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역환경변화를 고려한 수질-수문-수생태 연계기술 개발 원문보기

물과 미래 : 한국수자원학회지 = Water for future, v.53 no.9, 2020년, pp.6 - 16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공학부) ,  우소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이지완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김용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이한필 ((주)이티워터) ,  홍은미 (강원대학교 에코환경과학전공) ,  송인홍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5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수문-수질-수생태계연계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각 유역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준 분포형 모델을 대상으로 수문모델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준분포형 모델로는 HSPF (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Fortran),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PRMS (Precipitation and Runoff Modeling System), SLURP (Semi-distributed Land Usebased Runoff Process) 등이 있으며, 이들 중 수문 .
  • 수문순환 모의는 각 소유역의 토지로부터 주요 하천으로 유입되는 물과 유사, 영양물질 및 살충제의 부하량의 산정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유역환경변화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향후 모델의 활용성(하천시설물 고려, 질소계 대기침하 및 기저유출 반영), 확장성(소스코드 개선), 지속성(진화 가능성)을 감안하여 SWAT 모델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 이 모델은 성층화 모의가 가능하여, 수평 변이가 작은 좁고 긴 하천 형태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며 장기간 수질모의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을 대상으로 한 모델 구축을 목표로 하고있고, 우리나라 하천과 호수의 형태가 좁고 긴 수지상인 점(그림 2), SWAT의 출력자료와 CE-QUAL-W2의 입력자료가 충분히 연계될 수 있는 점을 반영하여 2차원 모델인 CE-QUAL-W2 모델을 우선 검토하고 있다.
  • 수생태 각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요 모델들의 특성을 비교 .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모델들을 대상으로 한 연계모델링의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PHABSIMe 1 차원 물리적 서식처 모의 모델로, 수중생물 특히 수체 내 먹이사슬의 최상위 단계인 어류가 수리학적 환경의 변동에 따라 즉각적으로 반응을 보인다는 점을 기본 가정으로 한다. PHABSIMe 유량, 유속, 수심 등의 변화에 따른 하도구간 내 대상 어종의 성장단계별 서식처 변화를 예측하여 대상어종에 대한 가중가용면적 (Weighted Usable Area, WUA)과 유량의 관계를 통해 필요한 최적 유량을 산정한다.
  • 비점 오염원의 영향을 함께 고려할 수 있도록 개발된 준분포형 모델로, 투수지역의 수문 및 수질을 모의하는 PERLND, 불투수지역의 수문 및 수질을 모의하는 IMPLND, 수체 내의 수리 및 수질을 모의하는 RCHRES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수체 내 수리 모의는 흐름을 한 방향으로 보고 한 부분의 유입과 여러 방향의 유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체의 깊이에 대한 수표면적과 저류되는 수량의 관계는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Lee et al., 20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rnold, J. G., Srinivasan R., Muttiah R. S., and Williams J.R. (1998). Large area hydrologic modeling and assessment part I: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1), pp. 73-89. [DOI: 10.1111/j.1752-1688.1998.tb05961.x] 

  2. Becker, A., and Seban, P. (1990). Hydrological models for water resources system and operation. In: Operational Hydrology, WMO Report No, 34, pp. 80. 

  3. Beven, K., and Binley, A. (1992). The future of distributed models: Model calibration and uncertainty prediction. Hydrological Processes, 6(3), pp. 279-298. 

  4. Elliott, J. A., Irish, A. E., and Reynolds, C. S. (2010). Modeling phytoplankton dynamics in fresh waters: Affirmation of the PROTECH approach to simulation. Freshwater Reviews, 3(1), pp. 75-96. https://doi.org/10.1608/FRJ-3.1.4 

  5. Jang, J. S. (2003). Introduction of hydrologic models and parameters. Journal of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10(1): pp. 95-102. 

  6. Jung, I. W., and Bae D. H. (2005). A study on PRMS application for Korean 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8, No. 9, pp. 713-725. 

  7. Kite, G. W., Ellehoj E., and Dalton, A. (1996) GIS for large scale watershed modelling, i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in Hydrology. Singh, V.P.; Fiorentino, M (e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8. Lee, S. B., Yoon, C. G., Jung, K. W., and Hwang, H. S. (2010). Comparative evaluation of runoff and water quality using HSPF and SWMM. Water Sci. Technol. 62(6), pp. 1401-1409. 

  9. Mouton, A. M., Schneider, M., Depestele, J., Goethals, P. L. M., and De Pauw, N. (2007). Fish habitat modeling as a tool for river management. Ecological Engineering, 29(3), pp. 305-315. https://doi.org/10.1016/j.ecoleng.2006.11.002 

  10. Rivaes, R., Rodriguez-Gonzalez, P.M., Albuquerque, A., Pinheiro, A. N., Egger, G., and Ferreira, M. T. (2013). Riparian vegetation responses to altered flow regimes driven by climate change in Mediterranean rivers. Ecohydrology, 6(3), pp. 413-424. https://doi.org/10.1002/eco.1287 

  11. Singh, V. P. (1995). Computer models of watershed hydrology.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12. Singh, V., and Woolhiser, D. A. (2002). Mathematical modeling of watershed hydrology.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7(4), pp. 270-292.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 

  13. Steffler, P., and Blackburn, J. (2002). River2D: Two-dimensional Depth Averaged Model of River Hydrodynamics and Fish Habitat-Introduction to Depth Averaged Modeling and User's Manual.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pp. 1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