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계통 위축증의 치료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 CNKI검색을 중심으로
A Review of Clinical Studies for Treatment of Multiple System Atrophy Using the CNKI Database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41 no.4, 2020년, pp.612 - 623  

김민지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원서영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김해융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유주영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정은선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유호룡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설인찬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김윤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and review the trends in recent clinical studies of multiple system atrophy (MSA) in China. Methods: We searched for clinical studies discussing Oriental medicine-based treatments for MSA in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해 중국의 최신 임상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지속적으로 한방치료의 유효성이 보고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방치료가 기존 보존적 치료를 보완할 유효한 치료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향후 국내 다계통 위축증의 치료방향을 제시하는 선행적 연구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더욱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도 보다 대규모의 임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에 포함된 모든 연구에서 한방치료의 유효성을 보고하였다. 한방복합치료와 양방치료를 비교한 대조군이 있는 연구 2편에서 총유효율은 치료군 각100%, 91.
  • 중국의 경우에도 단일 증례보고, 개인 임상경험의 형태가 많지만 다양한 임상연구 및 문헌고찰 등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국내 다계통 위축증의 임상연구 및 치료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CNKI검색을 통해 다계통 위축증의 최신 중국 임상연구 동향 분석하였다.
  • 유사한 의학적 전통을 지닌 중국에서는 다계통 위축증이 “痿證”, “骨摇”, “瘖啡” 등 범주에 속하며, 先天稟賦不足 또는 年老久病으로 臟腑虧虛, 髓海失養하고 痰瘀阻絡하여 발생한다고 보고8 보다 많은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CNKI(Chinese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Database) 검색을 통해 중국에서 진행된 다계통 위축증의 최신 임상연구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다계통 위축증의 치료와 임상연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한의치료의 객관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계통 위축증이란 무엇인가? 다계통 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는 뇌의 여러 계통에 위축이 발생하는 진행성 퇴행성 뇌질환으로 임상적으로 자율신경계 증상과 파킨슨 증상, 소뇌실조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다계통위축증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특성상 진단이 어려워 파킨슨병, 특발성 소뇌실조증 등으로 오인되기 쉽다1,2.
다계통 위축증에 대한 치료는 무엇인가? 다계통 위축증은 예후가 불량해 신경퇴행이 빠르게 진행하여 증상 발생으로부터 6-10년 정도 생존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2, 아직까지 질병의 발생이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은 알려져 있지 않고, 대증치료 위주의 약물요법, 재활치료에 의한 기능유지, 전신관리를 중심으로 치료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4.
다계통 위축증은 임상적으로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임상적으로 자율신경계의 증상이 두드러지는 MSA-A type, 파킨슨 증상이 두드러지는 MSA-P type, 그리고 소뇌증상이 두드러지는 MSA-C type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이들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비정상적인 알파 시누클레인을 포함한 아교세포질포함체(gli cytoplasmic inclusion)라는 병리소견이 있고, 자율신경계 증상이 초기에 동반된다는 사실이 밝혀진 후 MSA-A type은 잘 사용하지 않고 통합하여 MSA로 부르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Neurology. Seoul: Koonja; 2007, p. 472-3. 

  2. Fanciulli A, Wenning GK. Multiple-system Atrophy. N Engl J Med 2015;372(3):249-63. 

  3.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Test Book of Neurology. 2nd Edition. Seoul: Panmun; 2012, p. 509. 

  4. Yoshio Y. Asakura Internal Medicine. 11th ed. Seoul: Wooriuihakseojeok; 2020, p. 322-5. 

  5. Kim SY, Choi JW, Lee SH, Yang SB, Cho SY, Park JM, et al. A Case of Multiple System Atrophy with Antecollis and Gait Disturbance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J Int Korean Med 2019;40(5):851-64. 

  6. Lee SH, Shin HY, Jeong HS, Kim SY, Yang SB, Cho SY, et al. A Case of Multiple System Atrophy-Parkinsonism Type (MSA-P) with Gait Disturbance and Posture Instability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J Int Korean Med 2019;40(5):743-51. 

  7. Cho JH, Lim BR, Jeong TS, Jeon GR, Park JS, Lee YJ, et al. A Case Report of a Multiple System Atrophy-C Patient Treated by Korean Medicine. J Int Korean Med 2018;39(5):1042-51. 

  8. Yang X, Feng LS, Cui BL. Analyses on TCM Syndrome and Treatment Experience of Multiple System Atrophy. Guangming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17;32(6):871-3. 

  9. Liu J, Wang BL. Analysis and Treatment of TCM syndrome of Multiple System Atrophy. Journal of Qiannan Medical College for Nationalities 2019;32(04):238-40. 

  10. Xu Z, Jia YJ. Clinical Observation on 15 Cases of Multiple System Atrophy-Cerebellar Type Treated with Three-meridian Needling in Rows at Occiput.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6;57(20):1764-7. 

  11. Chen X, Zhang M, Gao QM. Clinical Observation of Multiple System Atrophy Treatment Based on Chinese Syndrome Differentiation. Jili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2;32(04):374-6. 

  12. Mao Y. Clinical Observation on the Treatment of 10 Patients with Multiple System Atrophy by Combination of Acupuncture and Medicine. Chinese Journal of Urban and Rural Enterprise Hygiene 2019;34(11):75-7. 

  13. Zhang WL, Wang JX, Fu WB. Observation on Curative Effect of Moxibustion and Acupuncture on 12 Cases of Multiple System Atrophy. Guid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2018;24(14):50-2. 

  14. Yang FM, Wu JJ, Wang WF.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ment of 6 Cases of Multiple System Atrophy with Acupuncture and Yizhi-tang. Journal of Practical Medical Techniques 2017;4(08):873-4. 

  15. Zhao PL, Yang B, Li SY. Clinical Observation of Tonifying Kidney and Replenishing Essence in Treating Multiple System Atrophy. Chinese Medicine Modern Distance Education of China 2014;12(19):39-41. 

  16. Zhang PR, Guo GH, Gu WH, Zhang ZY, Wang K, Jin M. Clinical effect of Yisui Decoction Plus Western Medicine in Treating Multiple System Atrophy. China Journal of Chinese Materia Medica 2014;39(15):2968-71. 

  17. Sun JQ. 8 Cases of Treatment of Multiple system Atrophy Type C with Wang's Experience Prescription and Acupoints. Beij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3;32(01):60-2. 

  18. Xu HY, Zheng Y. Analysis of TCM Syndromes and Efficacy in 23 Patients with Multiple System Atrophy. Journal of New Chinese Medicine 2012;44(07):69-71. 

  19. Yu CX. Observation on Therapeutic Effect of Bojungikki-tang-gami on 19 Cases of Multiple System Atrophy. Journal of New Chinese Medicine 2010;42(12):57-8. 

  20. Niu HY, Duan HT. Treatment of 8 Cases of Multiple System Atrophy with Acupuncture and Chinese Medicine. Chinese Acupuncture & Moxibustion 2005;25(06):399-400. 

  21. Gilman S, Wenning GK, Low PA, Brooks DJ, Mathias CJ, Trojanowski JQ, et al. Second Consensus Statement on the Diagnosis of Multiple System Atrophy. Neurology 2008;71(9):670-6. 

  22. Schrag A, Ben-Shlomo Y, Quinn NP. Prevalence of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and Multiple System Atrophy: a crosssectional study. Lancet 1999;354(9192):1771-5. 

  23. Watanabe H, Saito Y, Terao S, Ando T, Kachi T, Mukai E, et al. Progression and Prognosis in Multiple System Atrophy: An Analysis of 230 Japanese Patients. Brain 2002;125(Pt 5):1070-83. 

  24. Kollensperger M, Geser F, Ndayisaba JP, Boesch S, Seppi K, Ostergaard K, et al. Present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multiple system atrophy in Europe: final analysis of the European multiple system atrophy registry. Mov Disord 2010;25(15):2604-12. 

  25. Meridians & Acupoints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Details of Meridians & Acupoints; A Guidebook for College Students. Daejeon: Jonglyeonamu; 2016, p. 147-50, 532-45. 

  26. Ahn SG, Lee SR, Yang YS. The Treatise Research on Hua-Tuo-Jia-Ji-Xue.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2000;17(4):139-48. 

  27. Shin HH, Choi WS, Yoo J, Kwon KM, Kim MS, Kim SJ, et al. Effect of Magnetic Acupuncture Attachment on PC6 (Neiguan) on Autonomic Nervous System. Korean J Fam Pract 2018;8(4):499-503. 

  28. Hong SH, Kim YK, Kwon DY. Study on The Origin, Explanation and Application of Jihwangeumja.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2003;11(1):37-4. 

  29. Yoon YG. Donguibangjaewa Cheobanghaeseol. Seoul: Euiseongdang; 1998, p. 373-4. 

  30. Yu M, Sun ZJ, Li LT, Ge HY, Song CQ, Wang AJ. The Beneficial Effects of the Herbal Medicine Di-huang-yin-zi (DHYZ) o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A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Clinical Study. Complement Ther Med 2015;23(4):591-7. 

  31. Li YL, Li LT, Yu M, Wang YZ, Ge HY, Song CQ. Beneficial Effects of the Herbal Medicine Di Huang Yin Zi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Study. J Int Med Res 2012;40(5):1715-24. 

  32. The Bonchohak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National College of Korean Medicine. Bonchohak. Seoul: Yeongnimsa; 2006, p. 345-6, 633-4, 688-9. 

  33. Wang SS, Chen L, Wang Y, Wei YF, Yue XF, Wang YQ, et al. Syndrome Law of 167 Cases of Multiple System Atrophy Patients(167 cases). World Chinese Medicine 2017;12(11):2827-34. 

  34. Wenning GK, Tison F, Seppi K, Sampaio C, Diem A, Yekhlef F,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Unified Multiple System Atrophy Rating Scale (UMSARS). Mov Disord 2004;19(12):1391-4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