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철계 소결합금의 오스테나이트 안정성
Austenite Stability of Sintered Fe-based Alloy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7 no.5, 2020년, pp.414 - 419  

최승규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서남혁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전준협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손승배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이석재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ustenite stability of a sintered Fe-based nanocrystalline alloy. The volume fraction of austenite was measured based on the X-ray diffraction data of sintered Fe-based nanocrystalline alloys, which were prepared by high-energy ball milling and spark plasm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직 까지 다양한 합금조성의 철계 소결합금의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비교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열역학 계산과 기존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을 표현할 수 있는 수식들을 활용하여 철계 소결합금의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을 새롭게 정량적으로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철계 소결합금의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철계 소결합금의 상온 오스테나이트 분율은 Mn, Ni, C와 같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의 첨가량에 비례할 뿐만 아니라 소결합금의 나노결정립 효과에 의해 오스테나이트 안정성 증가 효과가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는 철계 소결합금에서 측정된 오스테나이트 분율을 분석하여 나노 수준의 결정립을 갖는 철계 소결합금의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아직 까지 다양한 합금조성의 철계 소결합금의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비교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순수한 철은 몇도에서 열역학적으로 오스테나이트와 페라 이트가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영역이 구분되는가? 일반적인 철계 합금에서 오스테나이트는 고온 안정상으로 냉각 중 페라이트로 상변태가 발생한다. 순수한 철의 경우 912℃를 경계로 열역학적으로 오스테나이트와 페라 이트가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영역이 구분된다[1].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알려진 C, Mn, Ni과 같은 합금 원소가 첨가될 경우 그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Fe-X 상태도 (X=C, Mn, Ni 등)에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2].
철계 소결합금의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연구의 결론은? 본 연구에서는 철계 소결합금의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철계 소결합금의 상온 오스테나이트 분율은 Mn, Ni, C와 같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의 첨가량에 비례할 뿐만 아니라 소결합금의 나노결정립 효과에 의해 오스테나이트 안정성 증가 효과가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열역학 계산과 기존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을 표현할 수 있는 수식들을 활용하여 철계 나노결정립소결합금의 마르텐사이트 시작 온도 예측 수식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된 수식은 밀링 조건이 동일할 때 합금원소에 따른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 기여를 보여주고 있다.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는? 순수한 철의 경우 912℃를 경계로 열역학적으로 오스테나이트와 페라 이트가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영역이 구분된다[1].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알려진 C, Mn, Ni과 같은 합금 원소가 첨가될 경우 그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Fe-X 상태도 (X=C, Mn, Ni 등)에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2]. 조성에 따라 상온에서 일부 혹은 모든 미세 조직이 오스테나이트인 합금이 개발되고 있는데, 실생활 에서 널리 사용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대표적이다[3,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 Chipman: Met. Trans., 3 (1972) 57. 

  2. H. K. D. H Bhadeshia: Steels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3rd ed. Elsevier, (2013). 

  3. G. S. Sun, L. X. Du, J. Hu and R. D. K. Misra: Mater. Sci. Eng. A, 709 (2018) 254. 

  4. Y. H. Kim, J. H. Kim, T. H. Hwang, J. Y. Lee and C. Y. Kang: Met. Mater. Int., 21 (2015) 485. 

  5. B. C. De cooman: Curr. Opin. Solid State Mater. Sci., 8 (2004) 285. 

  6. Y. Sakuma, O. Matsumura and H. Takechi: Mater. Trans. A, 22 (1991) 489. 

  7. J. Chiang, J. D. Boyd and A. K. Pilkey: Mater. Sci. Eng. A, 638 (2015) 132. 

  8. H. Hermawan, H. Alamdari, D. Mantovani and D. Dube: Powder Metal., 51 (2008) 38. 

  9. S. J. Oh, B. C. Kim, M. C. Suh, I. J. Shon and S. J. Lee: Arch. Metall. Mater., 64 (2019) 863. 

  10. D. Park, S. J. Oh, I. J. Shon and S. J. Lee: Arch. Metall. Mater. 63 (2018) 1479. 

  11. V. Hays, R. Marchand, G. Saindrenan and E. Gaffet: Nanostruct. Mater., 7 (1996) 411. 

  12. S. Lee, S. J. Lee, S. S. Kumar, K. Lee and B. C. De Cooman: Metal. Mater. Trans. A, 42 (2011) 3638. 

  13. M. Eskandari, A. Najafizadeh and A. Kermanpur: Mater. Sci. Eng. A, 519 (2009) 46. 

  14. S. Choi, J. Jeon, N. Seo, Y. H. Moon, I. J. Shon and S. J. Lee: Arch. Metall. Mater., 65 (2020) 1001. 

  15. S. J. Oh, D. Park, K. Kim, I. J. Shon and S. J. Lee: Mater. Sci. Eng. A, 725 (2018) 382. 

  16. S. J. Oh, J. Jun, I. J. Shon and S. J. Lee: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6 (2019) 389. 

  17. G. K. Williamson, W. H. Hall: Acta Metall., 1 (1953) 22. 

  18. K. W. Andrews: JISI., 203 (1965) 721. 

  19. S. J. Lee and K. S. Park: Metal. Mater. Trans. A, 44 (2013) 3423. 

  20. D. P. Koistinen and R. E. Marburger: Acta Metall., 7 (1959) 59. 

  21. S. J. Oh, I. J. Shon and S. J. Lee: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5 (2018) 1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