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ndsat-8 위성을 통한 토지피복 변화와 지하수 함양량 상관성 고찰
A Study on the Corelation between the Variation of Land Cover and Groundwater Recharge Using the Analysis of Landsat-8 OLI Data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30 no.3, 2020년, pp.347 - 378  

박승혁 (중앙컨설턴트(주) 지하수환경부) ,  정교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WAT-MODFLOW의 월평균 수문성분 자료를 바탕으로 지하수 함양관련 토양층의 측방유출, 침루량을 산정하는 기본자료인 수문응답단위(HRU)와 이를 구성하는 토지피복, 토지이용, 토양통에서 영향이 큰 지하수 함양량 인자를 분석하였다. 봄, 가을별 bare soil line(BSL)을 통해 PVI를 분석하고 기존의 NDVI, NDTI, NDRI와 함께 함양량 분포와 토양-식생관련 지수의 빈도분석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비정규분포 양상을 보이는 NDVI와 NDTI에서 매우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연구지역의 bare soil line 기울기는 약 1.092~1.343, 절편은 약 -0.004~-0.015이며 상대적으로 월평균강우량이 우세한 5월에는 Red밴드가 다른 시기에 비해 약 3~4배 증가하고 2012년 Singhal and Goyal의 결과와 같이 포물선 형태의 유일한 1개의 변곡점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강우를 고려하여 지하수 함양과 토양-식생관련 지수에 대한 다양한 경우의 상관성 분석이 수행된다면, 위성영상자료를 통해 토양-식생에 따른 함양량 변화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monthly average groundwater recharge over a nearly 10 year period, results of fully integrated hydrologic modeling of SWAT-MODFLOW, land cover, land use, soil type and hydrologic response unit (HRU) was used to assess the dominant influencing factors of groundwater recharge spatial patterns...

주제어

표/그림 (3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ndsat-8 OLI/TIRS 자료를 활용하여 장성지역에 대해 시공간적인 식생과 토지이용 관련 지수 (PVI, NDVI, NDTI, NDRI)를 분석해 보고 장성지역에 대해 분포형 수문모형 SWAT-MODFLOW로 산정한 함양량과 비교하여 계절에 따른 함양량과 식생 및 토지분포와의 상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지경작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식생화된 토지피복은 그렇지 않은 곳에 비해 증발산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식생 피복률(fractional vegetation cover, FAC)을 0에 가깝게 줄이거나 관개를 통해 많은 양의 물이 빠르게 유출되도록 한다면 함양량은 증가한다. 또한 토지경작은 토양구조를 개선하여 강우가 땅속으로 잘 침투하게 한다. 한편, 미시적인 관점에서는 농경지의 재배작물의 위조점(wilting point), 뿌리심도가 함양에 영향을 준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지하수 함양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은? 특히 함양과정에서 식생과 토지이용은 그 과정 전체를 통제할 만큼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식생은 그 형태와 분포 정도에 따라 증발산의 형태에 영향을 준다(Healy, 2010). 거시적인 관점에서는 토지피복의 식생화, 관개지역, 토지 경작 등이 함양량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 식생화된 토지피복은 그렇지 않은 곳에 비해 증발산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식생 피복률(fractional vegetation cover, FAC)을 0에 가깝게 줄이거나 관개를 통해 많은 양의 물이 빠르게 유출되도록 한다면 함양량은 증가한다.
얕은 대수층에서 지하수 함양과 관련된 것은 무엇이 있는가? 얕은 대수층에서 지하수 함양은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강우의 빈도, 강도, 지속시간 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풍속과 지하수위 상부에 존재하는 토양 및 암반층의 특성과 깊이, 지표의 지형과 식생 분포 및 토지이용과도 관련된다(Memon, 1995). 특히 함양과정에서 식생과 토지이용은 그 과정 전체를 통제할 만큼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식생은 그 형태와 분포 정도에 따라 증발산의 형태에 영향을 준다(Healy,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ret, F., Jacquemoud, S., Hanocq, J.F., 1993, About the soil line concept in remote sensing, Advances in Space Research 13(5), 281-284. 

  2. Burke, D.G., Dawes, J., 2014, A novice experimental with satellite-based classification of agricultural crops and BMPs, Chesapeake Conservancy's Conservation Innovation Center, 6-8. 

  3. Chung, I.M., Kim, N., Lee, C., 2015, Estimation of interception in Cheonmi watershed,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5(4), 815-8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ung, I.M., Kim, N., Lee, C.W., 2007,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by considering runoff process and groundwater level variation in watershed,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2(5), 19-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ung, I.M., Park, S., Lee, J., Kim, M., 2018, Estimation of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in Jangseong district by using integrated hydrologic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8(4), 517-5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Dematte, J.A.M., Huete, A.R., Ferreira Jr., L.G., Nanni, M.R., Alves, M.C., Fiorio, P.R., 2009, Methodolody for bare soil detection and discrimination by Landsat TM image, The Open Remote Sensing Journal, 2(1), 24-35. 

  7. Ghosh, A., Hijmans, R.J., 2019, Remote sensing image analysis with R, 3-30. 

  8. Goslee, S.C., 2011, Analyzing remote sensing data in R: The landsat package,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43(4), 1-14. 

  9. Healy, R.W., 2010,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11. 

  10. Jinno, K., Tsutsumi, A., Alkaeed, O., Saita, S., Berndtsson, R., 2009, Effects of land-use change on groundwater recharge model parameters,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54(2), 300-315. 

  11. Koroleva, P., Rukhovich, D., Rukhovich, A., Rukhovich, D., Kulyanitsa, A., Trubnikov, A., Kalinina, N., Simakova, M., 2017, Location of bare soil surface and soil line on the RED-NIR spectral plane, Eurasian Soil Science, 50(12), 1375-1385. 

  12. Memon, B.A., 1995, Quantitative analysis of springs, Environmental Geology, 26, 111-120. 

  13. Mohan, C., Western, A.W., Wei, Y., Saft, M., 2018, Predicting groundwater recharge for varying land cover and climate conditions-a global meta-study,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Discussions, 22, 2689-2703. 

  14. MOLIT, 2014, The basic groundwater investigation in Jangseong, Appendix I, 5, 61-78. 

  15. Perry, Jr., C.R., Lautenschlager, L.F., 1984, Functional equivalence of spectral vegetation indic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4(1-3), 169-182. 

  16. Richardson, A.J., Wiegand, C.L., 1977, Distinguishing vegetation from soil background information,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43(12), 1541-1552. 

  17. Rouse, J.W., Hass, R.H., Schell, J.A., Deering, D.W., 1973,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Third ERTS Symposium, Vol. I, 309-312. 

  18. Rukundo, E., Dogan, A., 2019, Dominant influencing factors of groundwater recharge spatial patterns in Ergene river catchment, Turkey, Water, 11(653), 1-25. 

  19. Santos, A., 2017, Package 'landsat8', 1-7. 

  20. Scanlon, B.R., Reedy, R.C., Stonestrom, D.A., Prudic, D.E., Dennehy, K.F., 2005, Impact of land use and land cover on groundwater recharge and quality in the southwestern US, Global Change Biology, 11(10), 1577-1593. 

  21. Serbin, G., Daughtry, C.S.T., Hunt, Jr., E.R., Brown, D.J., McCarty, G.W., 2009, Effect on soil spectral properties on remote sensing of crop residue cover,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73(5), 1545-1558. 

  22. Singhal, V., Goyal, R., 2012, A methodology based on spatial distribution of parameters for understanding affect of rainfall and vegetation density on groundwater recharge, European Journ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1(2), 85-96. 

  23. Sonmez, N.K., Slater, B., 2016, Measuring intensity of tillage and plant residue cover using remote sensing, Europ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49, 121p. 

  24. Tsutsumi, A., Jinno, K., Berndtsson, R., 2004, Surface and subsurface water balance estimation by the groundwater recharge model and a 3-D two-phase flow model,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49(2), 205-226. 

  25. USGS, 2019, Landsat 8 data users handbook, 1-99. 

  26. van Deventer, A.P., Ward, A.D., Gowda, P.H., Lyon, J.G., 1997, Using Thematic Mapper data to identify contrasting soil plains and tillage practice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3(1), 87-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