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염수계 내 세슘 제거를 위한 대나무 활성탄의 흡착효율 규명
Sorption Efficiency of the Bamboo Charcoal to Remove the Cesium in the Contaminated Water System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1 no.2, 2018년, pp.87 - 97  

안정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이민희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슘은 물속에서 고상보다는 이온이나 착염 등 용존 형태로 존재하는 특성이 강하여, 오염 수계로부터 세슘 제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많은 연구들이 수계 내에서 세슘의 제거효율이 높은 흡착제를 개발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하여 수계 내에 존재하는 세슘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용액으로부터 대나무 활성탄의 세슘 제거효율을 측정하고, 최적의 세슘 제거능을 가지는 흡착 조건을 도출하고자 다양한 조건에서 흡착 배치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5 종류의 대나무 활성탄의 표면 특성을 SEM-EDS와 XRD 분석으로 규명하였으며, 이 중에서 비표면적이 큰 3 종류의 대나무 활성탄을 대상으로 세슘 제거 배치실험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초기 세슘 농도를 가지는 인공수(0.01~10 mg/L 범위)를 대상으로 대나무 활성탄에 의한 수용액 내 세슘 제거량을 측정하여 제거효율을 계산하였고, 두 종류의 흡착 등온식들을 흡착 배치실험 결과에 대응시켜 흡착 상수값을 결정함으로서, 대나무 활성탄의 세슘 흡착 특성을 규명하였다. FE-SEM 분석 결과, 대나무 활성탄은 표면이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대나무의 섬유질 조직을 그대로 유지하는 입자들로 구성되어, 이들 섬유질 조직 내 다양한 형태의 기공들과 엽상조직 표면들이 주요 세슘 흡착공간인 것으로 밝혀졌다. 흡착 배치실험 결과, C type 대나무 활성탄의 세슘 제거효율이 가장 높았는데, 특히 수용액의 세슘 초기 농도가 1.0 mg/L 이하인 경우에도 75 % 이상(최고 82 %)을 나타내어, 원전사고 등에 의해 오염된 현장 지하수나 지표수(해수 포함)의 세슘농도가 대부분 1.0 mg/L 이하임을 고려하면, 실제 오염수 정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밝혀졌다. 수용액의 온도는 $5-15^{\circ}C$ 범위, pH는 3-11 범위에서 높은 세슘 제거효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오염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흡착 배치실험 결과는 Langmuir 흡착모델과 유사하였으며, C type 대나무 활성탄의 최대흡착농도($q_m:mg/g$)값은 63.4 mg/g으로 기존의 상용화된 흡착제 값보다 높았고, 수용액의 초기 세슘 농도가 1.0 mg/L이하인 경우 표면흡착률(surface coverage) 값도 낮게 유지되어, 적은 양의 세슘으로 오염된 수계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esium (Cs) removal from the contaminated water system has been considered to be difficult because the cesium likes to exist as soluble phases such as ion and complexes than the solid in water system. Many researches have focused on developing the breakthrough adsorbent to increase the cesium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나무 활성탄의 세슘 제거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흡착 실험 결과를 대표적 흡착등온식인 Langmuir 등온식과 Freundlich 등온식에 대응시켜, 수용액으로부터 세슘이 제거되는 주요 기작이 대나물 활성탄의 흡착기작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초기 세슘 농도 범위가 0.
  •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성세슘의 제거효율이 높은 동시에, 독성이 낮은 친환경 물질인 대나무 활성탄의 세슘 흡착능을 실내 실험을 통하여 규명함으로서, 수계 내 새로운 세슘처리 기술을 개발을 위한 정량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내 배치실험을 통하여 대나무 활성탄의 세슘 제거 효율을 계산하고, 제거 가능한 수계의 세슘 농도 범위와 최적의 세슘 제거 조건을 제시하며, 다양한 지화학적/광물학적 분석과 흡착등온선의 흡착 상수값을 구하여 대나무 활성탄의 세슘 흡착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세슘으로 오염된 수계를 정화하는데 친환경 흡착제인 대나무 활성탄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성세슘의 제거효율이 높은 동시에, 독성이 낮은 친환경 물질인 대나무 활성탄의 세슘 흡착능을 실내 실험을 통하여 규명함으로서, 수계 내 새로운 세슘처리 기술을 개발을 위한 정량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내 배치실험을 통하여 대나무 활성탄의 세슘 제거 효율을 계산하고, 제거 가능한 수계의 세슘 농도 범위와 최적의 세슘 제거 조건을 제시하며, 다양한 지화학적/광물학적 분석과 흡착등온선의 흡착 상수값을 구하여 대나무 활성탄의 세슘 흡착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세슘으로 오염된 수계를 정화하는데 친환경 흡착제인 대나무 활성탄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 와 1/n은 흡착능(adsorption capacity)과 흡착강도(adsorption intensity)를 나타내는 Freundlich 상수이다. 위 과정들에 의해 결정된 흡착등온식의 상수 값으로부터 대나무 활성탄의 세슘 최대 흡착능과 세슘에 대한 흡착 친화도를 평가하고, 대나무 활성탄을 흡착제로 활용할 수 있는 수용액의 초기 세슘 농도 범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1의 실험 조건과 동일하다. 위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세슘 제거 효율을 나타내는 대나무 활성탄의 흡착 조건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s-137에 의한 방사능 피해 주로 무엇 때문인가? Ba137m은 강한 감마(γ)선을 내며 반감기가 2.55일인 안정한 Ba-137이 되는데, Cs-137에 의한 방사능 피해는 주로 Ba-137m에서 나오는 감마선 때문이다(USG et al., 2017).
세슘-137 원자핵이 베타(β−)붕괴를 거치면 어떤 것으로 전환되는가? 원자력 발전과정에서 주요 핵연료인 우라늄이나 플루토늄이 중성자를 흡수하여 분열되면 분자량이 작은 여러 방사성원자들이 생성되는데, 핵분열 생성물 중 장시간 동안 주변 환경에 큰 위험을 끼치는 방사성 핵종 중의 하나가 반감기가 약 30년인 세슘-137(이후로는 “Cs-137”로 표기)이다(Gad and Pham, 2014). Cs-137 원자핵은 베타(β−)붕괴를 거쳐 질량수는 같으나 원자번호가 하나 더 큰 바륨(Ba) 원자핵으로 전환되는데, 이 때 생성되는 바륨 원자핵의 95 %는 준안정 상태인 Ba-137m이다. Ba137m은 강한 감마(γ)선을 내며 반감기가 2.
세슘의 특징은 무엇인가? 세슘은 수용액상에서 다른 음이온과 착화물을 잘 형성하지 않아 대부분 양이온(Cs+) 상태로 안전하게 존재하여, 자연수 중의 pH 또는 이산화탄소 농도 등의 변화에 의해 다른 화학종으로 쉽게 바뀌지 않는다(Butterman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charya, J., Sahu, J.N., Mohanty, C.R., Meikap, B.C. (2009) Removal of lead (II) from wastewater by activated carbon developed from Tamarind wood by zinc chloride activation. Chem. Eng. J., v.149, p.249-262. 

  2. Adachi, K., Kajino, M., Zaizen, Y. and Igarashi, Y. (2013) Emission of spherical cesium bearing particles from an early stage of the Fukushima unclear accident. Sci. Rep., v.3, p.2554. 

  3. Avery, S.V. (1996) Fate of cesium in the environment : Distribution between the abiotic and biotic components of aquatic and terrestrial ecosystem. J. Environ. Radioact., v.30, p.139-171. 

  4. Buesseler, K.O. (2014) Fukushima and ocean radioactivity. Oceanography, v.27, p.92-105. 

  5. Butterman, W.C., Brooks, W.E. and Reese, R.G. (2004) Mineral Commodity Profile: Cesiu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2004-1432 (by http://pubs.usgs.gov/of/2004/1432/2004-1432.pdf). 

  6. Ding, D., Zhang, Z., Chen, R. and Cai, T. (2017) Selective removal of cesium by ammonium molybdophosphatepolyacrylonitrile bead and membrane. J. Hazard. Mater., v.324, p.753-761. 

  7. Ding, S., Yang, Y., Li, C., Huang, H. and Hou, L. (2016) The effects of organic fouling on the removal of radionuclides by reverse osmosis membranes. Water Res., v.95, p.174-184. 

  8. Gad, S.C. and Pham, T. (2014) Cesium, Encyclopedia of Toxicology (3rd ed.), Elsevier, 776-778 (by https:// doi.org/10.1016/B978-0-12-386454-3.00827-7). 

  9. Hashimoto, S., Matsuura, T., Nanko, K., Linkow, I., shaw, G. and Kaneko, S. (2013) Predicted spatio-temporal dynamics of radioactive cesium deposited onto forests following the Fukushima unclear accident. Sci. Rep., v.3, p.2564. 

  10. Ho, Y.S., Huang, C.T. and Huang, H.W. (2002) Equilibrium sorption isotherm for metal ions on tree fern. Process Biochem., v.37, p.1421-1430. 

  11. Kato, H., Onda, Y. and Teramage, M. (2012) Depth distribution of $^{137}Cs$ , $^{134}Cs$ , and $^{131}I$ in soil profile after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J. Environ. Radioact., v.111, p.59-64. 

  12. Khandaker, S., Kuba, T., Kamida, S. and Uchikawa, Y. (2017) Adsorption of cesium from aqueous solution by raw and concentrated nitric acid-modified bamboo charcoal. J. Environ. Chem. Eng., v.5, p. 1456-1464. 

  13. Khandaker, S., Toyohara, Y., Kamida, S., Kuba, T. (2018) Adsorptive removal of cesium from aqueous solution using oxidized bamboo charcoal. Water Resour. Ind., v.19, p.35-46. 

  14. KHNP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2016) 2015 Nuclear Power Generation. Annual Report. 

  15. Kitamura, A., Yamaguchi, M., Kurikami, H., Yui, M. and Onishi, Y. (2014) Predicting sediment and cesium-137 discharge from catchments in eastern Fukushima. Anthropocene, v.5, p.22-31. 

  16. Lai, Y.C., Chang, Y.R., Chen, M.L., Lo, Y.K., Lai, J.Y. and Lee, D.J. (2016) Poly(vinyl alcohol) and alginate crosslinked matrix with immobilized Prussian blue and ion exchange resin for cesium removal from waters. Bioresour. Technol., v.214, p.192-198. 

  17. Lalhruaitluanga, H., Jayaram, K., Prasad, M.N.V. and Kumar, K.K. (2010) Lead (II) adsorption from aqueous solutions by raw and activated charcoals of Melocanna baccifera Roxburgh (bamboo) - A comparative study. J. Hazard. Mater., v.175, p.311-318. 

  18. Lee, K.Y., Kim, K.W., Park, M., Kim, J., Oh, M., Lee, E.H., Chung, D.Y. and Moon, J.K. (2016) Novel application of nanozeolite for radioactive cesium removal from high-salt wastewater. Water Res., v.95, p.134-141. 

  19. Montana, M., Camacho, A., Serrano, I., Devesa, R., Matia, L. and Valles, I. (2013) Removal of radionuclides in drinking water by membrane treatment using ultrafiltration, reverse osmosis and electrodialysis reversal. J. Environ. Radioact., v.125, p.86-92. 

  20. Moon, J., Chung, D., Choi, W., Choi, B., Seo, B. and Lee, G. (2012) The study to establish the strategies responding to the demand of decontamination and disassembly technology for nuclear power facility. KAERI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Final Report. 

  21. Nilchi, A., Atashi, H., Javid, A. H. and Saberi, R. (2007) Preparation of PAN-based adsorbers for separation of cesium and cobalt from radioactive wastes. Appl. Radiat. Isotopes, v.65, p.482-487. 

  22. Nishita, H., Dixon, D. and Larson, K.H. (1962) Accumulation of Cs and K and growth of bean plants in nutrient solution and soils. Plant and Soil, v.17, p.221-242. 

  23. Park, J. (2011) Cesium-137 in Chemistry promenade, Navercast (by navercast.naver.com/). 

  24. Park, Y. T. (2007) Activated carbon technology, DongHwa Technology Publishing Co., Korea. 

  25. Rao, S. V. S., Lal, K. B., narasimhan, S. V. and Ahmed, J. (1999) Copper ferrocyanide - polyurethane foam as a composite ion exchanger for removal of radioactive cesium. J. Radioanal. Nucl. Chem., v.240, p.269-276. 

  26. Tateda, Y., Tsumune, D. and Tsubono, T. (2013) Simulation of radioactive cesium transfer in the southern Fukushima coastal biota using a dynamic food chain transfer model. J. Environ. Radioact., v.124, p.1-12. 

  27. USG (U.S. Government), NRC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ATSDR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2017) Part 1: Cesium-130 in Radionuclide and radioisotrope encyclopedia, Progressive Management Publications. 

  28. Wang, S.Y., Tsan, M.H., Lo, S.F., Tsai, M. J. (2008) Effects of manufacturing conditions on the adsorption capacity of heavy metal ions by Makino bamboo charcoal. Bioresour. Technol., v.99, p. 7027-7033. 

  29. WNA (World Nuclear Association) (2017) Nuclear share figures in Nuclear generation by country. Annual Report (by http://www.world-nuclear.org/infomationlibrary). 

  30. Yang, H., Li, H., Zhai, J., Sun, L., Zhao, Y. and Yu, H. (2014) Magnetic prussian blue/grapheme oxide nanocomposites caged in calcium alginate microbeads for elimination of cesium ions from water and soil. Chem. Eng. J., v.246, p.10-19. 

  31. Zheng, H., Wang, Y., Zheng, Y., Zhang, H., Liang, S., Long, M.I. (2008) Equilibrium, kinetic and thermodynamic studies on the sorption of 4-hydroxyphenol on Crbentonite. Chem. Eng. J., v.143, p.117-1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