium on Hydrology an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AHS and LNEC, Guimaraes, Portugal, 11-14, July 2005. 

  9. Cheong, T.S., Kang, S.U., Hwang, M.H., and Ko, I.H. (200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reservoir operation rules for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e Geum river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4, pp. 433-444. 

  10. Choi, S.J., Kang, S.K., Lee, D.R., and Kang, S.U. (2018). "Evaluation on the water supply stability of nakdong river basin based on future scenario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S-1, pp. 1105-1115. 

  11. Doherty, J., and Simmons, S.C. (2011)."Use of paired simple and complex models to reduce predictive bias and quantify uncertainty."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7, No. 12, W12534. 

  12. Giorgi, F., and Mearns, L.O. (2002). "Calculation of average, uncertainty range, and reliability of regional climate changes from AOGCM simulations via the Reliability Ensemble Averaging (REA) method." Journal of Climate, Vol. 15, No. 10, pp. 1141-1158. 

  13.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synthesis rep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4.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5. Izady, A., Davary, K., Alizadeh, A., Ghahraman, B., Sadeghi, M., and Moghaddamnia, A. (2012). "Application of panel-data modeling to predict groundwater levels in the Neishaboor Plainm Iran." Hydrogeology Journal, Vol. 20, No. 3, pp. 435-447. 

  16. Jha, M.K., Chowdary, V.M., and Chowdhury, A. (2010). "Groundwater assessment in Salboni Block, West Bengal (India) using remote sen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nd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techniques." Hydrogeology journal, Vol. 18, No. 7, pp. 1713-1728. 

  17. Jung, I.W., Bae, D.H., and Kwon, W.T. (2007). "Generation of high resolution scenarios for climate change impacts on water responses (II): Runoff scenarios on each sub-basi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0, No. 3, pp. 205-214. 

  18. Kim, B.S., Kim, J.M., Baek, J.S., and Shin, H.S. (2019). "An analysis of storage and runoff reduction characteristics using planter box in architectural LID syste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2, No. 3, pp. 219-226. 

  19. Kim, E.J. (2016). "Legal task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se of groundwater." Environmental Law Review, Vol. 41, No. 3, pp. 1-28. 

  20. Kim, H.B., and Kim, J.K. (2011). "A Study on establishment of regional water policy in Korea: Focused on four rive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ol. 27, No. 3, pp. 61-80. 

  21. Kim, I.-H., Lee, J.-B., and Yang, J.-S. (2018). "Development of vulnerability period assessment method for efficient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upstream of Nakdong river basin using entropy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9, pp. 761-768. 

  22. Kim, J.S. (2019). The Utilization of Sustainable Groundwater a management plan. Legislation.Policy Report Vol. 31, NARS Publication No. 31-9735026-001607-14,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s, pp. 55-70. 

  23. Kim, N.W., Na, H.N., and Chung, I.M. (2013). "Simulation of groundwater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Hancheon Watershed in Jeju Island using integrated hydrologic modeling."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2, N0. 5, pp. 512-522. 

  24. Kim, Y.D., Lee, S.H., Ono, Y., and Lee, S.H. (2013). "Development of water footprint inventory using input-output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4, pp. 401-412. 

  25. Kite, G.W., and Haberlant, U. (1999). "Atmospheric model data for macroscale hydrology." Journal of Hydrology, Vol. 217, pp. 303-313. 

  26. Leal, J.A.R., Silva, F.O.T., Montes, I.S. (2012). "Analysis of aquifer vulnerability and water quality using SINTACS and geographic weighted regression."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Vol. 66, No. 8, pp. 2257-2271. 

  27. Leavesley, G.H., Lichty, R.W., Troutman, B.M., and Saindon, L.G. (1983). Precipitation-Runoff Modeling System. User's manual, by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pp. 83-4238. 

  28. Lee, D.R., Choi, S.J., and Moon, J.W. (2013). "Development of integrated water resources evaluation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10, pp. 1017-1028. 

  29. Lee, J.-B., Kim, I.-H., and Yang, J.-S. (2019). "Development of the vulnerable period assessment method for the weekly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Yeongsan river basin considering the critical infiltration concep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hydrological data set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2, No. 3, pp. 195-206. 

  30. Lee, S.J., Kim, Y.O., Lee, S.H., and Lee, G.S. (2005). "Water cycle simulation for the Dorimcheon catchment using WEP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8, No. 6, pp. 449-460. 

  31. Leube, P.C., Nowak, W., and Schneider. G. (2012). "Temporal moments revisited: Why there is no better way for physically based model reduction in tim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8, No. 11, W11527. 

  32. Luoma, S., and Okkonen, J. (2014). "Impacts of future climate change and Baltic Sea level rise on groundwater recharge, groundwater levels, and surface leakage in the Hanko Aquifer in Southern Finland." Water, Vol. 6, No. 12, pp. 3671-3700. 

  33.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9). 2019 Groundwater annual report. 

  3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6). Water resources plan (2001-2020) : The 3rd revision plan. 

  35.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15). Drying wells, rising stakes : Towards sustainable agricultural groundwater use. OECD Studies on Water, pp. 24-26. 

  36. Park, J.E., Lee, E.R., and Lim, K.S. (2016).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water management resilience of mid-small scale tributarie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9, No. 2, pp. 95-106. 

  37. Park, J.H., Kwon, H.H., and No, S.H. (2011). "Outlook of discharge for Daecheong and Yongdam Dam watershed using A1B climate change scenario based RCM and SWAT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12, pp. 920-940. 

  38. Sadeghfam, S., Hassanzadeh, Y., Nadiri, A.A., and Zarghami, M. (2016). "Localization of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using catastrophe theory."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30, No. 13, pp. 4585-4601. 

  39. Sahoo, S., and Jha, M.K. (2013). "Groundwater-level prediction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s: a comparative assessment." Hydrogeology Journal, Vol. 21, No. 8, pp. 1865-1887. 

  40. Seeboonruang, U. (2016).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groundwater and vulnerability to drought of areas in Eastern Thailand."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Vol. 75, No. 1, pp. 42. 

  41. Webster, M., Forest, C., Reilly, J., Babiker, M., Kicklighter, D., Mayer, M., and Wang, C. (2003). "Uncertainty analysis of climate change and policy response." Climatic change, Vol. 61, No. 3, pp. 295-320. 

  42. Wilby, R.L. (2005). "Uncertainty in water resource model parameters used for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Hydrological Processes: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19, No. 16, pp. 3201-3219. 

  43. Woo, S.Y., Jung, C.G., Kim, J.U., and Kim, S.J. (2018).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aquatic ecology health indices in Han river basin using SWAT and random fores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10, pp. 863-874. 

  44. Wu, W., Yin, S., Liu, H., and Chen, H. (2014).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feasibility mapping under reclaimed water irrigation by a modified DRASTIC model."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8, No. 5, pp. 1219-1234. 

  45. Yang, J.-S., and Ahn, T.-Y. (2007).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in Nakdong river watershed"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17, No. 4, pp. 507-510. 

  46. Yang, J.-S., Lee, J.-B., and Kim, I.-H. (2017). "Assessment of the vulnerability of groundwater level management in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0, No. 12, pp. 815-825. 

  47. Yang, J.-S., Lee, J.-B., and Kim, I.-H.(2018).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seawater intrusion countermeasures considering future sea level rise in Yeosu region using SEAWA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6, pp. 515-5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