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 프린터 빌드시트용 무용제 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제조
Solvent-free UV-curable Acrylic Adhesives for 3D printer build sheet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21 no.3, 2020년, pp.93 - 100  

이배화 (숭실대학교 안전보건융합공학과) ,  박동협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고분자소재센터) ,  김병직 (숭실대학교 안전보건융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적층제조법 기반의 3D 프린팅 기술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출력하여 제공하지만 고온의 사용 환경 및 용융된 필라멘트 수지의 냉각 과정에서 변동적 수축현상이 발생하여 상품의 출력편차를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출력물의 들뜸과 뒤틀림을 방지하고 정밀한 형상의 고품질 출력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3D 프린터 빌드시트용 아크릴 점착제를 연구하였다. 고온에서 점착특성이 유지되고 점착제로부터 출력물의 안착과 원활한 탈거를 위해 부착성과 강인성이 우수하고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4-acryloylmorpholine (ACMO)를 첨가하여 무용제 타입의 점착제 조성물을 설계하였다. 단량체의 후첨가방식을 사용하여 두 단계를 통해 아크릴 조성물을 합성하였고, 합성된 조성물로 코팅한 점착제 필름을 다각도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점착제는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보이고 열처리 전/후에 따른 박리강도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유변학적 물성 분석을 통해 점착제의 우수한 접착력 뿐만 아니라 변형 없이 탈착이 가능한 물성을 갖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점착제를 3D 프린터의 빌드시트로 활용하였을 때 안착성 및 작업성이 양호하고 출력편차가 적은 출력물을 얻었다. 기존 판매중인 빌드시트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제조한 점착제 위에서는 출력물이 원활하게 탈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FDM 방식 3D프린터의 사용자들에게 작업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3D printing technology enables proper objects to be made through an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but resulting in dimension deviation of the product due to contraction phenomenon as cooling melted filament resin injected from high-temperature use environment. In this research, we studied on acryli...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EHA, AA, ACMO 단량체를 기반으로 하여 설계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조성물로 점착제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아크릴 점착제의 다양한 물성분석 및 3D 프린팅의 빌드 시트로의 응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FDM 방식의 3D 프린터에 적용하여 출력물의 들뜸과 뒤틀림을 방지하고 정밀한 형상의 고품질 출력물을 제작하기 위한 빌드시트용 아크릴 점착제를 개발하였다. FDM 방식의 용융 고분자 필라멘트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무용제(VOC Free) 타입의 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층제조법 기반의 3D 프린팅 기술은 어떤 생산방식에 적합한가? 3D 프린팅은 디지털 설계도나 모델에 고분자 수지를 적층하여 입체적인 구조물을 제작하는 기술로서 의료기기, 자동차 부품, 건축 조형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1-3]. 적층제조법 기반의3D 프린팅 기술은 맞춤형 다품종 소량 생산방식에 적합하며, 이와 동시에 개별 소비자는 해당 기술을 활용하여 적합한 상품 제작이 가능하다. 2013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에서 세계 10대 미래유망기술로 발표되는 등 3D 프린팅 산업은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4].
bed plate이 FDM방식의 3D 프린터 사용에 핵심 부품인 이유는? 현재 용융된 필라멘트 수지를 미세한 두께로 압출 조형하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이 상용화되고 있으나, 고온 사용환경 및 냉각 과정에서 고분자 수지의 변동적 수축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정밀한 형상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력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5]. 현재 FDM 방식의 3D 프린터 장치의 경우 통상적으로 출력하고자 하는 고분자 재료에 따라 bed plate의 온도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있기에, bed plate는 FDM방식의 3D 프린터를 사용하는데 있어 출력물의 안착성 및 품질에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부품이다 [6].
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 제조에서 점탄성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첨가한 것은? FDM 방식의 용융 고분자 필라멘트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무용제(VOC Free) 타입의 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광택성, 부착성, 강인성이 우수한 4-acryloylmorpholine (ACMO)를 첨가하여 점착제의 점탄성 특성을 조절하였고 [8-10], 설계된 조성물은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그리고 광경화 시스템 복합 회전형 rheometer를 이용하여 다각도에서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X. Wang, M. Jiang, Z. Zhou, J. Gou, and D. Hui, Compos. B. Eng., 110, 442 (2017). 

  2. S. C. Ligon, R. Liska, J. Stampfl, M. Gurr, and R. Mulhaupt, Chem. Rev., 117, 10212 (2017). 

  3. J. W. Stansbury, and M. J. Idacavage, Dent. Mater., 32, 54 (2016). 

  4. Z. Weng, J. Wang, T. Senthil, and L. Wu, Mater. Des., 102, 276 (2016). 

  5. https://www.weforum.org/reports/global-agendacouncil-emerging-technologies-2012-2014 

  6. Y. -H. Choi, C. -M. Kim, H. -S. Jeong, and J. -H. Youn, World J. Eng. Technol., 04, 186 (2016). 

  7. https://www.digikey.com/en/product-highlight/3/3m/3d-printer-build-sheet 

  8. G. Ma, T. Guan, J. Wu, C. Hou, G. Wang, G. Qin, and B. Wang, J. Appl. Polym., 132, 41463 (2015). 

  9. S. -J. Jang, S. -S. Baek, J. -Y. Kim, and S. -H. Hwang, J. Adhes. Sci. Technol., 28, 1990 (2014). 

  10. S. -S. Beak, S. -J. Jang, S. W. Lee, and S, -H, Hwang, Polym. Korea, 38, 682 (2014). 

  11. J. Chen, B. Chang, F. Liu, H. Wei, W. Wei, H. Lin, and S. Han, J. Mater. Sci., 54, 11959 (2019). 

  12. J. Liu, X. Shen, Y. Zhao, and L. Chen, Ind. Eng. Chem. Res., 52, 18392 (2013). 

  13. D. -B. Kim, Polym. Korea, 39, 514 (2015). 

  14. J. -W. Won, J. -Y. Kim, K. -D. Jang, M. -C. Park, J. H. Chun, O. H. Kwon, and J. -S. Hwang, J. Adhes., 20, 15 (2019). 

  15. S. -W. Lee, J. -W. Park, Y. -E. Kwon, S. Kim, H. -J. Kim, E. -A. Kim, H. -S. Woo, J. Swiderska, Int. J. Adhes. Adhes., 38, 5 (2012). 

  16. Y. -J. Park, D. -H. Kim, H. -J. Kim, H. -S. Joo, and H. -S. Do, J. Adhes. Sci. Technol., 22, 1401 (2008). 

  17. I. B. Kim, and M. C. Lee, Korean Chem. Eng. Res., 46, 76 (2008). 

  18. J. -H. Lee, T. -H, Lee, K. -S. Shim, J. -W. Park, H. -J. Kim, Y. Kim, and S. Jung, Int. J. Adhes. Adhes., 74, 137 (2017). 

  19. C. Decker, and K. Zahouily, J. Polym. Sci. A Polym. Chem., 36, 2571 (1998). 

  20. Z. Jing, A. Xu, Y. -Q. Liang, Z. Zhang, C. Yu, P. Hong, and Y. Li, Polymers, 11, 952 (2019). 

  21. L. Qie, and M. A. Dube, Int. J. Adhes. Adhes., 30, 654 (2010). 

  22. E. P. Chang, J. Adhes., 34, 189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