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산으로 표면처리한 대나무 활성탄을 첨가한 폴리술폰 담체의 세슘제거 효율 규명
The Cesium Removal Using a Polysulfone Carrier Containing Nitric Acid-treated Bamboo Charcoal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3 no.5, 2020년, pp.529 - 542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선희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탁현지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경태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이민희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질산으로 표면 처리한 대나무 활성탄을 소량 첨가한 구형의 폴리술폰 담체(직경 3 - 5 mm)를 제조한 후, 세슘(Cesium: Cs) 오염수를 대상으로 다양한 실내 실험을 수행하여 담체의 세슘 흡착 특성과 Cs 제거효율을 규명하였다. 배치실험 결과, 질산처리한 대나무 활성탄 5%를 첨가하여 제조한 폴리술폰 담체(P-5NBC)는 수 시간 내에 흡착평형에 도달하였고, 1시간 흡착시간 동안 57.8%의 Cs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흡착시간이 24시간인 경우에는 오염수의 온도와 pH가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도 P-5NBC의 Cs 제거효율이 69%이상을 유지하여, 다양한 수환경 조건에서 Cs 제거를 위해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과 지하수에 서식하는 대표 미생물종인 Pseudomonas fluorescens와 Bacillus drentensis를 배양하여 P-5NBC 표면에 도포한 경우, 미생물을 도포하지 않은 기존 P-5NBC보다 Cs 제거효율은 각각 19%와 18% 증가하였다. P-5NBC의 평균 Cs 탈착율은 16% 이하를 나타내어, Cs가 폴리술폰 담체에 포함된 질산처리한 대나무 활성탄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있었다. 두 종류의 미생물로 도포한 P-5NBC로 충진하여 연속 칼럼실험을 수행한 결과, 100 공극체적량을 처리하는 동안 Cs 제거효율은 80%이상을 유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14.7 g의 P-5NBC 만으로(담체 내 순수 대나무 활성탄량: 0.75 g) 7.2 L의 오염수 (오염수 초기 Cs 농도: 1 mg/L; 처리수 Cs 농도: < 0.2 mg/L)를 성공적으로 처리하였음을 의미한다. 1시간 동안 반응시킨 Cs 흡착 배치실험 결과를 대표적인 Langmuir 흡착등온선에 도시한 결과, P-5NBC의 최대 Cs 흡착농도(qm: mg/g)값은 60.9 mg/g으로, 기존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한 다른 흡착제들보다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량의 P-5NBC 구형 담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수환경에서 Cs를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esium (Cs) sorption characteristics of a bead-type polysulfone carrier contained HNO3-treated bamboo charcoal (3 - 5 mm in diameter) in water system were investigated and its Cs removal efficiency as an adsorbent from water was also identified by various laboratory experiments. From the results...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응 용액의 Cs 농도를 측정한 후 아래 식(2)를 이용하여 탈착 시간에 따른 P-5NBC 담체의 Cs 탈착율(%)을 계산하였다. 두 종류의 미생물을 각각 도포한 P-5NBC의 탈착율도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계산하여 비교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Cs 고정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흡착기작에 의해 오염물질이 수계로부터 제거되어도, 탈착에 의해 수계로 환원되는 현상이 발생하면 전체적인 제거효율은 감소하게 되며, 방사능핵종과 같이 독성이나 위해성이 높은 경우 탈착에 의한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5NBC 담체의 Cs 탈착율(%)을 계산하기 위한 탈착 배치실험을 수행하였다. 2.
  • 1 mg/L)것을 고려하여 수용액의 초기 농도가 낮은 조건에서도 높은 제거효율을 보이는 흡착제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기 위하여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한 유기중합체인 폴리술폰산에, Cs에 흡착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질산처리한 BC를 소량 첨가하여 분말상이 아닌 구형 입상의 형태로 P-5NBC 흡착제를 제조하였으며, 오염수로부터 Cs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흡착제로서 활용가능성을 다양한 실내 실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복잡한 처리 과정이나 별도의 추가 반응 없이 폴리술폰에 5%의 질산처리한 BC를 첨가하여 제조한 구형 담체(P-5NBC)의 경우 60% 이상 제거가 가능하였으며, 특히 실제 오염수의 농도 범위인 1 mg/L 이하의 저농도에서도 높은 제거효율(77% 이상)을 나타내었다.
  • , 2014). 본 연구에서는 질산처리한 BC를 포함하는 폴리술폰 담체 표면에 도포한 미생물이 수계 내 Cs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양과 지하수에 서식하는 대표 토착 미생물 중에서 선행연구를 통해 중금속 제거 효율이 높다고 알려진 미생물 2종(Pseudomonas fluroescens과 Bacillus drentensis)을 한국미생물보존협회(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KCCM)로부터 동결건조 상태로 제공받아, KCCM에서 추천한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 물질인 대나무 활성탄을 질산으로 표면처리하여 Cs 흡착능을 향상시킨 후, 이를 폴리술폰 유기 중합체에 고정시켜 구형 담체를 제조하여, Cs로 오염된 수계를 정화하는데 적합한 흡착제를 개발하는 데 있다. 실내 배치 및 칼럼실험을 통해 제거 가능한 수계의 Cs 농도 범위와 적정 pH 및 온도 범위와 같이 현장 정화를 위한 최적의 적용 조건들을 제시하였으며, 궁극적으로 Cs로 오염된 수계를 정화하는데 질산처리한 BC를 첨가하여 제조한 구형 폴리술폰 담체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 오염수의 초기 pH와 온도에 따른 제거효율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초기 오염수 pH 범위(3 – 11)와 온도 조건(5 – 30 ℃)에서 흡착실험을 반복하였다. 위 실험들을 통하여 폴리술폰 담체를 Cs 제거를 위한 흡착제로 사용하는 경우 최적의 흡착 조건들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 실내 배치 및 칼럼실험을 통해 제거 가능한 수계의 Cs 농도 범위와 적정 pH 및 온도 범위와 같이 현장 정화를 위한 최적의 적용 조건들을 제시하였으며, 궁극적으로 Cs로 오염된 수계를 정화하는데 질산처리한 BC를 첨가하여 제조한 구형 폴리술폰 담체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토양 및 지하수에서 서식하는 대표 미생물종을 배양하여 폴리술폰 담체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담체의 Cs의 흡착능을 증가시켜 오염수계로부터 Cs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hn, J. and Lee, M. (2018) Sorption efficiency of the bamboo charcoal to remove cesium in the contaminated water system. Econ. Environ. Geol., v.51, no.2, p.87-97. 

  2. Alamudy, H.A. and Cho, K. (2018) Selective adsorption of cesium from an aqueous solution by a montmorilloniteprussian blue hybrid. Chem. Eng. J., v.349, p.595-602 

  3. Arifi, A. and Hanafi, H.A. (2011) Adsorption of cesium, thallium, strontium and cobalt radionuclides using activated carbon. Asian J. Chem., v.23 (1), p.111-115. 

  4. Awual, M.R., Suzuki, S., Taguchi, T., Shiwaku, H., Okamoto, Y. and Yaita, T. (2014) Radioactive cesium removal from nuclear wastewater by novel inorganic and conjugate adsorbents. Chem. Eng. J., v.242, p.127-135. 

  5. Bai, R.S. and Abraham, E. (2003) Studies on chromium (VI) adsorption-desorption using immobilized fungal biomass. Bioresource Technology., v.87, p.17-26. 

  6. Caccin, M., Giacobb, F., Ros, M.D., Besozzi, L. and Mariani, M. (2013) Adsorption of uranium, cesium and strontium onto coconut shell activated carbon. J. Radional. Nucl. Chem., v.297, p.9-18. 

  7. Chien, C.C., Huang, Y.P., Wang, W.C., Chao, J.H. and Wei, Y.Y. (2011) Efficiency of moso bamboo charcoal and activated carbon for adsorbing radioactive iodine. Clean - Soil, Air, Water., v.39, p.103-108. 

  8. Dechojarassri, D., Asaina, S., Omote, S., Nishida, K., Furuike, T. and Tamura, H. (2017) Adsorption and desorption behaviors of cesium on rayon fibers coated with chitosan immobilized with Prussian blue. Int. J. Biol. Macromol., v.104, p.1509-1516. 

  9. DeMeuse, M.T. (2014) Polysulfones as a reinforcement in high temperature polymer blends. High Temperature Polymer Blends., p.165-173. 

  10. Deng, H., Li, Y., Huang, Y., Ma, X., Wu, L. and Cheng, T. (2016) An efficient composite ion exchanger of silica matrix impregnated with ammonium molybdophosphate for cesium uptake from aqueous solution. Chem. Eng., J., v.286, p.25-35. 

  11. Ding, S., Zhang, L., Li, Y. and Hou, L. (2019) Fabrication of a novel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via binding $SiO_{2}$ nanoparticles and a copper ferrocyanide layer onto a membrane surface fors elective removal of cesium. J. Hazard. Mater., v.368, p.292-299. 

  12. Ding, Y. and Bikson, B. (2010) Macro and meso porous polymeric materials from miscible polysulfone/polyimide blends by chemical decomposition of polyimide. Polymer., v.51, p.46-52. 

  13. Falyouna, O., Eljamal, O., Maamoun, I., Tahara, A. and Sugihara, Y. (2020) Magnetic zeolite synthesis for efficient removal of cesium in a lab-scale continuous treatment system. J. Colloid Interface Sci., v571, p.66-79. 

  14. Fang, L., Wei, X., Cai, P., Huang, Q., Chen, H., Liang, W. and Rong, X. (2011) Role of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in Cu (II) adsorption on Bacillus subtilis and Pseudomonas putida. Bioresour. Technol., v.102, p.1137-1141. 

  15. Fu, J.W., Wen, T., Wang, Q., Zhang, X.W., Zeng, Q.F., Shu- Qing An, S.Q. and Zhu, H.L. (2010) Degradation of Active Brilliant Red X-3B by a microwave discharge electrodeless lamp in the presence of activated carbon. J. Environ. Tech., v.6, p.1-20. 

  16. Furuya, K., Hafuka, A., Kuroiwa, M., Satoh, H., Watanabe, Y. and Yamamura, H. (2017) Development of novel polysulfone membranes with embedded zirconium sulfate-surfactant micelle mesostructure for phosphate recovery from water through membrane filtration. Water Res., v.124, p.521-526. 

  17. Gad, S.C. and Pham, T. (2014) Cesium, Encyclopedia of Toxicology. Third Edition. Elsevier., p.776-778. 

  18. Godiya, C.B., Cheng, X., Deng, G., Li, D. and Lu, X. (2019) Silk fibroin/polyethylenimine functional hydrogel for metal ion adsorption and upcycling utilization. J. Environ. Chem. Eng., v.7, p.102806. 

  19. Hameed, B.H., Din, A.T.M. and Ahmad, A.L. (2007) Adsorption of methylene blue onto bamboo-based activated carbon: Kinetics and equilibrium studies. J. Hazard. Mater., v.141, p.819-825. 

  20. Iwanade, A., Kasai, N., Hoshina, H., Ueki, Y., Saiki, S. and Seko, N. (2012) Hybrid grafted ion exchanger for decontamination of radioactive cesium in Fukushima Prefecture and other contaminated areas. J. Radioanal. Nucl. Chem., v.293, p.703-709. 

  21. Jeon, C. (2016) Removal of cesium ions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immobilized nickel hexacyanoferratesericite beads in the batch and continuous processes. J. Ind. Eng. Chem., v.40, p.93-98. 

  22. Kang, S.M., Jang, S.C., Heo, N.S., Oh, S.Y., Cho, H.J., Rethinasabapathy, M., Vilian, A.T.E., Han, Y.K., Roh, C. and Huh, Y.S. (2017) Cesium-induced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of Pseudomonas aeruginosa PAO1 and their possible potential applications for bioremediation of wastewater. J. Hazard. Mater., v.338, p.323-333. 

  23. Katsenovich, Y., Carvajal, D., Guduru, R., Lagos, L. and Li, C.Z. (2013) Assessment of the Resistance to Uranium (VI) Exposure by Arthrobacter sp. Isolated from Hanford Site Soil. Geomicrobiol. J., v.30, p.120-130. 

  24. Khandaker, S., Kuba, T., Kamida, S. and Uchikaawa, Y. (2017) Adsorption of cesium from aqueous solution by raw and concentrated nitric acid-modified bamboo charcoal. J. Environ. Chem. Eng., v.5, p.1456-1464. 

  25. Lalhruaitluanga, H., Jayaram, K., Prasad, M.N.V. and Kumar, K.K. (2010) Lead(II) adsorption from aqueous solutions by raw and activated charcoals of Melocanna baccifera Roxburgh (bamboo)-A comparative study. J. Hazard. Mater., v.175, p.311-318. 

  26. Lee, J., Kim, T. and Lee, M. (2018) The uranium removal in groundwater by using the bamboo charcoal as the adsorbent. Econ. Environ. Geol., v.51, p.531-542. 

  27. Li, X., Ding, C., Liao, J., Lan, T., Li, F., Zhang, D., Yang, J., Yang, Y., Luo, S., Tang, J. and Liu, N. (2014) Biosorption of uranium on Bacillus sp. dwc-2: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mechanism. J. Environ. Radioact., v.135, p.6-12. 

  28. Lin, Y.Z., Hwang G.S. and Wang I.S. (2003) Introduction to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bamboo charcoal. Forest Tech. Report., v.10 (3), p.31. 

  29. Liu, X., Ao, H., Xiong, X., Xiao, J. and Liu, J. (2012) Arsenic removal from water by iron-modified bamboo charcoal. Water. Air. Soil Pollut., v.223, p.1033-1044. 

  30. Lo, S.F., Wang, S.Y., Tsai, M.J. and Lin, L.D. (2012) Adsorption capacity and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 ions by Moso and Ma bamboo activated carbons. Chem. Eng. Res. Des., v.90, p.1397-1406. 

  31. Majidnia, Z. and Idris. A. (2015) Evaluation of cesium removal from radioactive wastewater using maghemite PVA-alginate beads. Chem. Eng. J., v.262, p.372-282. 

  32. Mbareck, C., Nguyen, Q.T., Alaoui, O.T. and Barillier, D. (2009) Elabora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polysulfone and polyacrylic acidblends as ultrafiltration membranes for removal of some heavy metals from water. J. Hazard. Mater., v.171, p.93-101. 

  33. Ofomaja, A.E., Pholosi, A. and Naido, E.B. (2015) Application of raw and modified pine biomass material for cesium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 Ecol. Eng., v.82, p.258-266. 

  34. Ohta, T., Mahara, Y., Kubota, T., Fukutani, S., Fujuwara, K., Takamiya, K., Yoshinaga, H., Mizuochi, H. and Igarashi, T. (2012) Predic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with 137Cs and 131I from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in the Kanto district. J. Environ. Radioact., v.111, p.38-41. 

  35. Park, S.M., Alessi, D.S. and Baek, K. (2019) Selective adsorption and irreversible fixation behavior of cesium onto 2:1 layered clay mineral: A mini review. J. Hazard. Mater., v.369, p.569-576. 

  36. Rahayu, N.W.S.T., Park, J., Yang, M., Wang, S. and Lee, M. (2020) Cesium removal from a water system using a polysulfone carrier containing nitric acid-treated bamboo charcoal. J. Environ. Radioact., In press. 

  37. Seaton, K., Little, L., Tate, C., Mohseni, R., Roginskaya, M., Povazhniy, V. and Vasiliev, A. (2017) Adsorption of cesium on silica gel containing embedded phosphotungstic acid.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p.55-56. 

  38. Shokri, E., Yegani, R., Pourabbas, B. and Kazemian, N. (2016)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ulfone/organoclay adsorptive nanocomposite membrane for arsenic removal from contaminated water. Appl. Clay Sci., v.132-133, p.611-620. 

  39. Tan, Z., Niu, G. and Chen, X. (2015). Removal of elemental mercury by modified bamboo carbon. Chin. J. Chem. Eng., v.23, p.1875-1880. 

  40. Tao, Q., Zhang, X., Prabaharan, K. and Dai, Y. (2019) Separation of cesium from wastewater with copper hexacyanoferrate film in an electrochemical system driven by microbial fuel cells. Bioresour. Technol., v.278, p.456-459. 

  41. Tran, H.N., You, S.J,, Bandegharaei, A.H. and Chao, H.P. (2017) Mistakes and inconsistencies regarding adsorption of contaminants from aqueous solutions: A critical review. Water Res., v.120, p.88-16 

  42. Wang, J. and Zhuang, S. (2020) Cesium separation from radioactive waste by extraction and adsorption based on crown ethers and calixarenes. Nucl. Eng. Technol., v.52, p.328-336. 

  43. Wang, J., Zhuang, S. and Liu, Y. (2018) Metal hexacyanoferrates-based adsorbents for cesium removal. Coord. Chem. Rev., v.374, p.430-438. 

  44. Wang, Y., Wang, X., Wang, X., Liu, M., Yang, L., Wu, Z., Xia, S. and Zhao, J. (2012) Adsorption of Pb(II) in aqueous solutions by bamboo charcoal modified with $KMnO_{4}$ via microwave irradiation. Colloids Surf. A: Physicochem. Eng. Asp., v.414, p.1-8. 

  45. Wang, S.Y., Tsai, M.H., Lo, S.F. and Tsai, M.J. (2008) Effects of manufacturing conditions on the adsorption capacity of heavy metal ions by Makino bamboo charcoal. Bioresource Technology, v.99, p.7027-7033. 

  46. WNA (World Nuclear Association). (2017) Fact and figures in reactor database. Annual Report (by https://www.world-nuclear.org/information-library). 

  47. Yang, H., Li, H., Zhai, J., Sun, L., Zhao, Y. and Yu, H. (2014) Magnetic prussian blue/graphene oxide nanocomposites caged in calcium alginate microbeads for elimination of cesium ions from water and soil. Chem. Eng. J., v.246, p.10-19. 

  48. Zhang, J.F., Yang, L.R., Dong, T.T., Pan, F., Xing, H.F. and Liu, H.Z. (2018) Kinetics-Controlled Separation Intensification for Cesium and Rubidium Isolation from Salt Lake Brine. Ind. Eng. Chem. Res., v.57, p.4399-4406. 

  49. Zhao, C., Liu, J., Li, X., Li, F., Tu, H., Sun, Q., Liao, J., Yang, J., Yang, Y. and Liu, N. (2016) Biosorption and bioaccumulation behavior of uranium on Bacillus sp. dwc-2: investigation by box-Behenken design method. J. Mol. Liq., v.221, p.156-165. 

  50. Zheng, X., Dou, J., Yuan, J., Qin, W., Hong, X. and Ding, A. (2017) Removal of $Cs^+$ from water ands oil by ammonium-pillaredmontmorillonite/Fe3O4 composite. J. Environ. Sci., v.56, p.12-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