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남 나주시 장동리 지역에 노출된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의 광물 및 지화학적 특성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of Clay-silt sediments Exposed in Jangdongri, Naju, Korea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30 no.1, 2017년, pp.11 - 19  

곽태훈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정기영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남 나주시 장동리 지역의 화강암 풍화대를 피복하는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 단면(~2 m)에 대하여 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퇴적물은 주로 석영(50%)과 점토광물(45%)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량의 K-장석, 침철석, 적철석, 깁사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점토광물은 일라이트(일라이트,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 질석(질석, 수산화-Al 질석), 고령석(캐올리나이트, 할로이사이트) 계열의 점토광물로 구성되어 있다. 광물 및 화학조성의 수직 함량변화는 미미하며, 사장석녹니석이 전반적으로 결핍되어 있으나 최상부에 소량 함유되어 있다. 점토광물의 주성분이 일라이트 계열이므로 퇴적물의 기원물질은 주변 고령토질 화강암 풍화물이 아니라, 먼 기원지에서 유래한 풍성퇴적물로 판단된다. 현생 황사의 광물조성과 비교하면, 퇴적 후의 심한 화학적 풍화작용으로 사장석과 K-장석이 거의 없어지고, 석영과 점토광물로 구성된 광물학적 특성을 갖게 되었다. 풍화과정에서 사장석과 녹니석은 각각 고령토 광물과 질석으로 변질되었으며, 함철 유색광물의 풍화과정에서 침철석과 적철석이 침전되어 퇴적물이 적갈색을 띠게 되었다. 이 지역의 적갈색 점토-실트는 한반도 타지역 풍성퇴적물과 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을 공유하므로 풍성퇴적물로 추정되지만, 이에 대해서는 퇴적물 연대측정이나 동위원소 분석 등의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ddish brown clay-silt sediments covered granitoid weathering crust in the Jangdongri area, Naju, Korea.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of the ~2 m sediment section were investigated. The sediments were composed mainly of quartz (50%) and clay minerals (45%) with minor contents of K-fel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이러한 점토-실트질 퇴적층들의 두께가 매우 두꺼운 서해안 지역을 대상으로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자료를 확보하여 기존 연구에서 보고된 타지역 연구자료와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남해안 나주시 장동리 지역에 노출되어 있는 적갈색 점토-실트질 퇴적물 노두를 대상으로 입도분석,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퇴적물의 기원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이 지역의 점토-실트질 퇴적물에 대하여는 구석기 유적 발굴지를 중심으로 제4기 지질환경연구(Lee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점토-실트질 퇴적물의 원물질을 명확히 알기 어려운 이유는? , 2013), 그 기원을 명확히 정리하기는 쉽지 않다. 그 주요 원인은 뢰스의 주분포지인 중국 서부 내륙에 비하여 우리나라 기후가 다습하고 따뜻하기 때문에, 뢰스가 퇴적되었다 하더라도 격심한 화학적 풍화작용으로 원물질의 광물조성, 화학조성, 조직을 인지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전남 나주시 장동리 지역의 퇴적물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전남 나주시 장동리 지역의 화강암 풍화대를 피복하는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 단면(~2 m)에 대하여 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퇴적물은 주로 석영(50%)과 점토광물(45%)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량의 K-장석, 침철석, 적철석, 깁사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점토광물은 일라이트(일라이트,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 질석(질석, 수산화-Al 질석), 고령석(캐올리나이트, 할로이사이트) 계열의 점토광물로 구성되어 있다.
전남 나주시 장동리 지역의 점토광물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퇴적물은 주로 석영(50%)과 점토광물(45%)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량의 K-장석, 침철석, 적철석, 깁사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점토광물은 일라이트(일라이트,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 질석(질석, 수산화-Al 질석), 고령석(캐올리나이트, 할로이사이트) 계열의 점토광물로 구성되어 있다. 광물 및 화학조성의 수직 함량변화는 미미하며, 사장석과 녹니석이 전반적으로 결핍되어 있으나 최상부에 소량 함유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sahara, Y., Tanaka, T., Kamioka, H., Nishimura, A., and Yamazaki, A. (1999) Provenance of the north Pacific sediments and process of source material transport as derived from Rb-Sr isotopic systematics. Chem. Geol., 158, 271-291. 

  2. Biscaye, P.E., Grousset, F.E., Revel, M., Van der Gaast, S., Zielinski, G.A., Vaars, A., and Kukla, G. (1997) Asian provenance of glacial dust (stage 2) in the Greenland Ice Sheet Project 2 Ice Core, Summit, Greenland. J. Geophys. Res., 102, 26,765-26,781. 

  3. Brindley, G.W. (1980) Order-disorder in clay mineral structures. In: Brindley, G.W., Brown, G. (eds.), Crystal Structures of Clay Minerals and Their X-ray Identification, Monograph 5, Mineralogical Society, London, 125-195. 

  4. Jeong, G.Y. (2000) The dependence of localized crystallization of halloysite and kaolinite on primary minerals in the weathering profile of granite. Clays Clay Miner., 48, 196-203. 

  5. Jeong, G.Y. (2008) Bulk and single-particle mineralogy of Asian dust and a comparison with its source soils. J. Geophys. Res.-Atmos., 113, D02208, doi:10.1029/2007JD008606. 

  6. Jeong, G.Y. and Achterberg, E.P. (2014) Chemistry and mineralogy of clay minerals in Asian and Saharan dusts and the implications for iron supply to the oceans. Atmos. Chem. Phys., 14, 12415-12428. 

  7. Jeong, G.Y. and Lee, B.Y. (1998) Weathering of plagioclase in Palgongsan granite. J. Geol. Soc. Korea, 34, 44-57. 

  8. Jeong, G.Y., Hillier, S., and Kemp, R.A. (2008) Quantitative bulk and single-particle mineralogy of a thick Chinese loess-paleosol section: implications for loess provenance and weathering. Quat. Sci. Rev., 37, 1271-1287. 

  9. Jeong, G.Y., Hillier, S., and Kemp, R.A. (2011) Changes in mineralogy of loess-paleosol sections across the Chinese Loess Plateau. Quat. Res., 75, 245-255. 

  10. Jeong, G.Y., Choi, J.-H., Lim, H.S., Seong, C., and Yi, S.B. (2013) Deposition and weathering of Asian dust in Paleolithic sites, Korea. Quat. Sci. Rev., 78, 283-300. 

  11. Jeong, G.Y., Kim, J.Y., Seo, J., Kim, G.M., Jin, H.C., and Chun, Y. (2014) Long-range transport of giant particles in Asian dust identified by physical, mineralogical, and meteorological analysis. Atmos. Chem. Phys., 14, 505-521. 

  12. KIGAM (2016) Geological Information System. https://mgeo.kigam.re.kr/map/map.jsp?modegeology_250k. 

  13. Kim, J.C., Lee, Y.I., Lim, H.S., and Yi, S. (2011) Geochemistry of Quaternary sediments of the Jeongokri archaeological site, Korea: implications for provenance and palaeoenvironments during the Late Pleistocene. J. Quat. Sci., 27, 260-268. 

  14. Kim, J.Y., Bae, K., Yang, D.Y., Nahm, W.H., Hong, S.S., Ko, S.M., Lee, Y.S., and Kang, M.K. (2002). A preliminary result of soil and sediment analysis in the Pit-E55S20 of Chongok Palaeolithic site, Korea. In: Bae, K. (Ed.), Paleolithic Archaeology in Northeast Asia.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Hanyang University, Ansan, Korea, 117-146. 

  15. Kim, J.Y., Lee, G.G., Yang, D.Y., Hong, S.S., Nahm,W.H., Lee, and J.Y. (2004) Research on the distribution and formation process of Quaternary deposits of South Korea. J. Korean Palaeolithic Soc. 10, 1-24. 

  16. Kim, Y., Bae, J.R., Kim, C.-B., and Roh, Y. (2014) Pedolog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s of Hwangto (Yellow Residual Soils), Naju, Jeollanam-do, Korea. Econ. Environ. Geol., 47, 87-96. 

  17. Kukla, G. and Z. An (1989), Loess stratigraphy in central China. Palaeogeogr. Palaeoclimatol. Palaeoecol., 72, 203-225. 

  18. Lee, D.Y. (1999) Quaternary Research of Korea. Assembled Papers by Late D.Y. Lee. Hyean, Seoul. 

  19. Lee, H.-J., Kim, C.B., Chung, C.-H., Lim, H.S., and Lee, H.Y. (2006) The paleolithic archaeology and Quaternary geology in Youngsan river region. Hakyonmunhwasa, p.320. 

  20. Lim, H.S., Lee, Y.I., Yi, S., Kim, C.-B., Chung, C.-H., Lee, H.-J., and Choi, J.-H. (2007) Vertebrate burrows in late Pleistocene paleosols at Korean Palaeolithic sites and their significance as a stratigraphic marker. Quat. Res., 68, 213-219. 

  21. Liu, T.S., et al. (1988) Loess in China. China Ocean Press, Springer, Berlin, p.224. 

  22. Moore, D.M. and Reynolds Jr., R.C. (1997) X-ray Diffraction and th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Clay Mineral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32pp. 

  23. Park, M.Y. and Jeong, G.Y. (2016) Mineralogical Properties of Asian Dust Sampled at Deokjeok Island, Incheon, Korea in February 22, 2015. J. Miner. Soc. Korea, 29, 79-87. 

  24. Porter, S.C. (2001) Chinese loess record of monsoon climate during the last glacial-interglacial cycle. Earth-Sci. Rev., 54, 115-128. 

  25. Shin, J.-B., Naruse, T., and Yu, K.-M. (2005) The application of loess-paleosol deposits on the development age of river terraces at the midstream of Hongcheon River. J. Geol. Soc. Korea, 41, 323-333. 

  26. Shin, J.-B., Yu, K.-M., Naruse, T., and Hayashida, A. (2004) Study on loess-paleosol stratigraphy of Quaternary unconsolidated sediments at E55S20-IV pit of Chongokni Paleolithic site. J. Geol. Soc. Korea 41, 369-381. 

  27. Yi, S. (2000) For chronology and stratigraphy of Korean Paleolithic. J. Korean Archaeol. Soc. 42, 1-22. 

  28. Yi, S. (2011) On the age and de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Jeongok-ri Palaeolithic site. Gogo Hakji 17, 9-21. 

  29. Yi, S., Soda, T., and Arai, F. (1998) New discovery of Aira-Tn ash (AT) in Korea. J. Korean Geogr. Soc., 33, 447-454. 

  30. Yi, S., Yoo, Y., Yang, S., Kim, D., and Lee, J. (2011) Excavation in the Road Construction Site in Jeongok-ri.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Seoul. 

  31. Yoon, S., Park, C.-S., and Hwang, S. (2011) Geochemical properties of loess-paleosol sequence in the Haemi area, Seosan,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J. Geol. Soc. Korea, 47, 343-362. 

  32. Yoon, S., Park, C.-S., Hwang, S., and Naruse, T. (2007)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loesspaleosol sequence at the Daecheon area, South Korea. J. Geol. Soc. Korea, 43, 281-296. 

  33. Yu, K.-M., Shin, J.-B., and Naruse, T. (2008). Loesspaleosol stratigraphy of Dukso area, Namyangju City, Korea (South). Quat. Int., 176-177, 96-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