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리 질화막을 이용한 구리 접합 구조의 접합강도 연구
Bonding Strength Evaluation of Copper Bonding Using Copper Nitride Layer 원문보기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 학회지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v.27 no.3, 2020년, pp.55 - 60  

서한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나노IT융합공학전공) ,  박해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기계공학과) ,  김가희 (안동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박영배 (안동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김사라은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나노IT융합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참단 반도체 패키징 기술은 고성능 SIP(system in packaging) 구조로 발전해 가고 있고,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 구리 대 구리 접합은 가장 핵심적인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구리 대 구리 접합 기술은 아직 구리의 산화 특성과 고온 및 고압력 공정 조건, 등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르곤과 질소를 이용한 2단계 플라즈마 공정을 이용한 저온 구리 접합 공정의 접합 계면 품질을 정량적 접합 강도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2단계 플라즈마 공정은 구리 표면에 구리 질화막을 형성하여 저온 구리 접합을 가능하게 한다. 구리 접합 후 접합 강도 측정은 4점 굽힘 시험법과 전단 시험법으로 수행하였으며, 평균 접합 전단 강도는 30.40 MPa로 우수한 접합 강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cent semiconductor packaging technology is evolving into a high-performance system-in-packaging (SIP) structure, and copper-to-copper bonding process becomes an important core technology to realize SIP. Copper-to-copper bonding process faces challenges such as copper oxidation and high tempera...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는 구리 접합된 웨이퍼의 SAT 측정 이미지와 접합 단면의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2단계 플라즈마 공정으로 구리 질화막을 형성하고, 구리 질화막을 이용하여 구리 접합을 하는 과정은 이미 보고하였고,10) 본 논문에서는 구리 질화막을 이용하여 구리 접합한 시편을 이용하여 계면의 접합 강도를 분석하였다.
  • 4점 굽힘 시험은 7개의 60 mm × 5 mm 시편으로 반복 측정하였고, 전단 시험은 10개의 2 mm × 2 mm 시편으로 반복 측정하였다.
  • 다음으로, 전단 시험을 이용하여 구리 접합 시편의 접합 강도를 측정을 실시하였다. 시편은 Fig.
  • 구리 접합은 향후 반도체 산업에 핵심적인 시스템-인-패키징 구조와 미세 피치 배선(interconnect)을 실현하는데 필수적인 기술이다. 본 연구는 2단계 플라즈마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된 저온 구리 대 구리 접합의 접합 계면 품질을 정략적으로 분석하는 접합 강도에 중점을 두었다. 접합 강도는 4점 굽힘 시험법과 전단 시험법을 이용하여 진행하였고, 4점 굽힘 시험법의 경우 접합 계면이 우수하여 접합 계면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아 계면 에너지를 확보하지 못하였고, 전단 시험법의 경우 구리 계면이 박리되면서 접합 전단 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구리 표면에 구리 질화막 패시베이션을 형성한 후 저온 구리 접합접합을 진행하였다. 구리 질화막 패시베이션은 아르곤과 질소 플라즈마를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2단계 플라즈마 처리 공정을 이용하였으며, 접합접합 공정 후 접합접합 계면의 접합 강도를 4점 굽힘 시험법(4 point bending test, 4PB)과 전단 시험법(shear test)을 통해 분석하였다.
  • 산화된 실리콘 기판 위에 RF 스퍼터링 공정으로 50 nm 두께의 Ti 박막과 1 µm 두께의 구리 박막을 순차적으로 증착하였고, 박막 증착은 2500 W의 전력과 5 mTorr의 압력 하에서 80 sccm의 아르곤 가스 유량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 시편은 Fig. 5에서 보듯이 구리 접합된 웨이퍼를 2 mm × 2 mm의 크기로 절단 후 접합 계면의 아랫부분 실리콘 시편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윗부분 실리콘 시편을 툴 팁으로 밀어내어 파괴 힘(failure force)을 측정하였고, Fig. 6과 같은 힘과 시간의 측정 결과에서 얻어진 최대 힘을 시편의 면적으로 나누어 접합 계면의 전단 강도(shear strength)를 계산하였다.
  • 이후 구리 시편은 아르곤과 질소의 2단계 플라즈마 공정을 거치게 된다. 아르곤 플라즈마 공정은 스퍼터 챔버 내에서 100 W의 RF 전력, 7.5 mTorr의 압력, 그리고 150 sccm 유량의 아르곤 가스 환경에서 30초 동안 진행되었고, 질소 플라즈마 공정은 26 W의 RF 전력, 4.6 mTorr의 압력, 그리고 45 sccm 유량의 질소 가스 환경에서 113초동안 진행하였다. 2단계 플라즈마 공정을 거친 두 장의 웨이퍼는 SUSS Microtec (SB 8e) 웨이퍼 접합 장비에서 접합되었다.
  • 접합된 구리 시편의 접합 풀질은 초음파 탐상 검사 시스템(scanning acoustic tomography, SAT)과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통해 먼저 확인한 후 4점 굽힘 시험법(4 point bending test, 4PB)과 전단 시험법(shear test)을 통해서 접합 강도를 분석하였다. 4점 굽힘 시험은 7개의 60 mm × 5 mm 시편으로 반복 측정하였고, 전단 시험은 10개의 2 mm × 2 mm 시편으로 반복 측정하였다.
  • 2단계 플라즈마 공정을 거친 두 장의 웨이퍼는 SUSS Microtec (SB 8e) 웨이퍼 접합 장비에서 접합되었다. 접합은 300℃ 접합온도, 700 kPa 접합압력, 그리고 진공환경에서 1 시간 동안 열-압축(thermo-compression) 방법으로 진행하였고, 바로 2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였다. 시편 제작 순서는 Fig.

대상 데이터

  • 시편은 Fig. 3에서 보듯이 구리 접합된 웨이퍼를 60 mm × 5 mm의 크기로 절단 후 한쪽 실리콘 시편의 중앙부분에 600 µm 깊이의 노치(notch)를 제작하여 준비하였다.

데이터처리

  • Fig. 8은 10개의 구리 접합 시편들의 접합 전단 강도 결과를 보여주고 있고, 2단계 플라즈마 공정을 진행하지 않은 시편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2단계 플라즈마 공정을 진행하지 않은 시편들의 평균 접합 전단 강도는 18.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는 구리 표면에 구리 질화막 패시베이션을 형성한 후 저온 구리 접합접합을 진행하였다. 구리 질화막 패시베이션은 아르곤과 질소 플라즈마를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2단계 플라즈마 처리 공정을 이용하였으며, 접합접합 공정 후 접합접합 계면의 접합 강도를 4점 굽힘 시험법(4 point bending test, 4PB)과 전단 시험법(shear test)을 통해 분석하였다. 4점 굽힘 시험법은 시편의 네 부분에 핀(pin)을 설치하고 하중(load)을 인가하여 접합 계면이 박리될 때의 에너지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얇은 박막 구조의 계면 에너지를 쉽게 측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D 패키징의 핵심 공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3D 패키징의 핵심 공정에는 웨이퍼 박막화(wafer thinning), 관통실리콘비아(through silicon via, TSV) 형성, 칩 또는 웨이퍼 접합접합 기술이 있다.4,5) 이 중 구리를 이용한 접합접합은 3D 패키징의 미세 피치 배선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구리 대 구리 접합 기술에서 해결해야할 문제점은? 최근 참단 반도체 패키징 기술은 고성능 SIP(system in packaging) 구조로 발전해 가고 있고,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 구리 대 구리 접합은 가장 핵심적인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구리 대 구리 접합 기술은 아직 구리의 산화 특성과 고온 및 고압력 공정 조건, 등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르곤과 질소를 이용한 2단계 플라즈마 공정을 이용한 저온 구리 접합 공정의 접합 계면 품질을 정량적 접합 강도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구리 접합접합 공정 중 하이브리드 접합접합은 어떤 공정인가? 7) 이에 다양한 구리 접합접합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었고, 대표적인 기술로는 구리 표면에 금속 패시베이션(passivation) 코팅 후 접합접합하는 기술,8) alkanethiol과 같은 유기물질로 초박형 자기조합단층박막(self-assembled monolayer)을 형성한 후 접합접합하는 기술,9) 플라즈마로 구리질화막 패시베이션 형성 후 접합접합하는 기술,10) 금속 또는 용매 재료로 구리 나노 구조를 감싸 산화를 차단함으로써 저온에서 구리 나노 구조를 접합접합하는 기술,11,12) 구리 박막의 기계적 응력 특성을 제어한 후 접합접합하는 기술,13) (111) 결정방향을 가지는 구리 박막을 형성 후 접합접합하는 기술,14) 산성 기체 및 용액15) 또는 조명 조사를16) 통해 구리 표면을 처리하여 확산 특성을 향상시켜서 접합접합하는 기술 등이 있다. 현재 소니 image sensor 등 일부 대량생산에 적용되고 있는 DBI (direct bonding interconnect) 접합접합은 저온에서 매우 낮은 압력으로 SiO2와 구리를 동시에 접합접합하는 하이브리드 접합접합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 Karnezos, "3D packaging: where all technologies come together", Proc. IEEE/CPMT International Electronics Manufacturing Technology (IEMT) Symposium, San Jose, CA, USA, IEEE (2004). 

  2. E. Beyne, "3D system integration technologies", Proc. International Symposium on VLSI Technology, Systems and Applications, Honoluou, HI, USA, IEEE (2006). 

  3. S. Das, A. P. Chandrakasan, and R. Reif, "Calibration of Rent's rule models for three-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s", IEEE T. VLSI Syst., 12(4), 359 (2004). 

  4. S. W. Yoon, D. W. Yang, J. H. Koo, M. Padmanathan, and F. Carson, "3D TSV processes and its assembly/packaging technology", Pro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3D System Integration (3DIC), San Francisco, CA, USA, IEEE (2009). 

  5. T. Ohba, N. Maeda, H. Kitada, K. Fujimoto, K. Suzuki, T. Nakamura, A. Kawai, and K. Arai, "Thinned wafer multistack 3DI technology", Microelectron. Eng., 87(3), 485 (2010). 

  6. A. Fan, A. Rahman, and R. Reif, "Copper wafer bonding", Electrochem. Solid-State Lett., 2(10), 534 (1999). 

  7. S. G. Kang, J. Lee, E. S. Kim, N. Lim, S. Kim, S. Kim, and S. E. Kim, "Fabrication and Challenges of Cu-to-Cu Wafer Bonding", J. Microelectron. Packag. Soc., 19(2), 29 (2012). 

  8. Y. P. Huang, Y. S. Chien, R. N. Tzeng, M. S. Shy, T. H. Lin, K. H. Chen, C. T. Chiu, J. C. Chiou, C. T. Chuang, W. Hwang, H. M. Tong, and K. N. Chen, "Novel Cu-to-Cu Bonding with Ti Passivation at 180 ?C in 3-D Integration", IEEE Electr. Device L., 34(12), 1551 (2013). 

  9. C. S. Tan, D. F. Lim, S. G. Singh, S. K. Goulet, and M. Bergkvist, "Cu-Cu diffusion bonding enhancement at low temperature by surface passivation using self-assembled monolayer of alkane-thiol", Appl. Phys. Lett., 95(19), 192108 (2009). 

  10. H. Park and S. E. Kim, "Two-Step Plasma Treatment on Copper Surface for Low-Temperature Cu Thermo-Compression Bonding", IEEE Trans. Comp. Packag. Manufac. Tech., 10(2), 332 (2020). 

  11. J. Li, Q. Liang, T. Shi, J. Fan, B. Gong, C. Feng, J. Fan, G. Liao, and Z. Tang, "Design of Cu nanoaggregates composed of ultra-small Cu nanoparticles for Cu-Cu thermocompression bonding", J. Alloys Compd., 772, 793 (2019). 

  12. Z. Liu, J. Cai, Q. Wang, Z. Wang, L. Liu, and G. Zou, "Thermal-stable void-free interface morphology and bonding mechanism of low-temperature Cu-Cu bonding using Ag nanostructure as intermediate", J. Alloys Compd., 767, 575 (2018). 

  13. A. K. Panigrahi, T. Ghosh, C. H. Kumar, S. G. Singh, and S. R. K. Vanjari, "Direct, CMOS In-Line Process Flow Compatible, Sub 100 $^{\circ}C$ Cu-Cu Thermocompression Bonding Using Stress Engineering", Electron. Mater. Lett., 14(2), 328 (2018). 

  14. C. -H. Tseng, K. N. Tu, and C. Chen, "Comparison of oxidation in uni-directionally and randomly oriented Cu films for low temperature Cu-to-Cu direct bonding", Sci. Rep., 8(1), 10671 (2018). 

  15. W. Yang, Y. Lu, C. Zhou, J. Zhang, and T. Suga, "Study of Cu Film Surface Treatment Using Formic Acid Vapor/Solution for Low Temperature Bonding", J. Elec. Soc., 165(4), H3080 (2017). 

  16. S. -Y. Liang, J. -M. Song, S. -K. Huang, Y. -T. Chiu, D. Tarng, and C. -P. Hung, "Light enhanced direct Cu bonding for advanced electronic assembly", J. Mater. Sci., 29(16), 14144 (2018). 

  17. H. Seo, H. Park, and S. E. Kim, "Cu-SiO2 Hybrid Bonding", J. Microelectron. Packag. Soc., 27(1), 17 (2020). 

  18. G. Kim, J. Lee, S. Park, S. Kang, T. S. Kim, and Y. B. Park, "Comparison of Quantitative Interfacial Adhesion Energy Measurement Method between Copper RDL and WPR Dielectric Interface for FOWLP Applications", J. Microelectron. Packag. Soc., 25(2), 41 (2018). 

  19. M. Charalambides, "Fracture mechanics specimen for interface toughness measurement", Journal of Applied Mechanics, 56(0), 77 (1989). 

  20. H. S. Park, H. K. Seo, M. Park, and S. E. Kim, "Development of CMOS-compatible low temperature Cu bonding optimized by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Proc. 70th Electronic Components and Technology Conference (ECTC), Orlando, FL, USA, IEEE (2020). 

  21. Z. Wu, J. Cai, Q. Wang, and J. Wang, "Low temperature Cu- Cu bonding using copper nanoparticles fabricated by high pressure PVD", AIP Advances, 7(3), 035306 (2017). 

  22. J. Li, X. Yu, T. Shi, C. Cheng, J. Fan, S. Cheng, G. Liao, and Z. Tang,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Cu-Cu Bonding by Highly Sinterable Cu Nanoparticle Paste", Nanoscale Res. Lett., 12, 255 (2017). 

  23. J. Li, Q. Liang, C. Chen, T. Shi, G. Liao, and Z. Tang, "Cu-Cu Bonding by Low-Temperature Sintering of Self-Healable Cu Nanoparticles", Proc. 69th Electronic Components and Technology Conference (ECTC), Las Vegas, NV, USA, IEEE (2019). 

  24. J. J. Li, C. L. Cheng, T. L. Shi, J. H. Fan, X. Yu, S. Y. Cheng, G. L. Liao, and Z. R. Tang, "Surface effect induced Cu-Cu bonding by Cu nanosolder paste", Mater. Lett., 184, 193 (2016). 

  25. R. He, M. Fujino, A. Yamauchi, Y. Wang, and T. Suga, "Combined surface activated bonding technique for low-temperature Cu/Dielectric hybrid bonding", ECS J. Solid State Sci. Technol., 5(7), 419 (2016). 

  26. C. S. Tan, L. Peng, H. Y. Li, D. F. Lim, and S. Gao, "Waferon-Wafer Stacking by Bumpless Cu-Cu Bonding and Its Electrical Characteristics", IEEE Elec. Dev. Lett., 32(7), 94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