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기물 자원화를 위한 폐플라스틱의 도로포장 적용기술
Research Trends and Technology of Asphalt Concrete Pavement using Waste Plastic for Resource Circulation 원문보기

Magazine of RCR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15 no.3, 2020년, pp.18 - 27  

정해국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용재 (강원대학교 건설융합학부) ,  박철우 (강원대학교 건설융합학부)

초록이 없습니다.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폐플라스틱을 도로포장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폐플라스틱의 종류 및 특성에 대해 조사하고, 관련 국내외 연구현황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폐플라스틱을 혼입한 아스팔트콘크리트의 기초물성을 평가하여 도로포장재료로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성 증대를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폐플라스틱을 채움재로 적용한 가열아스팔트콘크리트의 마샬안정도 및 흐름도 특성을 상대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폐플라스틱을 도로포장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폐플라스틱의 종류 및 특성에 대해 조사하고, 관련 국내외 연구현황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폐플라스틱을 혼입한 아스팔트콘크리트의 기초물성을 평가하여 도로포장재료로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플라스틱은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 분야에서 뭄엇으로 활용이 가능한가? 폐플라스틱은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분야에서 인공골재, 채움재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인공골재의 양산기술이 정립될 경우 고품질의 굵은 골재 및 잔골재를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생산함과 동시에 아스팔트포장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대규모의 자원화가 가능하다. 폐플라스틱을 채움재로 사용할 경우 재활용을 위한 처리단계가 비교적 간단하며 아스팔트포장의 물리적 및 내구적 성능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과거에 발생한 폐기물 중 플라스틱은 어디에 수출했는가? 과거 국내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중 플라스틱은 중국 및 개발도상국으로 수출되는 비중이 높았으며 국내의 재활용률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그러나 최근 중국은 2015년 대기오염방지법, 2018년 환경보호세 부과 등의 제도를 통해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기업에 대한 환경감찰 및 불시점검 등 고강도 환경규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중국으로의 폐플라스틱의 수출이 축소되어 최근 국내에는 폐플라스틱에 의한 다양한 환경 및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폐플라스틱은 어떤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을 정립할 수 있는가? 폐플라스틱을 도로포장에 적용할 경우 대규모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사회적⋅ 환경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폐플라스틱의 도로포장용 소재 전환 기술 개발로 도로유지보수 비용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로건설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정립할 수 있다(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한대석 (2008), 재생 플라스틱을 콘크리트 골재로 활용하는 방안 

  2. (사)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2016), 플라스틱의 정의 및 분류 

  3. 박상우, 폐플라스틱 발생 및 재활용 기술 동향 

  4. (사)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제품 원료 현황 

  5. 민달기, 최우진, 김예리, 양우진, 이다은, 장지영, 전소윤 (2011), 폐플라스틱 재활용중간가공물 품질기준 설정 연구 

  6. 김광우, 최영규, 정규동 (1996), CRM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특성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7. 발표회 논문집 

  7. 김부일, 전성일, 이문섭, 조윤호 (2006), PE Wax를 첨가한 아스팔트 바인더의 물리적 특성,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 8, No. 4 

  8. 김태국, 손종식, 홍권표 (2004). PE첨가에 의한 폐수지 아스팔트고화체의 방사성물질 침출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6(1) 

  9. 박태순 (2004). 국내 개질 및 특수아스팔트 혼합물의 특성 및 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24(6D) 

  10. 최용, 최형진, 이승희 (2018). 국내 폐플라스틱의 관리 현황 및 개선사항, 자원리싸이클링, Vol. 27, No. 4 

  11. 백인규 (2013), 나일론섬유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피로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12. 강현승, 홍영근 (2009), 빛에 의한 아스팔트 개질에 관한 연구, Elastomers and Composites, Vol. 44, No. 1 

  13. 류명찬, 차순만, 박석주 (2000), 아스팔트 및 아스팔트 개질재, 도로포장공학회지 Vol. 2, No. 2 

  14. 김광우, 김주인, 이순재, 최선주 (2002),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적정 폐비닐 첨가량 결정에 16.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농공학회지, Vol. 44, No. 5 

  15. 박기수, 유평준 (2018), 유리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Vol. 20 No. 4 

  16. 김영진 (2016), 자갈궤도 보강용 PE골재 혼합 아스콘의 특성 시험, 한국철도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7. Ingyu Baek, Kisun Park, Nakseok Kim (2013), 폐나일론을 이용한 섬유보강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피로특성 및 경제성 분석, 한국재난정보학회, Vol. 9, No. 4 

  18. 강민규, 한경아, 정경호 (2009), 폐불소고무 분말과 SBS로 개질된 아스팔트의 점착 특성에 관한 연구, Elastomers and Composites, Vol. 44, No. 3 

  19. 김광우, 이상범, 이순재, 김성운 (2001), 폐비닐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성 연구, 한국농공학회, Vol. 1, No. 0 

  20. 김병준, 김영진, 박주영, 정진훈 (2013), 폐비닐골재를 사용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물리적 성질,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Vol. 15, No. 2 

  21. 이강훈, 김영진, 김병준, 임진선, 정진훈 (2012), 폐비닐을 함유한 아스팔트 바인더 물성의 실내 시험,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Vol. 14, No. 5 

  22. 박원일 (2006), 폐요구르트병을 이용한 아스팔트 실란트, 석사학위논문. 

  23. 김광우, 이상범, 정승호, 이순제, 이기호 (2002), 폐폴리에틸렌 필름 재활용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특성 분석, 한국도로포장공학회논문집, Vol. 4, No. 1 

  24. 황현욱 (2013), 폐플라스틱 고형연료 및 보조재 혼합 열분해의 열중량 및 동역학 특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25. 김상범, 최명재 (2007),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기술 동향, 공업화학 전망, Vol. 10, No. 3 

  26. 한상묵, 조명석, 송영철 (2003), 폐플라스틱 제품의 골재를 이용한 경량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 15, No. 1 

  27. 김성수 (2010), 폐플라스틱의 효율적인 재생처리를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28. 김혜태, 송병선, 박찬호, 박영훈 (1994), 혼합 폐플라스틱 발생실태 및 재활용기술 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자원재생공사. 

  29. 김영진 (2014), PE골재를 추가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특성 시험, J.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Vol. 31, No. 7 

  30. Liliana M. B. Costa, Joana Peralta, Joel R. M. Oliveira and Hugo M. R. D. Silva (2017). A New Life for Cross-Linked Plastic Waste as Aggregates and Binder Modifier for Asphalt Mixtures, MDPI. 

  31. Wan Mohd Nazmi Wan Abdul Rahman1 and Mohammad Affendy Omardin (2016). Characterisation of Recycl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Partial Fine Aggregate Replacement Properties and Behaviour of Asphalt Mixtures for Road Pavements, ARPN Journal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 11(6) 

  32. Adebayo Olatunbosun Sojobi, Stephen Emeka Nwobodo & Oluwasegun James Aladegboye (2016), Recycl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lastic bottle wastes in bituminous asphaltic concrete, Cogent engineering. Vol. 3. 

  33. Barbara Liguori, Fabio Iucolano, Ilaria Capasso, Marino Lavorgna, Letizia Verdolotti (2014). The effect of recycled plastic aggregate on chemico-phys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composite mortars, ELSEVOER, Materials and Design 57 

  34. A. F. Ahmad, A. R. Razali and I. S. M. Razelan (2006). Utilizat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n asphalt pavement: A review, IOP Conference Seri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