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래과 가래속의 한반도 미기록식물: 얼치기대가래
New Record of Potamogeton × anguillanus Koidz. (Potamogetonaceae) in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3 no.5, 2020년, pp.476 - 481  

심선희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김중현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김진석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미기록식물인 얼치기대가래(Potamogeton × anguillanus Koidz.)를 강원도 영월군 남면 연당리 연당천에서 발견하였다. 얼치기대가래는 대가래(P. wrightii Morong)와 넓은잎말(P. perfoliatus L.)의 자연교잡종이다. 대가래에 비해 잎자루가 짧고, 넓은잎말에 비해 잎이 좁고 길며, 밑부분이 줄기를 완전히 감싸지 않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본 미기록식물의 국명은 교잡종임을 고려하여 얼치기대가래로 신칭하였다. 주요 형질에 대한 기재와 화상자료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report a unrecorded plant on the Korean peninsula, Potamogeton × anguillanus Koidz. from Yeondangcheon (stream) in Yeondang-ri, Nam-myeon, Yeongwol-gun, Gangwon-do province. Potamogeton × anguillanus is a natural hybrid between P. wrightii Morong. and P. perfoliatus L...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래과 가래속의 얼치기대가래가 강원도 영월군 연당천에 자생하는 것이 확인되어, 한반도 미기록식물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기재와 화상자료 제공, 국명 부여 및 국내에 분포하는 근연분류군들과의 검색표를 작성하여 그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A. 침수엽의 엽설은 잎 기부와 거의 이생한다.
  • A. 침수엽의 엽설은 잎 기부와 합착된다.
  • G. 잎은 둔두 또는 예두이며, 엽병이 없다.
  • H. 잎의 기부는 설저이며, 줄기를 싸지 않는다(간혹 부수엽이 있다).
  • H. 잎의 기부는 심장저이며, 기부가 줄기를 싸고 있다.       P.
  • I. 부수엽이 없으며, 열매를 맺지 않는다.       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래속의 교잡종의 부모종을 추정하기 위하여 무엇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가? 가래속은 전형적인 교잡종을 형성하는 속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교잡종의 부모종을 추정하기 위하여 엽록체 및 핵 염기 서열의 특정 바코드 마커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Du et al., 2009, 2010; Fant et al.
가래과는 전 세계에 몇 가지 종이 분포하는가? & J. Presl)는 전 세계에 3속 90-100여 종이 분포한다(Kim et al., 2018; Preston, 1995).
가래속의 전 세계 분포는 어떠한가? , 2018; Preston, 1995). 현재 유럽에 약 56분류군, 중국에 28분류군, 한국에 13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Kim et al., 2002,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rix, H. 1994. Functions of macrophytes in constructed wetlands. Water Sci. Technol. 29(4):71-78. 

  2. Choi, D.H., H. Kang and M.K. Lee. 2010. Feasibility of aquatic plants (Eichhornia crassipes and water dropwort) for nutrients removal. J. Korean Soc. Environ. Eng. 32(2):141-148 (in Korean). 

  3. Choi, H.G. 2000. Aquatic Vascular Plants.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RIBB). Daejeon, Korea. p. 220 (in Korean). 

  4. Du, Z.Y., C.F. Yang, J.M. Chen and Y.H. Guo. 2009. Nuclear and cholorplast DNA sequences data support the origin of Potamogeton intortusifolius J.B. He in China as a Hybrid between P. perfoliatus Linn. and P. wrightii Morong. Aquat. Bot. 91(1):47-50. 

  5. Du, Z.Y., C.F. Yang, J.M. Chen and Y.H. Guo. 2010. Identification of hybrids in broadleaved Potamogeton species (Potamogrtonaceae) in China using nuclear and chloroplast DNA sequence data. Plant Syst. Evol. 287:57-63. 

  6. Fant, J.B., E.M. Kamau, C.D. Preston. 2003. Chloroplast evidence for the multiple origins of the hybrid Potamogeton ${\times}$ sudermanicus Hagstr. Aquat. Bot. 75(4):351-356. 

  7. Fassett, N.C. 1957. A Manual of Aquatic Plants: with Revision Appendix by E.C. Ogde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Wisconsin (USA). p. 405. 

  8. Han, J.G., W.I. Yoon, Y.K. Lee, J.Y. Lee and K.K. Hong. 2010. A study on countermeasure and contamination analysis for heavy metal pollution of nearby area using stony mountain field case. J. Korean Geosynth. Soc. 9(4):57-66 (in Korean). 

  9. Haynes, R.R. 1974. A revision of North American Potamogeton subsectin Pusilli (Potamogetonceae). Rhodora 76:546-649. 

  10. Iida, S. and Y. Kadono. 2000. Genetic diversity of Potamogeton anguillanus in Lake Biwa. Aquatic Bot. 67:43-51. 

  11. Iida, S. and Y. Kadono. 2002. Genetic diversity and origin of Potamgeton anguillanus (Potamogetonaceae) in Lake Biwa, Japan. J. Plant Res. 115:11-16. 

  12. Iida, S. and Y. Kadono, A. Yamada, M. Amano, J. Ishii, Y. Kadono and K. Kosuge. 2007. Inherited maternal effects on the drought tolerance of a natural hybrid aquatic plant, Potamogeton anguillanus. J. Plant Res. 120(4):473-481. 

  13. Ito, Y., G.L. Robledo, L. Iharlegui and N. Tanaka. 2016. Phylogeny of Potamogeton (Potamogetonaceae) revisited: Implications for hybridization and introgression in Argentina. Bull. Natl. Mus. Nat. Sci., Ser. B. 42(4):131-141. 

  14. Ju, E.J. 2008. The nutrient removal ability of aquatic plants. Nat. Conserv. 142:40-45. 

  15. Kadono, Y. 1994. Aquatic Plants of Japan. Bunichi Sogo Shuppan Co. Ltd., Tokyo. Japan. p. 179 (in Japanese). 

  16. Kaplan, Z., J. Fehrer and C.B. Hellquist. 2009. New hybrid combinations revealed by molecular analysis: The unknown side of North American pondweed diversity (Potamogeton). Syst. Bot. 34(4):625-642. 

  17. Kim, H.J., H.C. Shin and H.K. Choi. 2002. Taxonomy of the genus Potamogeton (Potamogetonaceae) in Korea. Korean J. Pl. Taxon. 32(2):209-232 (in Korean). 

  18. Kim, Y.D., H.C. Kim and H.K. Choi. 2018. Potamogetonaceae: In Park, C.W. (ed.),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Hongreu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434-1438 (in Korean). 

  19. Koidzumi, G. 1929. Contributions ad cognitionem florae Asiae orientalis. Bot. Mag. (Tokyo) 43:382-407. 

  20. Lee, J.W., Y.G. Ham and J.A. Park. 1996. Uptake capacity of heavy metals by water plants. Kor. J. Environ. Toxicol. 11 (3-4):23-32 (in Korean). 

  21. Lee, S.H. and I.K. Lee. 2002. Removal of heavy metals using aquatic plant. Korean Geo-Environ. Soc. 3(4):5-10 (in Korean). 

  22. Les, D.H. and C.T. Philbrick. 1993. Studies of hybridization and chromosome number variation in aquatic angiosperms: evolutionary implications. Aquat. Bot. 44(2-3):181-228. 

  23. Noller, B.N., P.H. Woods and B.J. Ross. 1994. Case studies of wetland filtration of mine wastewater in constructed and naturally occurring systems in Norhtern Australia. Wat. Sci. Tech. 29(4):257-265. 

  24. Preston, C.D. 1995. Pondweed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Botanical Society of the British Isles, London, UK. p. 352. 

  25. Ra, K.H., S.H. Kwon and J.H. Lee. 1996. Aquatic plants for wastewater treatment. Kor. J. Env. Hlth. Soc. 22(3):49-55. 

  26. Rai, U.N., R.D. Tripathi, P. Vajpayee, N. Pandey, M.B. Ali and D.K. Gupta. 2003. Cadmium accumulation and its phytotoxicity in Poatamogeton pectinatus L. (Potamogetonaceae). Bull. Enciron. Contam. Toxicol. 70:566-575. 

  27. Shutoh, K., M. Usuba, H. Yamagishi, Y. Fujita and T. Shiga. 2020. A new record of Potamogeton ${\times}$ angustifolius J. Presl (Potamogetonaceae) in Japan. Acta Phytotax. Geobot. 71(1): 33-44. 

  28. Wieglab, G. and Z. Kaplan. 1998. An account of the species of Potamogeton L. (Potamogetonaceae). Folia Geobot. 33(3): 241-316. 

  29. Xu, Q.S., H.L. Min, S.J. Cai, Y.Y. Fu, S. Sha, K.B. Xie and K.H. Du. 2012. Subcellular distribution and toxicity of cadmium in Potamogeton crispus L. Chemosphere 89:114-120. 

  30. Yang, T., T.I. Zhang, Y.H. Guo and X. Liu. 2016. Identification of Hybrids in Potamogeton: Incongruence between Plastid and ITS regions solved by a novel barcoding marker PHYB. PLoS ONE 11(11):e0166177. 

  31. Zhang, T. and J.B. Wang. 2012. Identification of putative hybrids and natural lineages in genus Potamogeton Revealed by chloroplast and nuclear DNA Markers. Pure Appl. Bio. 1(1):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