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실시간 영상 기반 산불 추적 및 매핑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Forest Fire Tracking and GIS Mapping Base on Live Streaming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0, 2020년, pp.123 - 127  

조인제 (가톨릭 관동대학교 무인항공학과) ,  김규범 (가톨릭 관동대학교 무인항공학과) ,  박범순 (가톨릭 관동대학교 항공정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야간 중대형 산불의 전체적인 화선정보를 얻기 위하여 누락되는 산불에 대한 반복적인 임무비행과 임무수행 종료 후 획득되는 정사영상 정합에 대한 소요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실시간 동영상으로 산불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드론의 위치와 영상카메라의 각도정보, 지도상의 고도정보를 활용하여 판단된 산불위치를 계산하여 지도에 도시할 수 있는 지상통제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능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비행고도 별, 영상카메라의 지향하는 위치정보의 오차거리를 측정하였으며, 신뢰할 수 있는 범위내의 위치정보를 지도에 표시하였다. 본 논문에 개발된 기능으로 다수의 산불 발생위치를 실시간 식별이 가능하므로 산불 진화대책 수립을 위한 전체적인 화선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obtain the overall fire line information of medium and large forest fires at night, the ground control system was developed to determine whether forest fires occurred through real-time video clips and to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forest fires determined using the location of drones,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야간 산불영상에 대한 드론의 위치정보와 카메라 지향 각 정보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야간산불 발생위치 계산하여 지도에 도시하는 산불추적 프로그램을 소개하며. 그에 따른 성능평가를 기술한다.
  • 실제 촬영 위치(카메라 중심좌표)와 지도 매핑 위치(지도에 계산되어 표시되는 위치)의 차이를 계산하기 위한 공식이다. 위 계산식을 이용하여 카메라 뷰와 실제 지도 매핑된 위치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오차율을 측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불발생 위치추적 및 지도도시 프로그램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산불발생 위치추적 및 지도도시 프로그램은 지도상에 드론의 위치정보와 카메라의 지향정보를 나타내는 기능과 계산된 산불 발생위치를 지도에 나타내는 관제 프로그램과 실시간 영상을 수신하여 운용자가 산불탐지를 판별할 수 있는 영상 프로그램 두 가지로 구성된다[10,11].
실제 촬영 위치에서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하지만, 실제 촬영 위치는 카메라 뷰를 보고 임의의 지점을 선택하여 측정하게 되므로 정확한 값이 아닌 오차가 발생한다. 또한, 계산 수행 시 소수점 자릿수에 따른 거리 오차 발생, 지도 정보 제공업체(google, bingmap등)의 오차 등으로 인하여 계산식의 결과 또한 오차가 발생한다.
카메라의 지양각도를 변경 시 각도에 따른 거리오차가 가장 적을 때는 언제인가? 산불 발생위치를 판별하기 위해 카메라의 지양각도를 변경할 때 각도에 따른 거리오차가 발생한다. 카메라의 수직방향이 직 하방(90°)도 일 때 가장 적고 상하각도를 조절하여 수평(0°)도 일 때 가장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 S. Woo. (2016). Drone Forestry application pla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7. 

  2. I. K. Ha & Y. Z. Cho. (2017). A probabilistic search algorithm by hierarchical collaboration of drones.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276-277. 

  3. J. W. Kim & S. J. Kim. (2013). Development on Flight Control System for Long-Endurance UAV. Korea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KSAS) conference, 954-957. 

  4. J. W. Kim & S. J. Kim. (2006). Development of Pilot Bay for Smart UAV.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5(1). 

  5. S. H. Lee, D. H. Kim & K. H. Han. (2018). A Study on Control of Drone Swarms Using Depth Camera.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67(8), 1080-1088. DOI : 10.5370/KIEE.2018.67.8.1080 

  6. J. W. Choi, S. Min & H. W. Nam. (2017). Swarm UAV simulation through Mavlink message.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268-269. 

  7. D. M. Kim, B. G. Rhee, Y. A. Cho & J. G. Kim. (2017).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ll GCS for Drone control based on the MAVLink Protocol.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1550-1552. 

  8. S. T. Moon, Y. J. Choi, D. Y. Kim, M. H. Seung & H. C. Gong. (2016) Outdoor Swarm Flight System Based on RTK-GPS. Journal of KIISE 43(12), 1315-1324 DOI : 10.5626/JOK.2016.43.12.1315 

  9. S. T. Moon, D. Y. Kim & H. C.l Gong. (2017) Introduction of Improved Outdoor Swarming Flight System.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conference, 587-588 

  10. S. H. Lee & K. H. Han. (2017). Implementation of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for Drone Swarms Control.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66(1), 179-185. DOI : 10.5370/KIEE.2017.66.1.179 

  11. D. Y. Kim, S. T. Moon & H. C. Gong. (2017). Development of Outdoor Swarm Flight System with Multiple Drones.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conference, 776-779 

  12. G. H. Kim & Y. Z. Cho. (2018) A Stepwise Network Self-Recovery Scheme for Multi-drone Ad Hoc Network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43(1), 110-120 

  13. D. Y. Kim, S. T. Moon, Y. J. Choi & H. C. Gong. (2016). Control of Multiple Drone System Based on Multi-Transmitter Module.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conference, 890-89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