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소러스를 연계한 문학류 패싯 분류체계 개발
Developing a Faceted Classification Scheme Integrated with a Thesaurus for Literature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1 no.3, 2010년, pp.77 - 89  

박지영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시소러스 연계 패싯 분류체계(FCT)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한국십진분류법을 패싯분류표로 재구조화시키고,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디스크립터와 연계하였다. FCT를 기존의 KDC와 비교하면 1) 복합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2) 인용순서를 변경할 수 있으며, 3) 새로운 분류항목을 추가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류표의 표목을 시소러스의 디스크립터와 연계하여 분류표와 시소러스 간에 패싯을 공유하고, 분류표목의 개념수준 확장에 활용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aceted classification scheme linked with a thesaurus(FCT) to more effectively organize documents according to subject, by transforming the current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system(KDC) into a faceted classification scheme and linking it with Korea’s N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KDC의 주제표현력을 높이고, 구조화 방식을 다양화하며, 상세분류가 가능하도록 분류기호와 표목을 개선하여 효과적인 지식의 구조화 도구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개선 대상으로는 문학류를 선정하였으며, 분류기호와 표목을 구조화하기 위한 방법론은 패싯분석을 도입하였고, 표목의 제어와 확장을 위해서는 시소러스를 연계하였는데, 이를 ‘시소러스 연계 패싯분류표’(FCT)라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 분류표인 한국 십진분류법(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을 개선하여 디지털 정보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정보자료의 주제를 구조화할 수 있는 분류체계를 개발하고자 한다. 즉, 새로운 분류표는 주제표현력이 높아 복합주제의 표현에 적합하며, 분류표목의 결합규칙이 명확하고, 새로운 분류항목을 추가하거나 기존 구조를 변경하기도 용이해야 한다.

가설 설정

  • 약어를 사용함으로써 패싯기호의 표현력이 우수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SH의 특징은? BSH의 특징은 분류기호를 이용하여 주제명표목을 자모순과 분류기호순 두 가지로 제시한다는 점이다. 각 표목에 분류기호를 함께 제시하면, 문헌에 주제명을 부여할 때 NDC도 같이 참고하여 관련 표목을 보다 체계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NDC와 연계된 BSH의 장점으로는, 1)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동일 분야에 속한 주제명을 모아서 볼 수 있다는 점과, 2) 분류와 주제색인 작업은 공통부분이 많으므로, 이 두 작업을 연계하면 정리 업무에 효과적이라는 점을들 수 있다(日本圖書館協會 件名標目委員會 1999a, 12,25).
한국 십진분류법이란?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 분류표인 한국 십진분류법(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을 개선하여 디지털 정보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정보자료의 주제를 구조화할 수 있는 분류체계를 개발하고자 한다. 즉, 새로운 분류표는 주제표현력이 높아 복합주제의 표현에 적합하며, 분류표목의 결합규칙이 명확하고, 새로운 분류항목을 추가하거나 기존 구조를 변경하기도 용이해야 한다.
패싯분석은 어떠한 기법인가? 패싯분석은 콜론분류법(Colon Classification, CC)의 구축에 사용된 방법론으로서 다차원적인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법이다(Sachdeva 1980; Satija 1989; and Ranganathan 1960). 또한 패싯분석은 분류표의 구축 외에 시소러스의 구축에도 활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국립국어원 편. [표준국어대사전]. [cited 2009.11.2]. . 

  2. 국립중앙도서관 편. 2002.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 개발 최종보고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김태수. 2000. 분류의 이해. 서울: 문헌정보처리연구회. 

  4. 위키백과. [cited 2009.11.9]. . 

  5. 日本圖書館協會 分類委員會. 1995. 日本十進分類法.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6. 日本圖書館協會 件名標目委員會. 1999a. 基本件名標目表. 第4版.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7. 日本圖書館協會 件名標目委員會. 1999b. 基本件名標目表: 分類記號順標目表 階層構造標目表.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8. 정영미. 1997. 지식구조론.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9. 한국도서관협회 목록위원회 편. 2003. 한국목록규칙. 제4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0.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 편. 2009. 한국십진분류법. 제5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1. Broughton, Vanda. 2006. "The need for a faceted classification as the basis of all methods of information retrieval." Aslib Proceedings, 58(1/2): 49-72. 

  12. Dean, R. J. 2004. "FAST: Development of Simplified Headings for Metadata."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9(1/2): 331-351. 

  13. Dewey, Melvil. 2003.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Dublin, Ohio: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14. FAT-HUM Classification. Generally Applicable Concepts Common Auxiliaries Of Persons Outline. [cited 2009.10.24]. . 

  15. Liang, G. 2006.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Classification and Subject Heading in China: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Chinese Thesaurus." Journal of Japan Socie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2): 73-84. 

  16. Liang, G. 2008. "A history and backgrounds of the integration of classification and subject headings in China." Library, information and media studies, 5(2): 1-8. 

  17. Library of Congress.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cited 2009.11.2]. 

  18. Markey, K. 2006. "Forty Years of Classification Online: Final Chapter or Future Unlimited?"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2(3): 1-63. 

  19. OCLC. WebDewey. [cited 2009.10.24]. . 

  20. Ranganathan, S. R. 1960. Colon classification. New York: Asia Pub. House. 

  21. Ranganathan, S. R. 1967. Prolegomena to Library Classification. New York: Asia Publishing House. 

  22. Sachdeva, M. S. 1980. Colon classification:(Theory and practice) 2nd edition. New Delhi: Sterling Publishers. 

  23. Sager, J. C. 1990. A Practical Course in Terminology Processing. Amsterdam/Phila-delphia: John Benjamins. 

  24. Satija, M. P. 1989. Colon classification, 7th edition: a practical introduction. New Delhi: Ess Ess Publication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