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DVP, Praat, TF32에 따른 음향학적 측정치에 대한 비교
Comparisons of voice quality parameter values measured with MDVP, Praat, and TF32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2 no.3, 2020년, pp.73 - 83  

고혜주 (명지대학교 심리재활학학과간협동과정) ,  우미령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치료센터) ,  최예린 (명지대학교 심리재활학학과간협동과정 & 언어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음질 분석에 매우 유용한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MDVP), Praat, Time-Frequency Analysis software (TF32)는 각각의 음향학적 검사에 사용된 알고리즘 차이로 인해 그 측정치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음향학적 검사 도구로 음성 측정치를 비교 분석하여 분석 도구에 따른 음향학적 검사 변수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상 성인 총 35명 (남성 19명, 여성 16명)을 대상으로 모음 /아/를 수집한 후, 동일한 음성을 MDVP, Praat, TF32 각각의 음향학적 검사 도구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jitter 변수(J local, J abs, J rap, J ppq), shimmer 변수(S local, S dB, S apq), noise-to-harmonics ratio (NHR) 평균의 경우, 남성과 여성 모두 MDVP보다 Praat의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1). 또한 J local, J abs, S local 평균의 경우, 남성과 여성 모두 MDVP, Praat, TF32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각 음향학적 검사 도구에 사용된 알고리즘 차이로 인해 도구 간의 측정치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임상가들이 임상현장에서 각각의 음향학적 검사 도구를 사용할 때 각 도구의 알고리즘에 대해 이해한 후 병적 음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asured values may differ between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MDVP), Praat, and Time-Frequency Analysis software (TF32), all of which are widely used in voice quality analysis, due to differences in the algorithms used in each analyze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values of pa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최근까지의 연구가 대부분 병적 음성 위주로 진행되어 정상 음성일 때 각 검사 도구에 따라 구체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음성 분석에 유용한 MDVP, Praat, TF32 각각의 음향학적 검사 도구로 정상 음성 측정치를 비교 분석하여 분석 도구에 따른 음향학적 검사 변수의 구체적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가들이 임상현장에서 특정 음향학적 검사 도구를 사용하더라도 다른 분석 도구에서 얻은 데이터 값과 쉽게 비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적 음성에 대해서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 2003).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음성 분석에 유용한MDVP, Praat, TF32로 동일한 음성을 비교 분석하여 각각의 도구에 따라 음향학적 변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음성 분석에 유용한 MDVP, Praat, TF32 각각의 음향학적 검사 도구로 정상 음성 측정치를 비교 분석하여 분석 도구에 따른 음향학적 검사 변수의 구체적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가들이 임상현장에서 특정 음향학적 검사 도구를 사용하더라도 다른 분석 도구에서 얻은 데이터 값과 쉽게 비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적 음성에 대해서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동일 성별에서 MDVP, Praat, TF32의 공통 매개변수의 측정치에 차이가 있는가?
  • 첫째, 동일 성별에서 MDVP, Praat의 공통 매개변수의 측정치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hn, C. S., & Oh, S. Y. (2012). CHMM modeling using LMS algorithm for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improv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1), 377-382. 

  2. Amir, O., Wolf, M., & Amir, N. (2009). A clinical comparison between two acoustic analysis softwares: MDVP and Praat. Biomedical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4(3), 202-205. 

  3. Baek, S. E., Kim, J. Y., Na, S. Y., & Choi, S. H. (2005). Speaker separation based on directional filter and harmonic filter.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12(3), 125-136. 

  4. Baek, Y., Kim, S., Kim, E., & Choi, Y. (2012). Vocal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peakers with depression.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4(1), 91-98. 

  5. Bielamowicz, S., Kreiman, J., Gerratt, B. R., Dauer, M. S., & Berke, G. S. (1996). Comparison of voice analysis systems for perturbation measure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9(1), 126-134. 

  6. Boersma, P. (2009). Should jitter be measured by peak picking or by waveform matching?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61(5), 305-308. 

  7. Burris, C., Vorperian, H. K., Fourakis, M., Kent, R. D., & Bolt, D. M. (2014). Quantitative and descriptive comparison of four acoustic analysis systems: Vowel measuremen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1), 26-45. 

  8. Chae, S. W., Choi, G., Kang, H. J., Choi, J. O., & Jin, S. M. (2001). Clinical analysis of voice change as a parameter of premenstrual syndrome. Journal of Voice, 15(2), 278-283. 

  9. Choi, S. H., Nam, D. H., Lee, S. H., Jung, W. H., Kim, D. W., & Choi, H. S. (2005). Jitter and shimmer measurements of dysphonia among the different voice analysis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16(2), 140-145. 

  10. Deliyski, D. D., Shaw, H. S., & Evans, M. K. (2005). Influence of sampling rate on accuracy and reliability of acoustic voice analysi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30(2), 55-62. 

  11. Deliyski, D. D., Shaw, H. S., Evans, M. K., & Vesselinov, R. (2006). Regression tree approach to studying factors influencing acoustic voice analysi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58(4), 274-288. 

  12. Hirano, M. (1981). “GRBAS” scale for evaluating the hoarse voice & frequency range of phonation. Clinical Examination of Voice, 5, 83-84. 

  13. KayPENTAX(2005).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MDVP) Model 5105. Instruction Manual. A Division of PENTAX Medical Company 2 Bridgewater Lane Lincoln Park, NJ. 

  14. Ko, D. H. (2003). A study of extracting acoustic parameters for individual speake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0(2), 129-143. 

  15. Ko, H. J., Kang, M. J., Kwon, H. J., Choi, Y., Lee, M. G., & Choi, H. S. (2013). Acoustic characteristics on the adolescent period aged from 16 to 18 yea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1), 81-90. 

  16. Lindholm, P., Vilkman, E., Raudaskoski, T., Suvanto-Luukkonen, E., & Kauppila, A. (1997). The effect of postmenopause and postmenopausal HRT on measured voice values and vocal symptoms. Maturitas, 28(1), 47-53. 

  17. Linville, S. E. (1996). The sound of senescence. Journal of voice, 10(2), 190-200. 

  18. Maryn, Y., Corthals, P., De Bodt, M., Van Cauwenberge, P., & Deliyski, D. (2009). Perturbation measures of voic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and praat.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61(4), 217-226. 

  19. Milenkovic, P. (1987). Least mean square measures of voice perturbati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0(4), 529-538. 

  20. Nam, K. C., Lee, S. H., Choi, J. N., Choi, H. S., Nam, D. H., & Kim, D. W. (2005, May). Comparison of vowel pitch results among several commercial voice analysis programs.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pp. 54-56). Seoul, Korea. 

  21. Natour, Y. S., & Saleem, A. F. (2009). The performance of the time-frequency analysis software (TF32) in the acoustic analysis of the synthesized pathological voice. Journal of Voice, 23(4), 414-424. 

  22. Oguz, H., Kilic, M. A., & ?AFAK, M. A. (2011). Comparison of results in two acoustic analysis programs: Praat and MDVP. Turkish Journal of Medical Sciences, 41(5), 835-841. 

  23. Park, S. B. (2005). A voice signal transformation scheme for voice-based music retrieval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Korea. 

  24. Paul, B., & David, W. (2018) . Praat manual (version 6.0.42). Amsterdam, the Netherlands: University of Amsterdam. 

  25. Paul, H. M. (2018). TF32 User's manual.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Retrieved from http://userpages.chorus.net/cspeech/TF32.pdf 

  26. Pyo, H. Y., Sim, H. S., & Lim, S. E. (2000). The change of correlation between GRBAS scales and MDVP parameters according to the different length of voice samples for MDVP analysi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2), 71-81. 

  27. Pyo, H. Y., & Sim, H. S. (2007).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voice assessment model for the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A qualitative study.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4(2), 7-22. 

  28. Pyo, H. Y., Sim, H. S., Song, Y. K., Yoon, Y. S., Lee, E. K., Lim, S. E., Hah, H. R., & Choi, H. S. (2002). The acoustic study on the voices of Korean normal adult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9(2), 179-192. 

  29. Pyo, H. Y., & Song, Y. (2010). Recent trends in evaluation and diagnosis of voice disorders: A literature review.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15(4), 506-525. 

  30. Rabiner, L. R., & Schafer, R. W. (1978). Digital processing of speech signal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1. Shim, S. Y., Kim, H. H., Kim, J. O., & Shin, J. C. (2014). Difference in voice parameters of MDVP and praat programs according to severity of voice disorders in vocal nodul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6(2), 107-114. 

  32. Shin, D. S., Kim, J., & Bae, M. J. (2000). On a pitch detection using AME in Transition Region (Rearch report). Jincheon, Korea: National IT Industry Agency. 

  33. Styler, W. (2017). Using Praat for linguistic research. Version 1.8.1. Retrieved from http://savethevowels.org/praat on August 1, 2018. 

  34. Syntrillium. (n.d.). Cool Edit Pro [Computer Software]. http://www.syntrillium.com 

  35. TF32 and CSpeech. (2005). Retrieved from http://userpages.chorus.net/cspeech/ 

  36. Van Lieshout, P. (2017). Praat short tutorial (version 5.0). Toronto, ON: University of Toronto. Retrieved from https://www. researchgate.net/publication/270819326_PRAAT_--_Short_Tutorial_--_An_introduction 

  37. Yoo, J. Y., Jeong, O. R., Jang, T. Y., & Ko, D. H. (2003). A Correlation study among acoustic parameters of MDVP, Praat, and Dr. Speech.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0(3), 29-36. 

  38. Yun, S. Y., & Kwon, D. H. (1998). Acoustic characteristics of normal children's voice of 5 to 11 years old.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7(1), 67-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