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지역 특성 기반 도시재생 유형 추천 시스템 제안
Suggestion of Urban Regeneration Typ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Using Text Mining 원문보기

지능정보연구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26 no.3, 2020년, pp.149 - 169  

김익준 (아주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  이준호 (아주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  김효민 (아주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  강주영 (아주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 정부의 주요 국책사업 중 하나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매년 100 곳씩, 5년간 500곳을대상으로 50조를 투자하여 낙후된 지역을 개발하는 것으로 언론과 지자체의 높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 사업모델은 면적 규모에 따라 "우리동네 살리기, 주거정비지원형, 일반근린형, 중심시가지형, 경제기반형" 등 다섯 가지로 나뉘어 추진되어 그 지역 본래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 도시재생 성공 키워드는 "주민 참여", "지역특화" "부처협업", "민관협력"이다. 성공 키워드에 따르면 지자체에서 정부에게 도시재생 사업을 제안할 때 지역주민, 민간기업의 도움과 함께 도시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도시의 특성에 어울리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시재생 사업 후 발생하는 부작용 중 하나인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고려하면 그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재생 유형을 선정하여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 방법론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존 서울시가 지역 특성에 기반하여 추진하고 있는 "2025 서울시 도시재생 전략계획"의 도시재생 유형을 참고하여 도시재생 사업지에 맞는 도시재생 유형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서울시 도시재생 유형은 "저이용저개발, 쇠퇴낙후, 노후주거, 역사문화자원 특화" 네 가지로 분류된다 (Shon and Park, 2017). 지역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총 4가지 도시재생 유형에 대해 사업이 진행된 22개의 지역에 대한 뉴스 미디어 10만여건의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도시재생 유형에 따른 지역별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고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여 유형별 차이가 있는 지 탐색해 보았다. 다음 단계로 주어진 텍스트를 기반으로 도시재생 유형을 추천하는 추천시스템 구축을 위해 텍스트 데이터를 벡터로 변환하여 머신러닝 분류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를 검증한 결과 97%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추천 시스템은 도시재생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신규 사업지의 지역 특성에 기반한 도시재생 유형을 추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one of the government's major national projects, is about developing underdeveloped areas by investing 50 trillion won in 100 locations on the first year and 500 over the next four years. This project is drawing keen attention from the media and local government...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도시재생 전의 정체성을 계승한 정도에 따라 계승 및 강화형, 변화 및 창조형으로 나누어 도시재생 활성화에 있어 중요한 요소에 대해 연구하였다.
  • 반면에 서울시의 도시재생 유형은 역사문화자원지역, 저이용·저개발지역, 쇠퇴·낙후지역, 노후주거지역으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유형 분류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서울시 유형 분류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서울시 외의 지역에 도시 특성을 반영하는 분류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 즉 지역별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뉴스 미디어 텍스트를 도시재생 유형별 차이를 보여주고 있음을 탐색적 분석결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단계에서 뉴스미디어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도시재생 유형을 결과값으로 하여 머신러닝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정확도가 가장 높은 모델을 기반으로 지역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텍스트를 활용한 도시재생유형 추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머신러닝은 컴퓨터가 대량의 훈련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만들고 테스트 데이터로 모델을 검증하여 이를 통해 결과를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 도시재생 유형을 분류 결과값으로 뉴스미디어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세팅하여 주어진 입력값에 대해 가장 분류를 잘 해주는 머신러닝 모델을 찾아 이를 기반으로 지역의 특성에 기반한 추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Figure 1]과 같이 빅카인즈로부터 수집된 도시재생 유형별 뉴스데이터를 바탕으로 토픽모델링을 통한 유형별 차이를 탐색하고, 머신러닝 분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주어진 특성에 가장 맞는 도시재생 유형 추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Table 2]와 같이 서울시에서 2015년에 발표한 도시재생 유형에 기반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도시재생 유형에 관한 선행논문을 살펴보았을 때, 도시재생 특성에 기반한 도시재생 유형 분석을 하는 연구는 있었으나, 새롭게 분류하는 연구는 없었다.
  •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재생 유형에 근거하여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 서울특별시 외의 지역들의 뉴스데이터를 입력했을 때 지역의 특성에 근거한 유형을 추천하는 모델을 구현하였다. 현 정부가 들어서고, 도시재생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매년 새로운 도시재생 지역이 선정되고 이에 따른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기존 연구의 경우, AHP분석이나 사례분석, 재원 지표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 유형을 분석한 것이 다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기법에서 벗어나, 머신러닝,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도시재생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탐험적인 해당 연구를 통해 추후 다른 연구과제에서 이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머신러닝은 컴퓨터가 대량의 훈련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만들고 테스트 데이터로 모델을 검증하여 이를 통해 결과를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 도시재생 유형을 분류 결과값으로 뉴스미디어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세팅하여 주어진 입력값에 대해 가장 분류를 잘 해주는 머신러닝 모델을 찾아 이를 기반으로 지역의 특성에 기반한 추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 2006).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텍스트를 벡터로 변환하여 분류모형에 적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머신러닝 분류모형은 많은 연구에서 가장 빈도수나 활용도가 높은 SVM, Decision Tree, Random Forest, Logistic Regression, Gradient Boost와 같이 5가지를 활용하고자 한다 (Ikonomakis et al.
  •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 유형별로 주요 키워드 분포나 구성하고 있는 토픽들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토픽모델링은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 데이터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특정 문서의 주제와 속성을 파악하는 기법이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 유형을 추천하기 위해 뉴스 데이터를 텍스트 벡터로 변환한 후 머신러닝 분류 모형을 활용하고자 한다. 텍스트를 벡터로 표현하는 방법은 단순히 빈도수만을 고려한 방법부터 복잡한 순서까지 포함하는 임베딩 방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어 오고 있다.
  • 이렇게 변환된 벡터는 싸이킷런 패키지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분류 알고리즘인 SVM(Support Vector Machine), Decision Tree, Random Forest, Logistic Regression, Gradient Boosting를 적용하여 머신러닝 모델을 구축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 모델 구현을 위해 2가지 벡터 형태에 대해 5가지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므로 총 10가지 머신러닝 모델을 구축하여 성능을 평가 및 비교하였다.
  • 반면 서울시 도시재생 전략계획의 경우, 지역의 특성에 기반한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놓았다. 이러한 유형 분류가 뉴딜사업의 유형분류보다 지역 특성에 기반한 도시재생 사업 테마를 잡는데 유의미하다고 판단하였고, 토픽 모델링을 통해 이러한 도시 특성 분류가 유의미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5 서울시 도시재생 전략계획’에서 정의된 도시재생 유형이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도시재생을 실시하였는지 확인 하기위해, 빅카인즈(Bigkinds)의 뉴스데이터를 전처리한 후 토픽모델링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유형별 유의미한 특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재생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2017)에 따르면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 역량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과 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해,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 환경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5년간 50조원을 투자하여 500개의 구도심과 노후 주거지를 재생시키겠다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1호 공약으로 내세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도시재생에 대한 정부 관심의 정도가 높다.
사업유형별 도시재생이란 무엇인가? 두 번째 방법인 사업유형별 도시재생은 경제 기반형, 중심 시가지형, 일반 근린형, 주거지 지원형, 우리동네 살리기형으로 유형으로 분류가 되며, 이는 모두 도시재생의 사업 유형별 방법론을 제시한 것이므로 도시재생의 목표, 도시 속성과 관련이 있는 분류 방법이다.
국토교통부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어떤 방법으로 분류하였는가? 국토교통부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에서 다음과 같이 2가지 방법으로 도시재생 사업을 분류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선정방식별’로 도시재생 사업을 분류하였고 두 번째 방법은 ‘사업유형별’로 도시재생 사업을 분류하였다 (Molit, 2017). 첫 번째 방법은 도시재생 사업을 선정한 주체에 대한 분류인데, 중앙 선정, 공공기관 제안, 광역지자체 선정으로 나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izawa, A., "An Information-Theoretic Perspective of Tf-Idf Measures",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Vol. 39, No. 1, 2003, 45-65. 

  2. Bae, M.-K. and Park, S.-H.,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Project Contents and Expected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Pilot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8, No. 10, 2018, 527-544. 

  3. Blei, D. M., Ng, A. Y. and Jordan, M. I.,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Vol. 3, No. Jan, 2003, 993-1022. 

  4. Caruana, R. and Niculescu-Mizil, A., "An Empirical Comparison of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s", Proceedings of Proceedings of 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2006. 

  5. Choi, J.-W. and Lee, J.-H., "An Impact Analysis of Idle Space Regeneration Types on Regional Revitaliz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5, 2016, 478-489. 

  6. Ikonomakis, M., Kotsiantis, S. and Tampakas, V., "Text Classifi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SEAS transactions on computers, Vol. 4, No. 8, 2005, 966-974. 

  7. Jeon, K. S., "Urban Regeneration and Sustainable Growth Strateg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Vol. 14, No. 3, 2011, 1-17. 

  8. Jin, E.-A. and Lee, W.-J., "Criticality Analysis of Performance Indicators by Urban Regeneration Project Type - with a Focus on Central City Type, General Neighborhood Type, Urban Residential District Regeneration and Town Regeneration Projects", KIEAE Journal, Vol. 18, No. 6, 2018, 29-41. 

  9. Jung, K., Lee, J. and Lee, S., "An Empirical Study on Project Type and Funds Supply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Priority Region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28, No. 2, 2016, 19-37. 

  10. Khan, A., Baharudin, B., Lee, L. H. and Khan, K., "A Review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 Text-Documents Classification", Journal of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Vol. 1, No. 1, 2010, 4-20. 

  11. Kim, D., Kang, J. and Lim, J. I., "Comparative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Factors, Using Lda Topic Modeling by Industries : The Case Study of Job Planet Reviews", Journal of Korea Socierty of IT Services, Vol. 15, No., 2016a. 

  12. Kim, T., Choi, H. and Lee, H.,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Fintech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1, 2016b, 670-681. 

  13. Lee, J.-H., Seo, E.-K. and Lim, J.-H., "Analyses on Type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for Establishment of Urban Identity", KIEAE Journal, Vol. 9, No. 5, 2009, 85-96. 

  14. Lee, S.-H., Oh, D.-S. and Kim, J.-K.,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Urban Regeneration - Focused on Urban Regeneration Cases in Germany", KIEAE Journal, Vol. 17, No. 6, 2017, 213-220. 

  15. Molit. (2017) "Special Act on Activation and Support of Urban Regeneration". 

  16. Park, S., Han, E.-J., Lee, J. and Kim, D.-G., "A Recommendation System for Assisting Devic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ol. 31, No. 6, 2018, 693-706. 

  17. Patra, A. and Singh, D., "A Survey Report on Text Classification with Different Term Weighing Methods and Comparison between Classification Algorithm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Vol. 75, No. 7, 2013. 

  18. Ryu, T.-C. and Kim, W.-H., "A Study on the Method to Activate of Urban Regeneration in Business Districts in Old Towns through Ipa Analysis - Focusing on Andong-Si Food Street", RESIDENTIAL ENVIRONMENT :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Vol. 16, No. 2, 2018, 159-169. 

  19. Sang, N. (2010) Toward a Collaborative Implementation Model for Urban Regeneration in Seoul : With Special Reference to Se-Woon District. Seoul City University. 

  20. Seo, I., "An Emperical Analysis on the Type of Cultural Urban Regeneration : Focused on the Case of Masan Old Downtown in Changwon City", RESIDENTIAL ENVIRONMENT :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Vol. 14, No. 4, 2016, 363-382. 

  21. Seoul, C. O. (2015) "2025 Seoul Urban Regeneration Stratigies". 

  22. Shin, W.-H. and Shin, W.-J., "A Study on the Priority among Achievement Indexes Depending on the Type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ed on the Cases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29, No. 5, 2017, 39-52. 

  23. Shon, Y.-M. and Park, T.-W., "Priority Comparative Analysis for Urban Revitalization Factor of Decline Commercial Area - Focused on Shinchon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30, No. 4, 2017, 1-18. 

  24. Williams, N., Zander, S. and Armitage, G., "A Preliminary Performance Comparison of Fiv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 Practical Ip Traffic Flow Classification", ACM SIGCOMM Computer Communication Review, Vol. 36, No. 5, 2006, 5-16. 

  25. Yang, N. Y., Kim, S. G. and Kang, J. Y., "Researcher and Research Area Recommendation System for Promoting Convergence Research Using Text Mining and Messenger Ui",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 27, No. 4, 2018, 71-96. 

  26. Yoon, S., Shin, M. and J, K., "A Study on City Brand Evaluation Method Using Text Mining : Focused on News Media", Journal of Korea IT Service, Vol. 18, No. 1, 2019, 153-171. 

  27. You, E.-S., Choi, G.-H. and Kim, S.-H., "Study on Extraction of Keywords Using Tf-Idf and Text Structure of Novel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20, No. 2, 2015, 121-129. 

  28. Zhang, Y., Jin, R. and Zhou, Z.-H., "Understanding Bag-of-Words Model: A Statistical Frame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Machine Learning and Cybernetics, Vol. 1, No. 1-4, 2010, 43-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