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해결과 무관한 정보처리 과정'(IRP)이 의사결정자의 개방성과 비즈니스 문제 해결 창의성 관계에 대해서 갖는 조절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Moderating Effects of 'Irrelevance Processing' (IR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cision-maker's Openness and Business Problem Solving Creativ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0, 2020년, pp.137 - 146  

원종윤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  이건창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래의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회사의 경영자의 고민은 커지는데, 이러한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핵심 열쇠로 창의성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즈니스 문제 해결 창의성(Business Problem Solving Creativity, BPSC)과 기업 의사결정자의 개방적 성향 간의 관계에 대해 확인하고, 주의력이 BPSC와 개방적 성향 간의 조절 효과를 갖는지 아이트래킹 기법으로 확인한다. 주의력 측정을 위해 '문제 해결과 무관한 정보처리 과정'(IRP)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의사결정자의 개방적 성향과 BPSC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기존의 창의성 연구와는 달리 주의력은 개방적 성향과 BPSC 간의 부의 조절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BPSC는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 환경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의사결정자의 창의적 능력이나 성과를 측정하는 행동과학 연구로 실무적 가치가 높다. 또한, 기업 의사결정자의 성향과 BPSC와의 상관성을 입증하여, BPSC 발현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경영학 창의성 연구에 기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Rrelevance Processing'(IR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cision maker's openness and business problem solving creativity (BPSC). In order to confirm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BPSC and openness, we developed the irrelevance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문제해결과 무관한 정보처리 과정을 실험 화면에 60초간 제시하며 5분간 과제물에 대한 답변으로 인지지도를 그리도록 하였다. 과제물의 경우 앞서 설명하였는데, 이는 경영 환경에서 직면할 수 있고 해결해야 하는 비즈니스 문제로 학생들에게 정확한 목적을 부여하고 구체적인 해결 방법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개방적 성향과 비즈니스 문제 해결 창의성 간에 주의력이 조절 효과를 갖는지 무관한 정보처리 과정을 통해 입증한다. 이를 위해 아이트래킹 기법을 사용했다.
  • 본 연구는 개방적 성향이 비즈니스 문제 해결 창의성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그리고 개방적 성향과 비즈니스 문제 해결 창의성 간에 심리적 메커니즘인 주의력이 조절 효과를 갖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실증적 검증을 위해 아이트래킹 기법을 사용하였고 핵심적 정보와 무관한 정보에 대한 시각적 처리가 가능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IoA(Interest of Area)의 영역 또한 같은 간격, 크기로 설정하여 측정의 객관성을 높였다. 본 연구는 문제 해결과 무관한 정보 처리 과정에서 바라보는 시간과 횟수에 따라 높은 수준의 주의력과 낮은 수준의 주의력을 갖는다고 말한다. 즉, 문제 해결과 무관한 정보처리 과정의 주변 이미지를 보는 시간이 길거나, 횟수가 많은 피 실험자는 높은 수준의 문제 해결과 무관한 정보처리 성향이 있 으며, 주의력이 낮다고 평가한다.
  • 본 연구는 의사결정자의 창의성이 기업의 혁신적 활동에 중요하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자의 비즈니스 문제 해결 창의성을 측정하고, 비즈니스 문제 해결 창의성 발현의 메커니즘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피실험자에게 위의 논의된 이론을 근거하여 설계된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이는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서 직면할 수 있는 상황이다.

가설 설정

  • 과제 : 당신에게 시간도, 자원도 부족한 상황에서 CEO가 (스마트폰의) 20가지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라고 명령을 하였다. 어떻게 할 것인가?
  • 둘째, 자원의 부족이다. 자원이 부족하면, 제품이 가진 전통적인 기능에 고착(functional fixedness) 되지 않기 때문에 창의적인 방식으로 제품을 사용한다.
  • 본 연구는 개방적 성향과 비즈니스 문제 해결 창의성 간의 상관성이 높을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이러한 예측을 바탕으로 주의력 (문제 해결과 무관한 정보 처리 과정)은 개방적 성향과 비즈니스 문제 해결 창의성 간의 정(+)의 조절 효과를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 BPSC의 기본 전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 적절성이다. 일반적 창의성은 다양한 상상과 독창성을 고려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창성이란? 독창성과 효과성은 창의성을 설명하는 일반적인 단어로, 독창성이란 새로운 것을 의미하며, 효과성은 아이디어나 제품의 유용함을 의미한다[20]. 독창성과 효과성의 차이점은 창의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하다.
창의성은 어떠한 자원인가? 일반적으로 창의성은 희귀하고 복제나 모방이 어려운 무형의 자원이다. 그렇기 때문에 창의성을 측정하는 것은 어렵고 복잡하다.
창의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창의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지금까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는데, 창의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정답을 요구하는 수렴적 사고(Convergent Thinking) 방법 그리고 둘째, 다양한 대답과 해결책을 제시하는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 방법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J. Chan, P. Siangliulue, D. Qori McDonald, R. Liu, R. Moradinezhad, S. Aman, E. Y. Solovey, K. Z. Gajos & S. P. Dow. (2017). Semantically far inspirations considered harmful? accounting for cognitive states in collaborative ideation. ACM SIGCHI Conference on Creativity and Cognition, 93-105. DOI : 10.1145/3059454.3059455 

  2. I. Goller & J. Bessant. (2017). Creativity for Innovation Management. Taylor & Francis. 

  3. R. Mehta & M. Zhu. (2016). Creating when you have less: The impact of resource scarcity on product use creativ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2(5), 767-782. DOI : 10.1093/jcr/ucv051 

  4. S. L. de Vasconcellos, I. L. Garrido & R. C. Parente. (2019). Organizational creativity as a crucial resource for building international business competence.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28(3), 438-449. DOI : 10.1016/j.ibusrev.2018.11.003 

  5. J. K. Ryu & K. C. Lee. (2018). Neuroscience-based Exploratory Approach to Measuring the Business Problem-solving Crea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SIAM(Search for Ideas Associative Memory) Model: Emphasis on fNIRS(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Method. Korean Management Review, 47(5), 1111-1137. DOI : 10.17287/kmr.2018.47.5.1111 

  6. S. Agnoli, G. E. Corazza & M. A. Runco. (2016). Estimating creativity with a multiple-measurement approach within scientific and artistic domain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8(2), 171-176. DOI : 10.1080/10400419.2016.1162475 

  7. N. Boot, M. Baas, S. van Gaal, R. Cools & C. K. De Dreu. (2017). Creative cognition and dopaminergic modulation of fronto-striatal networks: Integrative review and research agenda.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78, 13-23. DOI : 10.1016/j.neubiorev.2017.04.007 

  8. G. T. Dow & R. E. Mayer. (2004). Teaching students to solve insight problems: Evidence for domain specificity in creativity training.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6(4), 389-398. DOI : 10.1080/10400410409534550 

  9. E. L. Moorman & D. B. Samuel. (2018). Representing schizotypal thinking with dimensional traits: A case for the Five Factor Schizotypal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30(1), 19-30. DOI : 10.1037/pas0000497 

  10. M. A. Runco & R. S. Albert. (1985).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ideational originality in the divergent thinking of academically gifted and nongifted childre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5(3), 483-501. 

  11. M. A. Runco & R. S. Albert. (1986). The threshold theory regarding creativity and intelligence: An empirical test with gifted and nongifted children. Creative Child and Adult Quarterly, 11(4), 212-218. 

  12. S. H. Carson, J. B. Peterson & D. M. Higgins. (2005).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of the creative achievement questionnair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7(1), 37-50. DOI : 10.1207/s15326934crj1701_4 

  13. R. M. Milgram & E. Hong. (1999). Creative out-of-school activities in intellectually gifted adolescents as predictors of their life accomplishment in young adults: A longitudinal stud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2(2), 77-87. 

  14. P. T. Costa & R. R. McCrae. (1992). Professional manual: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and NEO five-factor inventory.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61. 

  15. T. M. Amabile, K. G. Hill, B. A. Hennessey & E. M. Tighe. (1994).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assess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5), 950. 

  16. Y. Gong, J. C. Huang & J. L. Farh. (2009). Employee learning orient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creative self-efficac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2(4), 765-778. DOI : 10.5465/amj.2009.43670890 

  17. R. R. McCrae & P. T. Costa Jr. (1997). Personality trait structure as a human universal. American Psychologist, 52(5), 509. 

  18. M. A. Runco, G. Dow & W. R. Smith. (2006). Information, experience, and divergent thinking: An empirical test.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8(3), 269-277. DOI : 10.1207/s15326934crj1803_4 

  19. J. Zhou & J. M. George. (2001).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s to creativity: 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voi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4), 682-696 

  20. D. K. Simonton. (2012). Quantifying creativity: can measures span the spectrum?.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14(1), 100. 

  21. M. A. Runco & G. J. Jaeger. (2012). The standard definition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4(1), 92-96. DOI : 10.1080/10400419.2012.650092 

  22. S. Carson (2014). Leveraging the "mad genius" debate: Why we need a neuroscience of creativity and psychopathology.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8, 771. DOI : 10.3389/fnhum.2014.00771 

  23. J. C. Kaufman & R. J. Sternberg. (2010).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M. L. Dixon, K. C. Fox & K. Christoff. (2014).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ly and internally directed cognition. Neuropsychologia, 62, 321-330. DOI : 10.1016/j.neuropsychologia.2014.05.024 

  25. M. S. Adil, M. N. Khan, I. Khan & M. A. Qureshi. (2018). Impact of leader creativity expectations on employee creativity: assessing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role of creative self-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Practice, 11(2), 171-189 

  26. D. Bridges & H. E. Schendan. (2019). Sensitive individuals are more creativ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42, 186-195. DOI : 10.1016/j.paid.2018.09.015 

  27. M. Batey & A. Furnham. (2006). Creativit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 critical review of the scattered literature.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132(4), 355-429. 

  28. J. Kasof. (1997). Creativity and breadth of attentio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0(4), 303-315. DOI : 10.1207/s15326934crj1004_2 

  29. S. H. Carson, J. B. Peterson & D. M. Higgins. (2003). Decreased latent inhibitio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creative achievement in high-functioning individu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3), 499. 

  30. N. C. Byrom, R. M. Msetfi & R. A. Murphy. (2018). Human latent inhibition: Problems with the stimulus exposure effect.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25(6), 2102-2118. 

  31. S. B. Kaufman, L. C. Quilty, R. G. Grazioplene, J. B. Hirsh, J. R. Gray, J. B. Peterson & C. G. DeYoung. (2016). Openness to experience and intellect differentially predict creative achievement in the arts and sciences. Journal of Personality, 84(2), 248-258. 

  32. A. Abraham, B. Rutter, T. Bantin & C. Hermann. (2018). Creative conceptual expansion: A combined fMRI replication and extension study to examine individual differences in creativity. Neuropsychologia, 118, 29-39. DOI : 10.1016/j.neuropsychologia.2018.05.004 

  33. A. Fink, C. Rominger, M. Benedek, C. M. Perchtold, I. Papousek, E. M. Weiss, A. Seidel & D. Memmert. (2018). EEG alpha activity during imagining creative moves in soccer decision-making situations. Neuropsychologia, 114, 118-124. DOI : 10.1016/j.neuropsychologia.2018.04.025 

  34. X. Yang, L. Lin, P. Y. Cheng, X. Yang & Y. Ren. (2019). Which EEG Feedback Works Better for Creativity Performance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The Reminder or Encouraging Feedbac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99, 345-351. 

  35. D. Y. Choi & K. C. Lee. (2016). Neuroscience Analysis Approach to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on Decision-Maker's Business Problem-Solving Creativity under Uncertainty. Korean Management Review, 45(4), 1147-1172. DOI : 10.17287/kmr.2016.45.4.1147 

  36. J. Chan, P. Siangliulue, D. Qori McDonald, R. Liu, R. Moradinezhad. S. Aman, E. T. Solovey, Z. G. Krzysztof & S. P. Dow. (2017). Semantically Far Inspirations Considered Harmful?: Accounting for Cognitive States in Collaborative Ideation. ACM SIGCHI Conference on Creativity and Cognition (pp. 93-105). 

  37. G. Saucier. (1994). Separating description and evaluation in the structure of personality attribu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1), 141. 

  38. S. Agnoli, L. Franchin, E. Rubaltelli & G. E. Corazz. (2015). An eye-tracking analysis of irrelevance processing as moderator of openness and creative performanc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7(2), 125-132. DOI : 10.1080/10400419.2015.1030304 

  39. N. Gupta, Y. Jang, S. C. Mednick & D. E. Huber. (2012). The road not taken: Creative solutions require avoidance of high-frequency responses. Psychological Science, 23(3), 288-29. 

  40. W. L. Lin & Y. W. Lien. (2013). The different role of working memory in open-ended versus closed-ended creative problem solving: a dual-process theory account.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5(1), 85-96. DOI : 10.1080/10400419.2013.752249 

  41. K. H. Kim. (2006). Can we trust creativity tests? A review of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TCT).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8(1), 3-14. DOI : 10.1207/s15326934crj1801_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