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기반 의사결정을 위한 정책 및 사업 속성 분류체계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olicy Attributes Taxonomy for Data-based Decision Making

정보시스템연구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29 no.3, 2020년, pp.1 - 34  

김사랑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Due to the complexity of policy environment in modern society, it is accepted as common basics of policy design to mix up a variety of policy instruments aiming the multiple functions. However,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f written-down policy specification, not only the public officers but...

주제어

표/그림 (2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분적 효율이란? 배분적 효율은 공공 정책 및 사업의 전략적 목표 달성을 통한 효과기반 예산 배분의 능력을 의미하며(Schick, 1999), 예산 제약의 상황에서 파레토 최적의 관점을 지향한다. 이는 정부의 이전 우선순위에서 새 우선순위로, 덜 효과적인 사업에서 더 효과적인 사업으로의 예산이동 능력을 전제하며, 예산이동에 앞서 효율 제고를 위한 사업 조정을 포괄한다.
예산 효율은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예산 효율은 크게 기술적 효율(technical efficiency)과 배분적 효율(allocation efficiency)로 나누어진다(Schick, 1999; Allen and Tommasi, 2001; 이원희, 2017). 기술적 효율은 정책 집행 시의 도덕적 해이나 집행상 미숙으로 인한 낭비를 최소화하나, 배분적 효율은 동일 재원 대비 최대 효과 달성을 위한 투자 조정을 전제한다.
배분적 효율을 추구하기 위한 공공부문의 의사결정에는 어떤 조건들이 필요한가? 첫째, 예산, 사업, 수혜자, 미수혜자에 관한 데이터 통합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사업 효과 분석은 도구변수(Instrumental variable),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 DID) 등 인과적 관계(causal relation)를 전제하는 준실험 계량 분석이다. 따라서 실험군(수혜 집단)과 대조군(미수혜 집단)의 동질성 확보를 위한 개인적, 사회적 특성정보가 필요하다. 여기에 예산 규모, 소관부서, 계정 등의 예산정보와 부문, 프로그램, 정책 및 사업 속성정보, 그리고 실질적인 사업별 수혜 정도(금액, 횟수) 등의 행정정보가 연계되어야 종합적 분석이 가능해 진다. 둘째, 정책 및 사업 속성정보의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정책의 특성에 따라 공통 목표를 지향하는 정책 포트폴리오를 묶어내고, 유사한 수단과 대상을 가진 정책 및 사업을 식별하려면 이들 정책의 정렬(alignment) 기준이 필요하다. 수혜자가 여러 정책을 수혜받으면, 사업별 수단 및 목표의 유사성을 파악해, 분석대상 사업이 아닌 사업의 효과를 분리해 내야한다. 셋째, 복합정책 수혜의 상황을 인과적, 계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의 정책효과 분석방법은 개별 사업의 효과, 두 개 정도 소수의 복수 사업의 중복 효과성 및 단수 사업의 지속 수혜에 따른 효과성 연구 등 실제 정책 상황에 관한 분절적 연구에 그쳤다. 그러나 정책환경의 복합성 및 복잡성을 정책분석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정책 포트폴리오 상황에 맞는 분석모형 구현이 필요하며, 이를 통계적으로 실현할 분석방법론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분석 결과를 예산 의사결정에 반영하도록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현행 프로그램예산제도1)는 그 도입의 취지와는 다르게 성과정보의 의사결정 반영 정도가 크지 않다2). 그 원인으로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러한 성과정보를 의사결정에 반영하기 위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효과성에 기반을 둔 데이터가 생산되어도 의사결정에 활용하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강두호, 이현규, "시도 행정, 새올 행정시스템서비스 품질이 지방자치단체사용자 만족도 및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20권 제2호, 2011, pp. 135-154. 

  2. 강성경, 이영재, "교육시설 재난안전관리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및 활용방안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27권 제2호, 2018, pp. 175-196. 

  3. 강혜규, 강신욱, 박세경, 정경희, 권소일, 김용득, 유태균, 주무현, 최영준, 함영진, 사회보장사업 실태조사 및 유사.중복 사업의 조정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건복지부, 2015. 

  4. 강희우, 박한준, 권남호, 오영민, 재정성과평가제도 환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8. 

  5. 관계부처합동, 범부처 사회서비스 발전 방향(사회보장위원회), 2018. 

  6. 김대진, "효율적 예산배분 방안으로서 지출심사제도," 예산정책연구, 제5권 제1호, 2016, pp. 81-124. 

  7. 김두례, 권순애, 김요석, 채종현, 채인숙, 홍재봉, 부산광역시 사회복지 서비스 분류체계 및 성과지표 개발연구, 부산복지개발원, 2008. 

  8. 김미현, 이순성, 이진숙, 전하연, 권소일, 박창제, 전만준, 사회복지서비스 원가측정 방안 연구, 서울시복지재단, 2009. 

  9. 김상헌, 재정성과관리제도 정착을 위한 재정제도와의 조화방안, 기획재정부 연구용역보고서, 2013. 

  10. 김성주, 윤태섭,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예산 분류체계의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7. 

  11. 김순양, "공공서비스 공급과 바우처 (voucher)사업: 사회서비스 바우처의 성공요건 분석," 행정논총, 제57권 제4호, 2019, pp. 31-69. 

  12. 김윤형, 녹색성장을 위한 농업부문 정책조합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13. 김정해, 조세현, 오윤경, "국민 중심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효과적 정책수단 활용에 관한 연구: 환경.복지.안전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018. 

  14. 남궁근, "정책학: 이론과 경험적 연구", 법문사, 2019. 

  15. 박노욱, 강희우, 김우현, 김사랑, 원혜진, 이화연, 장민혜, 허영미, 저출산 대책 평가기준 마련 및 제도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조세재정연구원.보건복지부, 2017. 

  16. 박노욱, 강희우, 표한형, 이상헌, 중소기업 재정지원사업 효과성 평가 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6. 

  17. 박노욱, 원종학, 오영민, 재정성과관리제도 운영의 성과분석과 정책과제,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5. 

  18. 박노욱, 원종학, 지방재정성과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09. 

  19. 박병식, "다목적 사업 평가설계의 논리와 구성,"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9권 제3호, 2009, pp. 15-37. 

  20. 박정수, dBrain 재정사업정보 관리방안, 한국재정정보원, 2019. 

  21. 안수란, 강혜규, 전진아, 유재언, 하태정 김혜승, 조현성, 남재욱 송아영, 송나경, 범부처 사회서비스 보장 체계 구축 방안 연구-보장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22. 오세영, 윤건, 오균, 증거기반정책을 위한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에 대한 현황 조사, 한국행정연구원, 2017. 

  23. 유승원, "프로그램 예산제도의 문제점과 개편방안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6권 제3호, 2015, pp. 83-114. 

  24. 유종성, 전병유, 신광영, 이도훈, 최성수, "증거기반 정책연구를 위한 행정자료의 활용," 한국사회정책, 제27권 제1호, 2020, pp. 5-37. 

  25. 윤영근, "증거기반(Evidence-Based) 정책과 정책품질관리제도,"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2. 

  26. 이데일리, ""기재차관" 내년 예산안 편성, 각 부처별 재량지출 10% 절감 추진", 이진철 기고, 2020.07.08. 

  27. 이선우, 김두례, "사회복지서비스 유형 분류에 대한 연구," 사회서비스연구, 제2권 제2호, 2011, pp. 5-30. 

  28. 이영덕, "데이터아키텍처 전문가 가이드", 한국데이터진흥원, 2018. 

  29. 이원희, "미래 행정 환경 변화와 재정 개혁의 방향," 한국행정연구, 제26권 제4호, 2017, pp. 33-58. 

  30. 이정기,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분류체계의 개발 연구," 국가정책연구, 제31권 제2호, 2017, pp. 129-161. 

  31. 이홍재, 성과관리와 예결산심의의 연계성 제고방안 연구: 국회 예결산 심의 과정을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처, 2011. 

  32. 전영한, "정책도구의 다양성: 도구유형분류의 쟁점과 평가," 정부학연구, 제13권 제4호, 2007, pp. 259-295. 

  33. 정광호, "바우처 분석 :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45권 제1호, 2002, pp. 61-109. 

  34. 정수경, "지역사회복지관 가족복지서비스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24권, 2008, pp. 283-314. 

  35. 최재성, 정세정, 조자영,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최근 10 년간 연구경향 특성: 네트워크분석과 내용분석의 활용," 한국사회복지학, 제68권 제1호, 2016, pp. 73-94. 

  36. 최하예, 황성수, "우리나라 청년정책의 정책수단 유형분석 연구: 지방정부의 정책과제 단위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22권 제3호, 2018, pp. 75-99. 

  37. 최환용, "데이터기반 행정의 법제화," 데이터기반행정의 현안과 발전방향, 한국정책학회.행정안전부 공동기획세미나자료집, 2018. 

  38. 한국조세재정연구원, "DATA Act 실행 현황과 당면과제 : GAO," 국외동향 : 미국, KIPF 재정성과평가 동향과 이슈, 2017년 상반기, 2017, pp. 30-37. 

  39. 한국조세재정연구원, "DATA법 이행에 따른 주요 과제와 해결 방안: GAO, 2015년 7월," KIPF 재정성과평가 동향과 이슈, 2016년 상반기, 2016a, pp. 80-86. 

  40. 한국조세재정연구원, "Performance Budgeting and Tagging," 2016년 제5차 재정성과 관리 국제포럼, KIPF 재정성과평가 동향과 이슈, 2016년 하반기, 2016b, pp. 134-135. 

  41. Allen R. and Tommasi, D., Managing Public Expenditure: A reference Book for Transition Countries, Organization for Economic, OECD, 2001. 

  42. Bailey, K. D., Typologies and Taxonomies : An Introduction to Classification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Thousand Oaks, California, 1994. 

  43. Birkland, T. A,. An Introduction to the Policy Process: Theories, Concepts, and Models of Public Policy Making, Routledge, New York, 2015. 

  44. Bouma, J. A., Verbraak, M., Dietz, F., and Brouwer, R., (2019). "Policy mix: mess or merit?,"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Policy, Vol. 8, No. 1, 2019, pp. 32-47. 

  45. Commission on Evidence-Based Policymaking, THE PROMISE OF EVIDENCE-BASED POLICYMAKING : Report of the Commission on Evidence-Based Policymaking, 2017. 

  46. Davies, P., "Is evidence based government possible?,"the 4th annual Campbell Collaboration Colloquium, Washington DC, 2004. 

  47. Elliott, O. V., and Salamon, L. M., The tools of government: A guide to the new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2. 

  48. GAO, DATA ACT : Data Standards Established, but More Complete and Timely Guidance Is Needed to Ensure Effective Implementation, GAO-16-261, 2016. 

  49. Head, B., "Evidence-based policy: principles and requirements," Strengthening evidence-based policy in the Australian Federation, Vol. 1, 2010, pp. 13-26. 

  50. Hunt, S. D., Modern Marketing Theory: Critical Issues in the Philosophy of Marketing Science, South Western Publishing Co., Cincinnati, 1991. 

  51. Jahiel, R., and Babor. T. F., "Toward a Typology of Homeless Families: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Homeless Families with Children: Final Report, Office of the Assistant Secretary for Planning and Evaluation, Office of Human Services Policy,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7. 

  52. Kettner, P. M., Moroney, R. M., and Martin, L. L., Designing and managing programs: An effectiveness-based approach, Fifth edition, Sage Publications, Los Angeles, 2017. 

  53. Krippendorff, K.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 London, 1980. 

  54. Marradi, A., "On Classification." in Contemporary Political Systems: Classifications and Typologies, Bebler, A., and Seroka, J. (eds.), Lynne Rienner, 1990, pp. 11-43. 

  55. Nickerson, R. C., Varshney U., and Muntermann, J., "A Method for Taxonomy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in Information Systems,"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 22, No. 3, 2013, pp. 336-59. 

  56. OMB, Preparation submission and execution of the budget Circular No. A-11, 2020. 

  57. Ranney, A., Political science and public policy, Markham Publishing Company Chicago 1968. 

  58. Rich, P., "The organizational taxonomy: Definition and desig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7, No. 4, 1992, pp. 758-781. 

  59. Sackett, D. L., Rosenberg, W. M., Gray, J. M., Haynes, R. B., and Richardson, W. S., "Evidence based medicine: what it is and what it isn't," BMJ, Vol. 312, No. 7023, 1996, pp. 71-72. 

  60. Schick, A., A Contemporary Approach to Public Expenditure Management, The World Bank Institute, 1999. 

  61. Smith, K. B., "Typologies, taxonomies, and the benefits of policy classification," Policy Studies Journal, Vol. 30, No. 3, 2002, pp. 379-395. 

  62. Stemler, S., "An overview of content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Vol. 7, No. 17, 2001, pp. 1-6. 

  63.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9. 

  64. 캐나다 재무부, https://www.tbs-sct.gc.ca/pol/doc-eng.aspx?id31306, 캐나다 재무부 정책결과물 표기 방식에 대한 지시, (접속일. 2020.2.1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