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모바일 쇼핑 환경에서 패션 쇼핑 성향과 패션 앱 속성 중요도가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fashion shopping orientations and importance of fashion application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the mobile shopping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22 no.3, 2020년, pp.139 - 153  

김나미 (동덕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the proliferation of smart-phones and other mobile devices is bringing many changes to people's daily lives. Recently, the mobile shopping market has grown rapidly and has become a center of distribution. Furthermore, the consumer mobile fashion market is expected to expand and mobile fash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모바일 쇼핑에서 패션 쇼핑 성향과 패션 앱 속성 중요도가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제반 여건상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후속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연구모형을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에 제시하였다.
  • 최근 모바일 패션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글로벌 패션업체와 국내 대기업 등의 모바일 사업 참여로 모바일 패션 기업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며, 모바일 패션업체에서는 시장의 수요와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모바일 패션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실현하기 위한 차별적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 환경에서 모바일 패션 쇼핑 성향과 패션 앱 속성 중요도를 파악하고, 이들이 모바일 패션 쇼핑 고객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모바일 쇼핑이 일상화 된 현 시점에 이러한 연구는 모바일 패션 쇼핑 성향과 모바일 패션 쇼핑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을 이해, 모바일 패션 마케터들이 소비자들에게 효율적으로 접근하는데 도움을 주고, 모바일 패션 쇼핑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제고할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아이디어를 제공하여 국내 모바일 패션 쇼핑의 안정적인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선행연구를 종합해 보면, 모바일 쇼핑은 무선 통신 및 인터넷 장치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한 형태이며 연구자에 따라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사용하는 장치의 종류와 전자상거래의 대상이 되는 제품이 다양하게 포함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의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사용하는 장치의 종류를 스마트폰으로, 전자상거래의 대상이 되는 제품을 패션 제품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즉, 모바일 패션 쇼핑이란 항상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이용, 언제 어디서나 패션 제품의 정보 또는 서비스를 얻거나 구매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 본 연구의 요인별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 분석결과는 에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3. 모바일 패션 쇼핑 고객만족도는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2-1. 상품정보는 고객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2-3.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쇼핑이란? 모바일 쇼핑(Mobile Shopping)이란 모바일 기기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물건을 구입하는 것을 말한다(국립국어원, 2016). 손호응과 이강원(2016)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이용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상품을 검색하거나 구매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최준규(2004)는 이동전화 등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나 쇼핑이라고 하였다.
모바일 쇼핑시장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3조 원에서 2018년 113.7조 원으로 최근 5년간 2배 이상 증가하였고, 특히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2014년 14.9조 원에서 2018년 69.1조 원으로 4배 이상 증가하였다(문화체육관광부, 2019). 모바일 인터넷 시장이 확대되고, 스마트폰 관련 서비스와 기술이 지속적으로 등장하며 모바일 비즈니스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최헌, 2009).
쇼핑 성향이란? 쇼핑 성향(shopping orientation)이란 쇼핑과 관련된 흥미, 의견, 행동을 포함하는 쇼핑 특징적 라이프 스타일이고, 개인의 가치관과 사회, 경제, 여가 선용과 관련된 복합적인 현상을 반영한다(Howell, 1979). 이하영(2019)은 쇼핑 성향이 패션 제품 구매 과정에서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을 나타내는 쇼핑 스타일이라고 하였으며, 윤성희(2003)은 쇼핑과 관련하여 소비자가 추구하는 생활 방식으로 제품 구매 시 나타나는 제품 탐색 방법과 수단, 점포선택 등의 보편적인 구매행동 방식이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고은주, 김경희, 김선숙. (2009). 새로운 유통으로의 모바일 패션 쇼핑몰 도입에 관한 연구: 브랜드 특성(복종, 가격, 타겟, 매출액)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3(7), 1164-1179. 

  2. 국립국어원. (2016. 10). 모바일 쇼핑, 우리말샘. 네이버 국어사전. 자료검색일 2019.09.10, 자료출처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word_no534475&sense_no617820 

  3. 김규동, 유영목, 김정래. (2013). 모바일 커머스 특성 인식이 모바일 쇼핑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3(6), 297-303. 

  4. 김나미. (2020). 모바일 쇼핑 환경에서 패션 쇼핑 성향과 패션 앱 속성 중요도가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민정. (2009). 모바일 패션 쇼핑에 대한 태도 및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7(4), 709-722. 

  6. 김성희. (2009). 대행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쇼핑성향, 가격지각 및 구매 만족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세희, 이은영. (2004). 의복 쇼핑 성향의 개념 규명을 위한 문헌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3/4), 472-482. 

  8. 김시복. (2003). m-커머스 비즈니스 모델 및 전략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영채. (2011). 모바일 특성과 IT 특성, 그리고 관여도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패션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12(2), 49-77. 

  10. 김지혜. (2010). 패션관여와 인터넷 쇼핑 친숙도가 모바일 패션 쇼핑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문병훈. (2016, 2. 4). 모바일 쇼핑 사상 첫 20조원 돌파...모바일 구매 1위는 '패션'. FASHION SEOUL. 자료검색일 2019. 08. 07, 자료출처 https://www.fashionseoul.com/100805 

  12. 문태희, 김홍식, 전혜진, 송소영. (2006). 마케팅활동을 고려한 고객만족도 평가모형의 개선: 국내 모바일 산업을 중심으로. Telecommunication Review, 16(6), 1036-1057. 

  13.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2019. 10. 11). 상생과 공존 문화 확산, 우리 '가치삽시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자료검색일 2019. 08,30, 자료출처 http://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65476 

  14. 박지수, 추호정. (2013). 카노 모델을 이용한 패션브랜드 애플리케이션 분석.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27-135. 

  15. 방송통신위원회. (2017. 10. 21). 2012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가구변수 통합. 통계원시자료. 자료검색일 2019.08.23, 자료출처http://www.mediastat.or.kr/resource/static/portal/board_detail.html?boardIdNBRD-1002021&boardType000300&menuTypeD1 

  16. 사봉휘. (2014). 인터넷쇼핑몰에서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중국 대학생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서은희. (1997).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 의복관여, 지속적 정보탐색 및 의복 구매행동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성희원. (2013). 패션 앱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 태도 및 사용의도 영향요인 연구: 성별과 연령집단별 차이비교. 한국의류직물학회, 37(7), 1000-1014. 

  19. 손호웅, 이강원. (2016).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구미서관. 

  20. 손효항. (2016). 중국 인터넷 패션쇼핑몰 이용자의 쇼핑성향에 따른 인터넷쇼핑몰 특성과 고객충성도에 대한 연구: 중국 여자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안미선. (2013). 시니어 모델 교육프로그램 경험자와 비 경험자의 특성비교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윤성희. (2003). 인터넷 쇼핑몰 주,야간 이용자집단의 특성연구: 패션 라이프스타일, 쇼핑성향, 시간 제약 지각 및 쇼핑비용지각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믄. 

  23. 이건. (2016). 중국인터넷쇼핑몰에서 화장품소비자의 점포속성중요도가 쾌락적쇼핑성향 및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쇼핑가치 조절효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이미진, 이규혜. (2013). 모바일 쇼핑동기와 패션 애플리케이션 수용. 디지털정책연구, 11(1), 153-163. 

  25. 이미진. (2012). 모바일 쇼핑 동기와 패션 애플리케이션 속성 중요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승희, 장윤경. (2006). 모바일 패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유형과 품목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9/10), 1455-1463. 

  27. 이은경. (2007). 모바일 패션 쇼핑의 특성과 지각된 위험이 지각된 가치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개인 혁신성과 모바일인터넷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하영. (2019). 모바일 패션쇼핑 성향과 지각된 위험이 구매 결정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현수, 채영일. (2013). 모바일 쇼핑에서 고객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12(2), 215-119. 

  30. 임경복. (2001).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의복관여도와 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1321-1331. 

  31. 임온유. (2017. 2. 5). 스마트폰 보급률 미국 80%, 한국 90%, '성장둔화세'. 아시아경제. 자료검색일 2019.07.18, 자료출처 https://www.asiae.co.kr/article/2017020421180207722 

  32. 정유림. (2010). 20-30대 여성의 핸드백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정지혜. (2015). 유통판매장 종사직원의 고객만족 교육훈련이 고객만족도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 컨설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조관행, 임채운. (1999). 고객만족 및 전환장벽이 점포애호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14(1), 47-74. 

  35. 조휘형. (2012). 스마트폰의 지각된 품질요인이 만족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정된 DeLone & McLean 의 정보시스템 성공모델 관점으로.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1(2), 167-180. 

  36. 주경원, 이은정. (2015). 쇼핑성향, 패션 혁신성, 모바일 편의지각이 모바일 의복 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5(2), 147-164. 

  37. 주경원. (2015). 쇼핑성향, 패션 혁신성, 모바일 편의지각이 의복구매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주예. (2013). 한.중 인터넷 쇼핑몰 이용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따른 패션제품구매 행동: 서울.상해 20-30대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진병호, 고애란. (1995). 상설할인 매장 애고 소비자의 구매성향, 상점속성 중요도 및 정보원 이용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9(1), 104-114. 

  40. 최준규. (2004). 모바일 쇼핑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호섭. (2019). MWC 2019, 상용화 준비 끝난 5세대 이동통신 생태계와 서비스.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 Report, 3, 8-11. 

  42. 최헌. (2009). 모바일 쇼핑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17. 11). 한국 패션시장의 17년 실적 및 18년 전망. 자료검색일 2019.04.09.,자료출처http://www.kofoti.or.kr 

  44. Anderson, R. E., & Srinivasan, S. S. (2003). E-satisfaction and e-loyalty: a contingency framework. Psychology & Marketing, 20(2), 123 138. 

  45.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5). Consumer behavior, 8th. New York: Dryer. 

  46. Fornell, C. (1992). A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Barometer: Swedish Experience. Journal of Marketing, 56(1), 6-21. 

  47. Hesktt, J. I., Sasser, J. W. E., & Schlesinger, L. A. (1997). The Service: Profit Chain. Free Press. New York, NY. 

  48. Howard, J. A., & Sheth. J. N. (1969). The Theory of Buyer Behavior. New York : John Wiley. 

  49. Howell, R. D. (1979). A multivariate examination of a patronage model: The impact of values and life styles on shopping orient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Fayetteville. 

  50. Jones, T. O., & Sasser, W. E. (1995). Why satisfied customers defect. Harvard Business Review, 3(6), 88-99. 

  51. Oliver, R. L. (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 17(4), 460-469. 

  52. Oliver, R. L. (1996).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consumer. McGraw-Hill. 

  53. Oliver, R. L. (1999). Whence consu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63(4), 33-44. 

  54. Reichheld, F. F. (1993). Loyalty-based Management. Havard Business Review, 71(2), 64-71. 

  55. Reichheld, F. F. (1993). The Loyalty Effect. Ha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MA. 

  56. Selnes, F. (1993). An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product performance on brand reputation, satisfaction and loyalt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7(9), 19-35. 

  57. Zeithaml, V. A., Bitner, M. J., & Gremler, D. D. (2009). Service Marketing. NewYork: McGraw-Hil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