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질안전보건자료 대상물질의 유해성 분류기준 적용 연구
Study on applying to Hazard Classification Criteria of Chemicals subject to Material Safety Data Sheets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30 no.3, 2020년, pp.280 - 291  

이혜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이나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이인섭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Hazard classification is a controversial issue in the new MSDS system in which chemical companies have to prepare and submit MSDS for chemicals that they manufacture or import to the competent authorities according to the amende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The aim of this study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유해성 분류기준은 현재 통합을 추진 중이나, 국내 GHS 도입 이후부터 각 기관별로 유해성 분류정보를 제공해왔다. 다만 실제 분류결과가 달라 공단에서는 2011년부터 「GHS 분류정보의 정부기관 통일화 협력사업」을 추진해왔으며, 동 사업의 목적은 국내에서 화학물질에 대한 GHS 분류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정부기관(공단, 환경부, 소방청)의 상이한 화학물질 분류와 표시내용을 통일화하여 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의 혼란 방지 및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도모하고자 함이다(KOSHA, 2019). 해당 사업 대상 및 검토 결과는 Table 2와 같으며, 일부 제한된 대상에 한하여 분류정보 조화율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GHS라는 화학물질의 분류⋅표시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조화된 체계를 개발한 UN에서는 본 과업의 완수를 위해 UN의 GHS 전문가 소위원회를 통해 GHS 분류, 지침서 세부사항 등 다양한 의제를 논의하고, 2003년 GHS 지침서 초판 발행 이후 2년마다 개정판을 발행하고 있다. 이 위원회에서는 2008년 이래 GHS 시행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GHS에 따라 분류된 화학물질의 Global list(국제 화학물질 분류 목록) 개발 가능성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현행의 GHS 지침서에 조화된 분류 목록이 첨부된다면 GHS의 실질적인 목표인 세계적으로 일관되고 적정한 화학물질정보의 제공(소통)이 실현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 이에 따라 소관법령별 화학물질 분류⋅표시 기준이 상이하여 산업계의 혼란을 초래하였다. 이는 소관부처에 따라 2년 주기로 개정되는 UN의 GHS 지침서 도입 시 서로 다른 개정판으로 적용한 것과 유해위험등급 및 구분, 유해위험문구, 예방조치문구 등에 대한 소관부처별 해석의 차이에 기인하였다. 이러한 혼란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 GHS 주관기관인 소방청(`09년 5월, UNECE 지정)의 주도 하에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농촌진흥청 등 9개 정부 부처 및 안전보건공단,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7개 전문가기관이 참여해서 화학물질 분류 및 표시기준에 대한 통합표준을 제정하였으며, 2019년 6월 공개된 「GHS 분류체계 조화를 위한 화학물질 분류⋅표시 기준 통합표준안」은 소방청 정책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NFA, 2019).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유해성 분류 제도 현황, 분류정보 비교 분석 등을 통하여 새로운 제도 내에서 유해성 분류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이에 대한 각 주체의 역할, 그리고 유해성 분류를 관리하기 위한 합리적인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화학물질 유해성 분류체계 적용 제도 및 사례를 조사하고, 국내⋅외 화학물질 유해성 분류 Database(DB)를 비교⋅분석, 고찰함으로써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에 따라 MSDS가 정부에 제출되는 새로운 환경에서 MSDS의 유해성 분류 기준 적용, 이에 대한 각 주체(정부, 제조⋅수입⋅조제⋅사용자)의 역할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당시 유럽연합의 분류와 일본의 분류 목록 비교에 대한 제안이 있었고, 두 가지 목록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89종의 물질을 비교한 결과 동일 분류는 없었으며, 이로 인해 추가 분석은 불가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와 함께 국제 화학물질 분류 목록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수행하였다. 해당 사업은 UN의 GHS 전문가 소위원회의 제안 하에 OECD 그룹에서 조정 역할을 하였으며, 시범사업 결과는 Table 1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European Chemicals Agency(ECHA). Guidance on the Application of the CLP Criteria. ECHA.; 2017. 

  2. European Chemicals Agency(ECHA). Harmonised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CLH). [Accessed 2019 Nov]. Available from: URL:https://echa.europa.eu/regulations/clp/harmonised-classification-and-labelling 

  3. European Chemicals Agency(ECHA). Information on Chemicals. [Accessed 2019 Jul]. Available from: URL:https://echa.europa.eu/information-on-chemicals/annex-vi-to-clp 

  4. Kim SB, Lee YK, Choi YE. How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MSDS and labels?: A critical review on the U.S. Standard 29 CFR Part 1910 Hazard Communication.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15;25(1):1-12 (https://doi.org/10.15269/JKSOEH.2015.25.1.1) 

  5.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Chemical Information System. [Accessed 2019 Jul]. Available from: URL:http://msds.kosha.or.kr/ 

  6.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Cooperative Project for GHS Classification Harmonization. 2011-2019. 

  7. Lee KS, Lee JH, Song SW. Study on the Harmonization of Health and Environmental Hazard Classification Criteria and Its Results Based on the UN GH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12;22(2):140-148 

  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Act No. 16272).; 2019. p. 248-264 

  9. Ministry of Labor(MoL). Enforcement Rule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Ministry of Labor Ordinance No. 259).; 2006. 

  10. Ministry of Labor(MoL). Standard for Classification, Labelling of Chemical Substance and Material Safety Data Sheet(MoL Public Notice No. 2006-36).; 2006. 

  1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MoTIE), Ministry of Environment(Mo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National Fire Agency(NF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et al. Integrated Standard Plan on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for domestic GHS implementation. National Fire Agency(NFA). 2019. 

  1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Chemicals Information System. [Accessed 2019 Jul]. Available from: URL:http://ncis.nier.go.kr/main.do 

  1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Regulation on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NIER Public Notice No. 2019-45).; 2019. 

  14. National Fire Agency(NFA) & Korea Fire Institute(KFI). National Dangerous Goods System. [Accessed 2019 Oct]. Available from: URL:http://hazmat.mpss.kfi.or.kr/index.do 

  15.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OSHA), U.S. Department of Labor. HAZARD COMMUNICATION - Hazard Classification Guidance for Manufacturers, Importers, and Employers. OSHA.; 2016. 

  16.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REPORT ON THE PILOT PROJECT ON ASSESSING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A GLOBAL LIST OF CLASSIFIED CHEMICALS:ENV/JM/MONO(2016)43. OECD.; 2016. 

  1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NEX 1 PART 1 TO THE REPORT ON THE PILOT PROJECT ON ASSESSING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A GLOBAL LIST OF CLASSIFIED CHEMICALS:ENV/JM/MONO(2016)43/ANN1/PART1. OECD.; 2016. 

  18.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NEX 1 PART 2 TO THE REPORT ON THE PILOT PROJECT ON ASSESSING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A GLOBAL LIST OF CLASSIFIED CHEMICALS:ENV/JM/MONO(2016)43/ANN1/PART2. OECD.; 2016. 

  19.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REPORT ON THE PROPOSAL FOR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C&L) OF DIMETHYLTIN DICHLORIDE:ENV/JM/MONO(2016)44. OECD.; 2016. 

  20.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NEX 1 TO THE PROPOSAL FOR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C&L) OF DIMETHYLTIN DICHLORIDE:ENV/JM/MONO(2016)44/ANN1. OECD.; 2016. 

  21.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REPORT ON THE PROPOSAL FOR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C&L) OF DICYCLOPENTADIENE:ENV/JM/MONO(2016)45. OECD.; 2016. 

  22.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NEX 1 TO THE REPORT ON THE PROPOSAL FOR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C&L) OF DICYCLOPENTADIENE:ENV/JM/MONO(2016)45/ANN1. OECD.; 2016. 

  23.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REPORT ON THE PROPOSAL FOR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C&L) OF DIBUTYL PHTHALATE:ENV/JM/MONO(2016)46. OECD.; 2016. 

  24.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NEX 1 TO : REPORT ON THE PROPOSAL FOR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C&L) OF DIBUTYL PHTHALATE:ENV/JM/MONO(2016)46/ANN1. OECD.; 2016. 

  25. United Nations(UN).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GHS), 8th ed. UN.; 2019. 

  26. United Nations(UN). Possible Ways Forward on the Global List:UN/SCEGHS/35/INF.27. UN.; 2018. 

  27. United Nations(UN). Potential Paths forward for global list project:UN/SCEGHS/37/INF.10. UN.; 2019. 

  28. United Nations(UN). Status update on the Global list informal working group:ST/SG/AC.10/C.4/2019/6. UN.; 2019. 

  29. Yoon CS, Jeong JY, Lee KH, Park MJ, Park JH et al.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Management Standard of Hazardous Substances und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II).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OSHRI).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