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포먼트 측정에서의 최적 세팅 구현: Praat software와 관련하여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adult's optimal formant setting by Praat scripting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1 no.4, 2019년, pp.97 - 108  

박지연 (충남대학교 언어병리학과) ,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최적의 포먼트 분석이 가능하도록 자동화된 프랏 스크립트를 구현하였다. 최적의 포먼트 분석이란 프랏에서 포먼트 분석 시 설정하는 2가지 세팅 파라미터(최대 포먼트, 포먼트 개수)를 조합하여 측정된 제1, 제2 포먼트의 편차합이 최소일 때를 가리킨다. 포먼트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별이나 모음의 종류에 따라 LPC 차수를 다르게 설정해야 하는데 프랏 매뉴얼에서는 최대 포먼트 설정 값으로 남성 5,000 Hz, 여성 5,500 Hz, 측정개수는 5개를 권고한다. 그러나 이렇게 권고된 포먼트 세팅 설정이 한국어 모음에 대해서도 타당한지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4가지 스크립트를 적용한 결과, 각 모음별 포먼트 산점도로 확인하였을 때 특히 여성의 경우 스크립트에 따라 측정된 포먼트 변이의 폭이 두드러지는 차이를 보였다. 포먼트 산점도와 통계 결과를 통해 linear_script와 qtone_script가 포먼트 측정에서 더 신뢰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Linear_script, qtone_script에서 최적의 세팅으로 설정된 최대 포먼트와 포먼트 개수의 데이터 경향성을 살펴보면, 전설 모음 [이, 에]의 경우 권고 설정보다 최대 포먼트 값은 높게, 포먼트 개수의 값은 적게 설정되었다. 반면 후설모음 [오, 우]의 경우, 권고 설정보다 최대 포먼트 값은 낮게, 포먼트 개수의 값은 많게 설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utomated Praat script was implemented to measure optimal formant frequencies for adults. Optimal formant analysis could be interpreted to show that the deviation of formant frequency that resulted from the two variously combined setting parameters (maximum formant and number of formants) was m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적의 포먼트 분석이란?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최적의 포먼트 분석이 가능하도록 자동화된 프랏 스크립트를 구현하였다. 최적의 포먼트 분석이란 프랏에서 포먼트 분석 시 설정하는 2가지 세팅 파라미터(최대 포먼트, 포먼트 개수)를 조합하여 측정된 제1, 제2 포먼트의 편차합이 최소일 때를 가리킨다. 포먼트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별이나 모음의 종류에 따라 LPC 차수를 다르게 설정해야 하는데 프랏 매뉴얼에서는 최대 포먼트 설정 값으로 남성 5,000 Hz, 여성 5,500 Hz, 측정개수는 5개를 권고한다.
포먼트 세팅을 할 때 후설 모음에서는 어떻게 설정해야 정확한 측정치를 얻는가? 앞서 언급했던 연구결과를 토대로 남녀 모두 전설 모음 /에, 이/에서는 최대 포먼트 범위를 높게 그리고 포먼트 개수를 적게 설정하는 것이 최적의 포먼트 세팅인 것으로 제안할 수 있다. 또한 후설 모음 /오, 우/에서는 최대 포먼트 범위는 낮게, 포먼트 개수는 많게 설정하는 것이 포먼트 측정에 있어 편차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측정치를 얻는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는 앞선 선행연구들과도 비슷한 맥락이다(Kim & Seong, 2016; Kim, 2015; Yang, 2019).
포먼트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포먼트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로는 CSL (Computerized Speech Lab), Dr. Speech (TigerDRS, USA), Praat (Boersma &Weenink, 2014, Netherlands, 이하 ‘프랏’), WaveSurfer (KTH,Sweden) 등이 있다. 이들 소프트웨어 중 프랏은 포먼트 분석에서 연구자의 요구와 모음 종류에 따라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정교한 세팅을 할 수 있어서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Park & Seong,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J. (2003). The pronunciation of Korean. Seoul: Samgyeong. 

  2. Behrman, A. (2007). Speech and voice science. Oxford: Plural Pub. 

  3. Boersma, P., & Weenink, D. (2014). Praat: Doing phonetics by computer [Computer program]. Retrieved from http://www.praat.org 

  4. Chiders, D. G. (1978). Modern spectrum analysis (pp. 252-255). New York: IEEE Press. 

  5. Escudero, P., Boersma, P., Rauber, A. S., & Bion, R. A. H. (2009). A cross-dialect acoustic description of vowels: Brazilian and European Portuguese.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26(3), 1379-1393. 

  6. Fry, D. B. (1982). The physics of speec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Jin, S. M. (2004). Introduction of acoustic analysis of voice. Korean Journal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47(10), 943-949. 

  8. Kent, R. D., & Read, C. (2002). The acoustic analysis of speech (2nd ed.). New York: Thomson Learning. 

  9. Kim, E. (2012). (A) Study on native Chinese speaker's acquisition of Korean vowels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0. Kim, J. (2015). Comparison of phonetic characteristics of vowel pronunciation by children who grew up in a multi-lingual (Chinese-Korean) environment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1. Kim, J., & Seong, C. (2016). The change of vowel characteristics for the Dysarthric speech along with speaking styl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8(3), 51-59. 

  12. Lee, J. R. (2017). Feasibility of acoustic analysis with laryngoscopic examination at outpatient clinic (Master's thesis). Ulsan National University, Ulsan, Korea. 

  13. Park, J., & Seong, C. (2018) The implementation of children’s automated fromant setting by Praat scripting.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0(4), 1-10. 

  14. Park, S. (2008). A validity study of formant analysis of vowel errors of children: Focused on vowel /u/.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17(3), 117-131. 

  15. Press, W. H., Teukolsky, S. A., Vetterling, W. T., & Flannery, B. P. (1992). Numerical recipes in C: The art of scientific computing. (2n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Sapir, S., Ramig, L. O., Spielman, J. L., & Fox, C. (2010). Formant centralization ratio: A proposal for a new acoustic measure of dysarthric speech.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3(1), 114-125. 

  17. Seong, C. J. (2005). A formant analysis of the Korean monophthongs of the college students speaking Chungnam dialect, Language, 43, 189-213. 

  18. Seong, C. J., Kwon, O. W., Lee, J. H., & Gim, C. G. (2008). A tonal analysis of East-Southern Gyeongnam dialect using Q-tone perceptual sense grade. Hangeul, 279, 5-33. 

  19. Song, I., & Seong, C. (2018). Characteristics of 2 to 4 year old Korean children's production of monophthongs and diphthong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0(1), 65-74. 

  20. Sim, H., Choi, C., & Choi, S. (2016). Characteristics of vowel formants, vowel space, and speech intelligibility produced by children aged 3-6 years.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2(4), 260-268. 

  21. Yang, B. (2019). A comparison of normalized formant trajectories of English vowels produced by American men and women.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1(1), 1-8. 

  22. Yoon, T. J., & Kang, Y. (2014). Monophthong analysis on a largescale speech corpus of read-style Korean. Phonetics and Speech Saciences, 6(3), 139-1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