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수원시에서 산출되는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의 광물 및 지화학 특성과 기원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and Origin of Clay-silt Sediments, Suwon, Korea 원문보기

광물과 암석 =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v.33 no.3, 2020년, pp.153 - 163  

정기영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제4기 고환경 변화 특성 규명을 위하여 수원시의 편마암 및 화강암 풍화대를 피복하는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 2개 단면(~3.5 m)에 대하여 광물 및 지화학 분석을 실시하였다. 퇴적층은 광물조성과 화학조성의 수직 변화를 기준으로 4개의 퇴적층(Unit 1-4)으로 구분되었다. 최하부 Unit 1은 K-장석 함량이 높은 사질 퇴적물로서 기반암 풍화물의 기여도가 높다. Unit 2는 전이층이며, Unit 3은 적갈색 점토-실트질 퇴적물로서 총점토 함량이 평균 58%이며, 주요 점토광물은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 광물과 수산기삽입질석/스멕타이트이다. Unit 3에는 사장석이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은 반면에, 그 풍화물인 고령토 광물의 함량이 다른 층들보다 높다. Unit 4는 전반적 광물조성과 화학적 특성이 Unit 3과 유사하나, 사장석과 녹니석의 함량이 더 높고 고령토 광물의 함량은 더 낮다. 단면내 화학성분 변화를 국내 타지역 적갈색 점토-실트층과 비교한 결과, Unit 3과 4는 풍성퇴적물의 범위에 포함되었다. 이 지역 퇴적 단면에서 고환경변화는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기반암인 편마암과 화강암 풍화물이 침식되어 주변부에 사질 퇴적물로 퇴적되어 하부층(Unit 1, 2)을 이루고, 그 위에 빙하기의 점토-실트질 풍성퇴적물층(Unit 3)이 퇴적되었다. Unit 3은 간빙기풍화작용으로 풍화되어 전체적으로 적갈색 토양화되었다. 그 후 다시 빙하기로 접어들면서 최상부에 풍성퇴적물층(Unit 4)이 퇴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neral and geochemical analysis were conducted on two sections (~3.5 m) of red-brown claysilt sediments covering the gneiss and granite weathering zones in Suwon-si for establishing Quaternary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Korea. The sections were divided into four sedimentary layers (Unit 1-4) by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반도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의 기원 해석을 위해서는 더 많은 지역의 단면 분석 자료를 확보하고 상호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원시의 유적 발굴지에 노출된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 단면의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을 보고하고, 퇴적물의 기원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에 위치한 퇴적층 하부의 특징은? 산지는 침식이 심하여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나, 평탄지에는 운반된 퇴적물이 기반암을 피복하고 있다. 퇴적층 하부에는 그 지역 가까운 곳에서 유래한 기반암 풍화물 기원의 사질 또는 역질 퇴적물이 우세하나, 상부는 대체로 적갈색의 균질한 점토-실트 퇴적물로 구성되어 있다(Lee, 1999; Jeong et al., 2013).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의 기원을 명확히 단정하기 어려운 이유는? , 2013). 그러나 그 기원을 명확히 단정하기 쉽지 않은데, 그 이유는 건조한 중국 서부 내륙 황토고원의 뢰스에 비하여 한반도는 다습한 환경으로 풍성물이 퇴적되어도 심한 풍화작용으로 광물조성, 화학조성, 조직이 퇴적 당시와 달라지기 때문이다. 한반도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의 기원 해석을 위해서는 더 많은 지역의 단면 분석 자료를 확보하고 상호 비교할 필요가 있다.
한반도의 산지 특징은? 한반도는 굴곡이 심한 산지 지형이 우세하지만, 산지 사이 곳곳에 평탄한 단구나 풍화 분지가 발달되어 있다. 산지는 침식이 심하여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나, 평탄지에는 운반된 퇴적물이 기반암을 피복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nhisel, R.I. and Bertsch, P.M., 1989, Chlorites and hydroxy-interlayered vermiculite and smectite. In: Dixon, J.B., Weed, S.B. (Eds.), Minerals in soil environment.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729-788. 

  2. Brindley, G.W., 1980, Order-disorder in clay mineral structures. In: Brindley, G.W., Brown, G. (eds.), Crystal structures of clay minerals and their X-ray identification, Monograph 5, Mineralogical Society, London, 125-195. 

  3. Jackson, M.L., 1962, Interlayering of expansible layer silicates in soils by chemical weathering. Clays and Clay Minerals, 11, 29-46. 

  4. Jeong, G.Y., 2020,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Asian dust: dependence on migration path, fractionation, and reactions with polluted air.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20, 7411-7428. 

  5. Jeong, G.Y. and Lee, B.Y., 1998, Weathering of Plagioclase in Palgongsan Granit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4, 44-57. 

  6. Jeong, G.Y., Hillier, S., and Kemp, R.A., 2008, Quantitative bulk and single-particle mineralogy of a thick Chinese loess-paleosol section: implications for loess provenance and weathering. Quaternary Science Reviews, 37, 1271-1287. 

  7. Jeong, G.Y., Hillier, S., and Kemp, R.A., 2011, Changes in mineralogy of loess-paleosol sections across the Chinese Loess Plateau. Quaternary Research, 75, 245-255. 

  8. Jeong, G.Y., Choi, J.H., Lim, H.S., Seong, C.T., and Yi, S.B., 2013, Deposition and weathering of Asian dust in Paleolithic sites, Korea. Quaternary Science Reviews, 78, 283-300. 

  9. KIGAM, 2020, Multiplatform Geoscience Information System, https://mgeo.kigam.re.k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0. Kim, J.Y., Bae, K., Yang, D.Y., Nahm, W.H., Hong, S.S., Ko, S.M., Lee, Y.S., and Kang, M.K., 2002, A preliminary result of soil and sediment analysis in the Pit-E55S20 of Chongok Palaeolithic site, Korea. In: Bae, K. (Ed.), Paleolithic Archaeology in Northeast Asia.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Hanyang University, Ansan, Korea, 117-146. 

  11. Kim, J.Y., Lee, G.G., Yang, D.Y., Hong, S.S., Nahm,W.H., and Lee, J.Y., 2004, Research on the distribution and formation process of Quaternary deposits of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Palaeolithic Society, 10, 1-24. 

  12. Kim, Y., Bae, J.R., Kim, C.-B., and Roh, Y., 2014, Pedolog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s of Hwangto (Yellow Residual Soils), Naju, Jeollanam-do,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7, 87-96. 

  13. Kwak, T.H. and Jeong, G.Y., 2017,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of Clay-silt sediments Exposed in Jangdongri, Naju, Korea.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30, 11-19. 

  14. Lee, D.Y., 1999, Quaternary Research of Korea. Assembled Papers by Late D.Y. Lee. Hyean, Seoul. 

  15. Lee, J.C., 2007, Report on the Excavation of Paleolithic Site in Yeonyang-ri, Yeoju, Korea.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Suwon, Korea. 

  16. Lee, Y.I., and Yi, S., 2002. Characteristics of Pyeongchangri Paleolithic-site paleosols, Yongin-si, Gyeonggi-do, Korea: implications for archaeogeological applica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8, 471-489. 

  17. Moore, D.M. and Reynolds, R.C., 1997, X-ray diffraction and th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clay minerals. 

  18. Shin, J.-B., Naruse, T., and Yu, K.-M., 2005, The application of loess-paleosol deposits on the development age of river terraces at the midstream of Hongcheon River.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1, 323-333. 

  19. Shin, J.-B., Yu, K.-M., Naruse, T., and Hayashida, A., 2004, Study on loess-paleosol stratigraphy of Quaternary unconsolidated sediments at E55S20-IV pit of Chongokni Paleolithic site. J. Geol. Soc. Korea, 41, 369-381. 

  20. Yi, S., 2000, For chronology and stratigraphy of Korean Paleolithic. Journal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42, 1-22. 

  21. Yi, S., Soda, T., and Arai, F., 1998, New discovery of Aira-Tn ash (A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33, 447-454. 

  22. Yoon, S., Park, C.-S., and Hwang, S., 2011, Geochemical properties of loess-paleosol sequence in the Haemi area, Seosan,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7, 343-362. 

  23. Yu, K.-M., Shin, J.-B., and Naruse, T., 2008, Loess-paleosol stratigraphy of Dukso area, Namyangju City, Korea (South). Quaternary International, 176-177, 96-1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