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은 기존의 쇠퇴한 도시 지역에서 물리적·사회적·경제적 개선을 목표로 한다. 도시재생 사업은 단기적 목표 달성과 함께 개선 성과의 지속성이라는 장기적 성과가 중요하다. 도시재생 사업 성과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사업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인지도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부산에서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도시재생 사업들을 대상으로 대중들의 인지도와 인식을 분석하였다. 부산에서 도시재생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감천문화마을, 초량이바구길, 전포카페거리, 해리단길 등 4개 사업지역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4개의 도시재생 사업 지역 중 가장 늦게 형성된 해리단길의 관련 데이터가 주로 2019년도부터 나타남을 고려하여 텍스트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시간적 범위는 2019년 01월 0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지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인지도를 분석하기 위해 ...
도시재생은 기존의 쇠퇴한 도시 지역에서 물리적·사회적·경제적 개선을 목표로 한다. 도시재생 사업은 단기적 목표 달성과 함께 개선 성과의 지속성이라는 장기적 성과가 중요하다. 도시재생 사업 성과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사업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인지도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부산에서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도시재생 사업들을 대상으로 대중들의 인지도와 인식을 분석하였다. 부산에서 도시재생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감천문화마을, 초량이바구길, 전포카페거리, 해리단길 등 4개 사업지역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4개의 도시재생 사업 지역 중 가장 늦게 형성된 해리단길의 관련 데이터가 주로 2019년도부터 나타남을 고려하여 텍스트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시간적 범위는 2019년 01월 0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지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인지도를 분석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연관키워드 분석, 연결중심성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역의 용도별 유형에 따라 대중의 인식과 인지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감천문화마을은 주거지역, 초량이바구길은 주거 및 상업지역, 전포카페거리와 해리단길은 상업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주거지역은 물리적 환경과 마을의 공간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반면 상업지역은 개별적 소비 공간과 경험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의 방문 목적과 행위에 다름으로 인한 인식의 차이로 볼 수 있다. 둘째,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대중들의 인지성에 차이가 있었다. 감천문화마을과 초량이바구길은 사업적 성격의 도시재생 프로젝트가 시행되었고, 전포카페거리와 해리단길은 자생적 성격의 도시재생이 이루어진 지역이다. 사업적 성격의 도시재생이 시행된 지역은 도시재생의 정책과 거점 시설 및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나, 자생적 성격의 도시재생 지역은 도시재생에 대한 인식보다 개별적 공간에 대한 인식으로 장소적 특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상지 모두 공통적으로 지역정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의 명칭과 지역의 지리, 장소적 특성이 대중들의 인식에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대중적 관점에서의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대한 분석은 재정 투입의 우선순위 결정 등 사업계획을 정교하게 다듬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이 연구는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대중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이전까지 주로 행정가, 전문가, 주민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평가되어 왔던 도시재생 사업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재생은 기존의 쇠퇴한 도시 지역에서 물리적·사회적·경제적 개선을 목표로 한다. 도시재생 사업은 단기적 목표 달성과 함께 개선 성과의 지속성이라는 장기적 성과가 중요하다. 도시재생 사업 성과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사업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인지도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부산에서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도시재생 사업들을 대상으로 대중들의 인지도와 인식을 분석하였다. 부산에서 도시재생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감천문화마을, 초량이바구길, 전포카페거리, 해리단길 등 4개 사업지역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4개의 도시재생 사업 지역 중 가장 늦게 형성된 해리단길의 관련 데이터가 주로 2019년도부터 나타남을 고려하여 텍스트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시간적 범위는 2019년 01월 0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지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인지도를 분석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연관키워드 분석, 연결중심성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역의 용도별 유형에 따라 대중의 인식과 인지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감천문화마을은 주거지역, 초량이바구길은 주거 및 상업지역, 전포카페거리와 해리단길은 상업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주거지역은 물리적 환경과 마을의 공간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반면 상업지역은 개별적 소비 공간과 경험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의 방문 목적과 행위에 다름으로 인한 인식의 차이로 볼 수 있다. 둘째,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대중들의 인지성에 차이가 있었다. 감천문화마을과 초량이바구길은 사업적 성격의 도시재생 프로젝트가 시행되었고, 전포카페거리와 해리단길은 자생적 성격의 도시재생이 이루어진 지역이다. 사업적 성격의 도시재생이 시행된 지역은 도시재생의 정책과 거점 시설 및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나, 자생적 성격의 도시재생 지역은 도시재생에 대한 인식보다 개별적 공간에 대한 인식으로 장소적 특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상지 모두 공통적으로 지역정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의 명칭과 지역의 지리, 장소적 특성이 대중들의 인식에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대중적 관점에서의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대한 분석은 재정 투입의 우선순위 결정 등 사업계획을 정교하게 다듬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이 연구는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대중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이전까지 주로 행정가, 전문가, 주민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평가되어 왔던 도시재생 사업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selects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th high public awareness in Busan. Gamcheon Culture Village, Choryang Ibagu-gil, Jeonpo Cafe Street, and Haridan-gil, which had many references to tourism-related materials in Busan, were selected as the sites for research, and the time range of t...
This study, selects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th high public awareness in Busan. Gamcheon Culture Village, Choryang Ibagu-gil, Jeonpo Cafe Street, and Haridan-gil, which had many references to tourism-related materials in Busan, were selected as the sites for research, and the time range of the research was from January 1, 2019 to December 31, 2019. To analyze public cognition abou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lated keyword analysis, connection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se related big-data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public cogn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roject. Gamcheon Culture Village consists of mainly residential areas, Choryang Ibagu-gil consists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and Jeonpo Cafe Street and Haridan-gil consists of commercial areas. Residential areas had a high awarenes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value of the village's space. On the other hand, commercial areas have a high awareness of individual consumption space and empirical value. This can be seen 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due to differences in the purpose and behavior of the region.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ublic's cognition depending on the natur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Gamcheon Culture Village and Choryang Ibagu-gil were carried out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f a business nature, while Jeonpo Cafe Street and Harry Dan-gil were the areas where urban regeneration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was carried out. The area where urban regeneration with a business nature was implemented had a high awareness of the policy of urban regeneration and the hub facilities and physical environment, but the urban regeneration area with a self-sustaining nature was aware of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perception of individual spaces. Finally, there was a high awareness of local information in all of the target locations. This means that the geograph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name of the region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ublic awareness. Analyzing the public's cognition perceived regard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ll make it an important direction to prioritize financial input to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und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as much expected effect as they are invested, and they can compare the factors that the public perceives to determine whether they have an investment-to-investment effect, and prioritize which factors are importa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urban regeneration direction in a different wa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project.
This study, selects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th high public awareness in Busan. Gamcheon Culture Village, Choryang Ibagu-gil, Jeonpo Cafe Street, and Haridan-gil, which had many references to tourism-related materials in Busan, were selected as the sites for research, and the time range of the research was from January 1, 2019 to December 31, 2019. To analyze public cognition abou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lated keyword analysis, connection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se related big-data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public cogn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roject. Gamcheon Culture Village consists of mainly residential areas, Choryang Ibagu-gil consists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and Jeonpo Cafe Street and Haridan-gil consists of commercial areas. Residential areas had a high awarenes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value of the village's space. On the other hand, commercial areas have a high awareness of individual consumption space and empirical value. This can be seen 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due to differences in the purpose and behavior of the region.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ublic's cognition depending on the natur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Gamcheon Culture Village and Choryang Ibagu-gil were carried out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f a business nature, while Jeonpo Cafe Street and Harry Dan-gil were the areas where urban regeneration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was carried out. The area where urban regeneration with a business nature was implemented had a high awareness of the policy of urban regeneration and the hub facilities and physical environment, but the urban regeneration area with a self-sustaining nature was aware of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perception of individual spaces. Finally, there was a high awareness of local information in all of the target locations. This means that the geograph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name of the region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ublic awareness. Analyzing the public's cognition perceived regard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ll make it an important direction to prioritize financial input to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und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as much expected effect as they are invested, and they can compare the factors that the public perceives to determine whether they have an investment-to-investment effect, and prioritize which factors are importa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urban regeneration direction in a different wa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projec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