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용식물 길마가지나무 자생지의 생육환경특성과 식생구조
Grow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Lonicera harae, Medicinal Plant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4 no.4, 2021년, pp.297 - 310  

손용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  박성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  정대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  조혜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  손호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  전권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길마가지나무의 자생지 11지역 24개소의 입지환경을 조사한 결과 길마가지나무는 주로 산지의 낮은 지대를 중심으로 임연부, 등산로주변, 계곡부 및 해안림 곳곳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경사는 대부분 평지나 완경사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사면방위는 가리지 않았으나 주로 햇볕을 많이 받는 남향에 주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군집구조는 분석결과 각각 아까시나무(군집I), 느티나무(군집II), 일본잎갈나무(군집III)가 지표종인 3개 군집으로 나뉘었다. 출현식물의 경우 군집 I에서 출현한 식물은 50과 77속 78종 2아종 11변종 총91분류군, 7개의 방형구로 느티나무가 지표종인 군집II에서 출현한 식물은 51과 82속 80종 2아종 10변종 1품종 총93분류군, 11개로 가장 많은 방형구가 해당되며, 느티나무가 지표종인 군집III에서 출현한 식물은 61과 111속 129종 2아종 13변종 3품종 총147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특이식물로는 특산식물 1분류군, 침입외래식물 9분류군, 희귀식물 5분류군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개체수가 출현하였다. 상대우점치(I.P.) 분석결과 각군집의 지표종으로 대표되는 종이 있으나 특정군집에 독립적으로 출현하는 경우는 적었다. 대표적으로 느티나무, 참나무, 아까시나무, 밤나무 등이 있었으며, 아까시나무군집의 교목층을 제외하면 대부분 경쟁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종다양성지수 분석과 유사도지수 분석에서도 상대우점치 분석과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군집 간 특정종이 우세하기 보다는 균등도가 매우 높으며, 출현식물이 상이하기 보다는 유사한 경향을 띄고 있었다. 토양분석 결과, 군집 간 전형적인 갈색산림토양, 암적색산림토양의 성질을 보였으며, 배수가 좋은 사양토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유기물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산림토양에 비해 함량이 대체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미루어 보았을 때 길마가지나무의 자생지 분포는 지역적인 경향보다는 상층이 울폐하지 않는 임연부, 등산로를 중심으로 유기물이 풍부한 환경에 분포해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상층이 울폐한 경우에는 피압으로 인해 생육이 부진한 경향을 보여 광 요구도가 높은 수종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nicera harae is a species of shrub in the Caprifoliaceae family, mostly distributed in East asia. So far, the related research on the genus of Lonicera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Lonicera japonica belonging to the same genus, which requires attention to domestic native plants. Therefore, this...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33)

  1. An, G.Y, S.W. Chung, H.C. Cho, J.R. Park, M.J. Kim, H.P. Kim, H.J. Yang W.J. Chun and Y.S Kwon. 2018.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Lonicera maackii stems. Korean J. Pharmacogn. 49(2):103-107 (in Korean). 

  2. Braun-Blanquet, J. 1964. Pflazensoziologie, grundzud der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New York (USA). 

  3. Brower, J.R.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n. C. Brown Company, Iowa (USA). p. 194. 

  4. Byeon, J.G, K.I. Cheon, D.H Lee, T.I Heo, J.W Lee, J.D Kim and B.J. Park. 2020. The character of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for Thuja koraiensis Nakai, South Korea. Korean J. Plant Res. 33(2):93-105 (in Korean). 

  5. Cho, K.J. and J.W. Kim. 2005.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obinia pseudoacacia forests. Korea J. Environ. Ecol. 28(1):15-23 (in Korean). 

  6.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a.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7. Chung, J.M, S.H. Cho, Y.S. Kim, K.S. Kong, H.J Kim, C.H. Lee and H.J. Lee, 2017b, Ethnobotany in Korea: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use of indigenous plants,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1048 (in Korean). 

  8.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476-496. 

  9. David, L.G. and Donald E.T. 2003. Competitive effects of the invasive shrub, Lonicera maackii (Rupr.) Herder (Caprifoliaceae)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native tree seedlings. Plant Ecology 166:13-24. 

  10. Falk, D.A. and P. Olwell. 1992. Scientific and policy conservations on reintroduction of endangered species. Rhodora 94(879):287-315. 

  11. Ishidoya, T. and T.H. Jeong, 1923. Flora Joseon. Seoul, Korea. (in Korean). 

  12. Jeon, S.H. 1994. Taxonomic studies on the genus lonicera in Korea : Specially referred to morphology, pollen characteristics and DNA polymorphism patterns.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p. 145 (in Korean). 

  13. Jeong, J.H, Koo, K.S. Lee, C.H and C.S. Kim.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 Korean For. Soc. 91(6):694-700 (in Korean). 

  14. Kim, J.S. and T.Y. Kim.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Seoul, Korea. p. 688 (in Korean). 

  15. Kjeldahl, J. 1883. A new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nitrogen in organic matter. Fresenius Z. Anal. Chem. 22:366-382. 

  16. Ko, C.H, K.C. Lee, D.H Kim, H.B. Park, S.Y. Kim and S.Y. Lee. 2018. Underdeveloped embryos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 in Lonicera harae Makino seed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6(1): 155-155. (in Korean). 

  17. Kong, S.J., J.H. Shin and K.C. Yang. 2012. Multi layered planting models of Zelkova serrata community according to warmth index.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5(2):77-84 (in Korean). 

  18.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Pocheon, Korea. pp. 1-265 (in Korean). 

  1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ocheon, Korea. pp. 3-1000 (in Korean). 

  20.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ve Plants. 2021. Pocheon, Korea. (in Korean). 

  21. Kristina, A.S. 2010. Japanese Honeysuckle (Lonicera japonica) as an invasive Species: history, ecology, and context. Crit. Rev. Plant Sci. 23(5):391-400. 

  22. Lee, S.H., Yeon, M.H. and J.K. Shim. 2011. Habitat and distribution feature of endangered species Leontice microrhyncha S.Moore. Korea J. Environ. Ecol. 25(6):819-827 (in Korean). 

  23.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5-914 (in Korean). 

  24.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1-910 (in Korean). 

  25. McCune, B. and M.J. Mefford. 2006.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5. 10. MjM software, Gleneden Beach, Oregon (USA). 

  26.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Publishing Co., Berlin, Germany. pp. 5-666. 

  2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National Map of Korea. Suwon, Korea. p. 251 (in Korean). 

  28. Park, H.G., M.H, Yang and B.C, Lee. 2012. Research trends and practical use of resource plants,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p. 3 (in Korean). 

  29. Ryu, I.S., C.W. Shin, J.H. Yoon and S.H. Yoo. 1977. A study on composition of inorganic phosphorus forms and comparison of methods of determining available phosphorus in upland soils. Korean J. Soc. Soil Sci. Fert. 10:211-277 (in Korean). 

  30. Song, J.H., S.G, Yang, G.Y. Choi and B.C Moon. 2020. Analysis on the trends of Korean health functional food patent based on the medicinal plant resources. Korean Herb. Med. Inf. 8(1):25-44 (in Korean). 

  31. Walkley, A.J. and I.A. Black. 1934. Estimation of soil organic carbon by the chromic acid titration method. Soil Sci. 37: 29-38. 

  32. Whittaker, R.H. 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 Monogr. 26(1):1-80. 

  33. Ye, S.L., M.E. Yun, Y.J Lee, Y.M. Park, S.L. Lee and S.N. Park. 2018. Antioxidant activities and cytoprotective effects of Lonicera japonica Thunb. extract and fraction against. Microbiol. Biotechnol. Lett. 46(1):18-2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