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주도 공공 농업용 지하수의 효율적 누수량 산정 연구
Efficient Leakage Estimation of Public Agriculture Groundwater in Jeju Island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5 no.3, 2020년, pp.1 - 11  

김민철 (제주연구원) ,  박원배 (제주연구원) ,  강봉래 (제주연구원) ,  김지명 (제주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leakage ratios of Jeju Island's public agricultural groundwater were calculated by utilizing field measurements of groundwater level and surface reservoir water level. The average leakage ratios were 75.6% at groundwater well A and 57.5% at well B, with the ratio inversely proportiona...

Keyword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주도에서는 최근 증가되는 농업용수 수요를 충족시키고, 원활한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용수 통합 광역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 사업에서도 기존 관정의 공급효율에 대한 평가 보다는 추가적인 농업용수 개발을 통한 용수공급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 농업용 지하수를 대상으로 지하수 취수량 및 농업용수 이용량을 현장실측하고, 농업용 저수조의 수위를 모니터링하여 정량적인 누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농업용수 관로길이 및 농가수, 경사도 등 농업용수의 시설특성과 누수율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공공 농업용 지하수의 효율적인 누수량 조사 방안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누수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기 위해 관로길이, 공급 농가수, 개발연도, 분기지점, 평균경사 등의 농업용수 시설특성과 누수율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누수율은 각 저수조로 공급되는 지하수 관정의 2019년 월평균 취수량과 저수조 수위 모니터링을 통해 산정된 누수량을 월단위로 환산하여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공공 농업용 지하수를 대상으로 현장실측과 저수조 수위 모니터링을 통해 누수율을 산정하고, 누수요인을 검토하였으며, 제주도 공공 농업용 지하수의 누수량을 효율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의 지하수 사용 현황은? 제주도는 전체 수자원 중 90% 이상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농업용수의 경우에도 96% 이상이 지하수로 이용되고 있다(JSSGP, 2018). 2018년 12월 기준 제주도 내에는 4,757공(1,600천 m3/일)의 지하수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중 3,102공(890천 m3/일)이 농업용수로 개발되었다.
농업용수 공급관로의 재질은 주로 어떠한 것인가? 또한, 농업용 지하수가 개발됨에 따라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로를 설치하게 되며, 지하수 개발 시기를 고려할 경우, 대부분 20년 이상 경과된 관로가 매설되어 있다. 농업용수 공급관로는 대부분 PE, PVC관을 사용하고, 시공불량에 의해 지상으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노후화 및 파손에 의한 누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 농업용수는 지하수를 취수하여 저수조로 공급하고, 저수조에서는 자연유하방법으로 농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어 농업용수 이용이 적은 시기에는 관로 내의 농업용수가 지속적으로 누수 될 수 있으며, 공공 농업용 지하수 1공 당 공급되는 농가수는 2~200 농가로 공급농가수가 많아질수록 관로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누수량 증가 우려가 높다(Park et al.
제주도에서는 지하수를 어떤 방법으로 농업용수로 공급하고 있는가? 제주도는 고가 저수조를 이용하여 자연유하방법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나 지형 및 경사가 급하기 때문에 상·하류 지역의 수압 차이는 크게 나타나고, 이러한 특성에 따라 농업용수 이용이 적은 시기에는 누수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Cha, 2012). 즉, 농업용수 이용이 적은 시기에도 배수관 내 농업용수가 가득 차 있고, 배수관 및 급수전 파손 구간에서는 지속적으로 누수가 발생되어 농가에서 농업용수를 이용하지 않음에도 지하수 관정에서의 취수량은 많아지게 되어 누수율은 증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 J.G., Song, S.H., and Lee, D.R., 2015, Development of agricultural groundwater usage model considering multipurpose water in Jeju Island, J. Environmental Sciences, 22(4), 515-524. 

  2. Cha, J.H., 2012, An analysis on leakage reduction effect by block system establishment of doryun area in Jeju city, M. S. Jeju National Univercity. Korea, 41-20. 

  3. Choe, J.W. and Kim, S.H., 2001, Management of water supply by the detection of leakage, Korea Research Council for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15, 261-273. 

  4. Choi, K.J., Song, S.H., Kim, J.S., and Lim, C.W, 2013, Estimation of regional agricultural water demand over the Jeju Island, J. Environmental Sciences, 22(5), 639-649. 

  5. JSSGP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3,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plan (2013-2022). 

  6. JSSGP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2), 2018, Water resources management comprehensive plan (2018-2022). 

  7. Kang, B.R., Kim, G.T., Koh, G.W, and Huh, M., 2003, Analysis of recycling of sewage treatment plant for securing alternative water resources in Jeju Island, J. Soil Groundwater Environ Fall Conference, 180-183. 

  8. Kim, C.G. and Kim, N,W, 2017,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irrigation water n eed u sing n et water c onsumption c onc ept in Jeju Island, J. Korea Water Resources, 50(7), 503-511. 

  9. Lee, K.Y., Kim, H.D., and Chung, K.K., Applying wastewater reuse as an agricultural water, J. Korea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132-135. 

  10. M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9, Agricultural production base maintenance business plan design criteria (Pipe channel), 97-165.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Water Supply Drainage Design Criteria, 18. 

  12. Oh, H.C., Jo, Y.S., Hyun, S.Y., and Kim, S.Y., 2003, A feasibility study on the detection of water leakage using a ground-penetratiog radar, J.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14(6), 616-624. 

  13. Park, W.B., Kang, B.R, Kim, M.C., and Shin, Y.K., 2018, A study on the appropriate size estimation of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Jeju Research Institute, 2018-05. 

  14. Park, W.B., Kang, B.R., Kim, M.C., and Lee, J.H., 2019, A study on public agricultural groundwater supply efficiency and improvement in Jeju Island, Jeju Research Institute, 2019-19. 

  15. Seong, C.H., Kang, M.S., Jang, T.I., Park, S.W., Lee, K.Y., and Kim, H.D., 2009, Feasibility study of wastewater reuse for the vegetable farming in Jejudo, J. Korea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1) 27-32. 

  16. Son, Y.K., Rhee, H.P., Kim, H.D., Choi, S.W., and Kim, J.D., 2015, Safety evaluation of a wastewater reuse for the farmland irrigation in Jeju Island, J. Korea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4), 21-29. 

  17. Song, S.H., Lee, G.S., Myoung, W.H., An, J.G., Baek, J.H., and Jung, C,Y., 2019, Estimation of regional future agricultural available groundwater supply in Jeju Island using water balance method, J. Soil Groundwater Environ, 24(2), 23-37. 

  18. Song, S.H., Myoung, W.H., An, J.G., Jang, J.S., Baek, J.H., and Jung, C.Y., 2018, Estimation of regional future agricultural water demand in Jeju Island considering land use change, J. Soil Groundwater Environ, 23(1), 92-105. 

  19. Song, S.H., Yoo, S.H., and Bae, S.J., 2013, Regional drought assess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relationship with agricultural water in Jeju Island, J. Environmental Sciences, 22(5), 625-638. 

  20. Won, J.M. and Lee, S.I., 2007, Statistic analysis of learning easily by drawing using SPSS, 55-66.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