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개발 및 하부 작물 생육 특성 분석 및 고찰 원문보기

태양광발전학회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v.6 no.2, 2020년, pp.15 - 24  

김근호 ((재)녹색에너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농업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동시 상생이 가능한 기술로 현재와 같은 농업 환경 및 생태계 개선 그리고 에너지 전환의 시대에 대처해야 하는 훌륭한 대안이다. 한국형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개발 및 보급을 위한 국내 첫 연구개발 사업인 농림축산식품부(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의 "한국형 태양광 이모작(농업&태양광 발전 병행) 스마트 영농 시스템 개발(과제번호: 1545015977)"과제를 통해 총 60kW급 규모의 5개소 실증단지(10kW급 3개소 신규 개발 및 구축)를 활용한 최적 시스템 개발, 6품종(벼 2품종, 감자, 배추, 마늘, 양파 및 배) 표준재배기술 도출 등을 수행하였다. 기존 태양광 발전용 모듈(72cell) 대비 half-size(36cell) 모듈 개발, 작물 별 최적 구조물(차광률 30% 미만 적용) 도출, 대상 작물 감수율 20% 미만 달성 및 표준재배기술개발을 수행하였다. 추후 장기간 동안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의 경제성 확보, 시공성 개선 그리고 다양한 작물 대상 표준재배기술 최적화 등의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확산 및 보급을 위해 국가적 지원과 농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불가능 하다. 그리고 본 개발 기술은 농업인을 위한 기술로 범국민적인 수용성 개선 또한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정부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대한민국의 식량안보와 에너지안보를 확보를 위해 농업진흥지역에 대한 최대 20년까지 타용도 일시전용이 가능하도록 농지법 개정으로 화답 할 때이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한국형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개발 내용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의 “한국형 태양광 이모작(농업&태양광 발전 병행) 스마트 영농 시스템 개발”과제의 결과를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과제번호: 1545015977).
  • 그리고 국내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개발 관련 추진 중인 연구개발 과제로는 2016년 12월부터 녹색에너지연구원(참여: 솔라팜, 에스엠소프트웨어)이 추진한 농림축산식품부의 ‘한국형 태양광 이모작(농업·태양광 발전병행) 스마트 영농 시스템 개발’ 과제는 영농형 태양광 관련 국내 최초과제이다. 해당 과제에서는 일본의 영농형 태양광발전 보급 모델을 국내에 적합한 시스템으로 개발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대상 작물을 대상으로 재배기술을 연구하였다. 또한 위 과제를 기반으로 도출된 다양한 요소기술을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 제안, ‘100kW급 농가 보급형 농업 병행 태양광발전 표준시스템 개발 및 실증과제’를 2017년 12월부터 시작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농형 태양광이란 무엇인가? 영농형 태양광(Agrivoltaic)은 농작물과 태양광 발전에 일사량을 공유(Solar-Share)하여 농업과 태양광 발전의 병행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작물의 광포화점(Light satu-ration point)을 초과하는 잉여 일사량을 농작물 상부의 태양광 발전에 공유하는 개념이다(그림 4). 본 시스템은 농업 즉,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농작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고자 하부의 농작물에 미치는 일사량의 차광률을 최대 30% 미만으로 설정하여 태양광 발전용 모듈(Half-size module/36cell)을 설치하고 해당 농작물의 수확량 감수율은 최소 20% 이하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시초는 무엇인가? 하지만,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1981년 독일의 물리학자 A. Goetzberger와 A. Zastrow가 농업과 태양광 발전 병행 시스템이 처음 알려지게 되었으며, 그 후 2004년 일본의 나가시마 아키라(長島 彬)에 의한 솔라 쉐어링(Solar sharing)이라 명명한 영농형 태양광 프로토타입 모델이 처음 확산되었다. 이후 2016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영농회사법인 (주)솔라팜에서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실증을 통해 쌀 재배를 성공하였으며,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은 농림축산식품부와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2016년부터 현재까지 농업과 태양광 발전의 병행이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 표준 시스템 개발과 표준재배기술 개발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 트렌드 변화로 인해 전력 산업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이에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 트렌드 변화와 온실가스(CH4 및 CO2) 배출량 저감에 많은 인적·물적 및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2012년 이후 전세계 재생에너지 신규 발전설비가 화력 및 원자력을 초과하였으며, 2018년 기준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보급량은 전년 대비 약 1.7% 증가(181GW 규모) 하였다(그림 2). 이중 태양광은 약 55%(100GW), 풍력 28%(51GW), 수력 11%(20GW) 그리고 바이오 등 10GW 수준으로 각각 설치되었으며 현재까지 2,378GW(전 세계 발전설비 중 재생에너지는 약 33% 차지) 의 누적 설치량을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수확기 평균 쌀 가격", 2017 

  2. Renewable Energy Policy Network for the 21st Century, Global Status Report Renewables 2019, 2019 

  3. (사)기후솔루션, "2020 대한민국 재생에너지 현황과 문제점", 2020 

  4. Agrophotovoltaics, "Power and Food Combining PV with Crop Harvesting", 2018 

  5. 일본 농림수산성, "솔라쉐어링 우수사례", 2018 

  6. 나가시마 아키라, "日本を?える, 世界を?える! ソ?ラ?シェアリングのすすめ",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