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잠재디리클레할당 분석을 이용한 '노인일자리' 관련 신문기사 토픽분석
Topic Modeling of Newspaper Articles on Government 'Senior job program' vi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0, 2020년, pp.537 - 546  

이소정 (남서울대학교 노인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적 논의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대표적인 대중매체인 신문기사에서 다루어지는 노인일자리 관련 주요 토픽들과 시계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뉴스 통합 데이터베이스인 빅카인즈에 수록된 11개 중앙지와 8개 경제지의 노인일자리사업 관련 기사 1107개에 대해 잠재디리클레할당 방법을 이용한 토픽분석을 실시해 언론 기사에 내재된 노인일자리사업의 잠재토픽을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일반적 정보전달, 지자체 사업 홍보, 노후생활, 고용효과, 시장연계 등 5개의 잠재토픽이 추출되었는데 2015년까지 대부분의 언론기사가 일반적 정보전달과 지자체 사업홍보에 국한되어 있어 노인일자리사업의 정체성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형성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던 반면 2015년 이후부터 노인일자리사업의 소득, 안전 등 노후생활 효과 관련 주제가 다루어지는 비중이 증가했으며 특히 문재인 정부 출범이후 고용효과와 관련된 기사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향후 노인일자리사업의 질적측면 및 고용효과 측면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과 고용프레임 이외의 대안적 프레임 제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tructure of social disussion on government 'Senior job program' by analyzing 1107 newspaper articles on 'senior job program' from 11 major newspaper articles and 8 financial newspapers. Topic modeling vi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model was employed for analysis and a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사회의 논의구조 및 그 변화의 흐름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노인일자리사업의 발전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특정 주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구조를 분석하는 작업은 양적·질적 차원을 넘나드는 복잡하고 심오한 주제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대중매체인 신문기사에서 다루어지는 노인일자리 관련 주요 토픽들과 시계열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서 시작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고 있는 노인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분석하기 위해 노인일자리를 검색어로 추출된 신문기사에 대한 토픽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노인실태조사”라는 기존 노인 대상 설문조사로 확인할 수 없는 온라인이라는 공론장에서 일어나는 사회 전반적인 여론을 분석하고자 한 연구로써 수동적인 정책의 수혜자에서 능동적인 정책의 수요자로 바뀌고 있는 담론구조를 도출했다.
  • 따라서 향후 노인일자리사업이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는 정책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전략 방향 가운데 선택하는 것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공익활동의 양적 확대 뿐만 아니라 질적 발전의 측면에서 적극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지속적인 고용창출과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는 것이다. 둘째, 노인일자리에 대한 관점을 ‘고용’의 프레임에서 이탈시키고 새로운 관점으로 조망하게 만들기 위한 노력이다.
  • 특정 주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구조를 분석하는 작업은 양적·질적 차원을 넘나드는 복잡하고 심오한 주제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대중매체인 신문기사에서 다루어지는 노인일자리 관련 주요 토픽들과 시계열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서 시작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토픽분석을 위해 다양한 분석기법이 활용될 수 있는데 잠재디리클레할당 모형(Latent Dirichlet Allocation model, 이하 LDA)은 가장 널리 알려진 모형이다. LDA모형의 기본 가정은 토픽분석에서 분석대상인 모든 문서는 말뭉치에 배속(embedded)되며 문서는 일련의 단어들의 집합이며 단어는 잠재된 특정 토픽을 나타내는 관측치라는 것이다. 이러한 가정에 기반해 LDA는 말뭉치를 구성하는 문서간 공기(co-occur)하는 단어 구조를 규명하는 확률모형이다[16-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일자리사업은 어떤 정책으로 도입되었는가? 이러한 가운데 2004년 노인일자리사업이 처음 도입되었다. 노인일자리사업은 공적 소득보장제도가 미비한 가운데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일을 통한 소득보전과 사회참여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정책으로 도입되었다. 2004년 도입당시 3만5천 여개의 노인일자리가 창출되었는데 이후 사업이 급격히 확대되어 2019년말 기준 약 64만개로 15년간 20배 이상 확대되었다.
노인 일자리사업이 도입된 목적은? 노인 일자리사업은 노인의 4苦를 해소하고 다가오는 고령사회를 맞이하여 우리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2004년에 도입되었다. 특히 국민연금 제도를 비롯한 노후소득보장 기제가 충분히 구축되지 않음으로 인해 우리사회는 OECD 국가 중 가장 심각한 노인빈곤 문제에 직면했다.
노인일자리사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수 있었던 배경을 설명하시오. 이처럼 노인일자리사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수 있었던 배경은 두 가지로 분석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IMF 외환위기 이후 우리 사회는 경제적·사회적으로 신자유주의적인 체질 전환의 과정을 겪게 되는데 동일한 맥락에서 복지정책 역시 공짜급여보다 일에 대한 대가로 제공되는 급여가 대중적인 공감을 얻게 된다. 이러한 변화와 급속도의 고령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확산은 ‘노인일자리’에 대한 당위성의 토대를 형성하게 되며 고령사회의 주요한 대응수단으로 여겨지게 된다. 두 번째는 노인일자리사업이 갖는 정치적 속성이다. 노인에 대한 부정적 발언으로 정치적 생명을 달리한 정치인의 사례는 익히 알려졌는데, 이러한 사례가 보여주듯 고령인구의 증가와 함께 노인들은 정치적 득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실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집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고령화의 주요 대응책으로 여겨지고 있는 노인일자리에 대한 축소는 정치권 및 정책입안자들에 의해 정치사회적 생명을 걸어야 하는 민감한 이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Kim. (2015). The Politics of Representing the Pain of Others : Regarding the Sewol Ferry Disaster, Media and Society, 23(4), 67-119. 

  2.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www.kordi.or.kr 

  3.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www.moleg.go.kr 

  4. G. Han & S. Yoon. (2007). Critical Review of Discourse on Aging in Korean Newspape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2), 299-322. 

  5. E. J. Kim. (2017). How Media Makes the Elderly into Welcoming Citizens in the Aged Society,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s, 61(3), 157-188. http://doi.org/10.20879/kjjcs.2017.61.3.005 

  6. B. H. Lee & G.Y. Kim. (2019). The Themes and Trends of Discourse on the Elderly in Korea Identified by Analyzing Social Media Big Data, Social Welfare Policy, 46(3), 17-201. 

  7. H.J. Oh & K.A. Shin. (2019). How does Korean News Media Cover News Stories of Older Adults? A Content Analysis of Korean News Articles Published After 2010, Journal of Public Relations, 23(4), 40-68. DOI: 10.15814/jpr.2019.23.4.40 

  8. J. M. Lee. & Y. S. Park. (2018). A frame analysis of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on the Moon Jae In Government's welfare policy and budget, Journal of Budget and Policy, 7(2), 51-80. 

  9. S.D. Yoo & J.S. Lee. (2017). Media Interest and Policy Decision of Child Welfare Issue : An Empirical Study on the Downs' Issue-Attention Cycle, Journal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13, 29-60. 

  10. I. K. Choi. (2012). Analysis on the types of the Reporting Behavior based on the Diffusion of Policy Issues : Focused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Basic Old Age Pension System, Journal of Regional Studies and Development, 21(1), 155-191. 

  11. Y. M. Kim. (2016). Discourse about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by the Press, Journal of Critical Social Policy, 53, 282-325. 

  12. Big Kinds, www.kinds.or.kr 

  13. Y. M. Baek. (2019). Text-Mining Using R : Hanul Academy. 

  14. Silge, J. & Robinson, D. (2017). Text Mining with R : A Tidy Approach : O'Reilly. 

  15. DiMaggio, P., M. Nag & D. Blei. (2013). Exploiting affinities between topic modeling and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on culture : Application to newspaper coverage of U.S. government arts funding, Poetics, 41, 570-606. http://dx.doi.org/10.1016/j.poetic.2013.08.004. 

  16. Blei, D.M., A. Ng, & M. Jordan. (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 993-1022. 

  17. Blei, D.M. & J. D. Lafferty. (2006). Dynamic topic models. In : Pohoreckhy, A., Bottou, L., & Littman, M.L.(ed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113-120. 

  18. Liu, L., L. Tang, W. Dong, S. Yao & W. Zhou. (2016). An overview of topic modeling and its current applications in bioinformatics, SpringerPlus, 5(1608), http://doi.org/10.1186/s40064-016-3252-8 

  19. McFarland, D.A., D. Ramage, J. Chuang, J. Heer, C.D. Manning & D. Jurafsky. (2013). Differentiating Language Usage Through Topic Models, Poetics, 41, 607-625. 

  20. Hall, D., D. Jurafsky. & C. Manning. (2008). Studying the history of ideas using topic models. In: Laputa, M., Ng, H.T.(Program Co-Chairs), Proceedings of the 2008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Stroudsburg, PA, 363-371. 

  21. B. R. Roh. & K. E. Yang. (2019). Text Mining Analysis of South Korea's Birth-rate Decline Issue in Newspaper Articles : Transition Patterns over 18 Yea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71(4), 154-176. 

  22. Sutherland, I., Y. Sim., S. K. Lee, J. Byun & K. Kiatkawsin. (2020). Topic Modeling of Online Accommodation Reviews vi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Susainability, 12(182). DOI: 10.3390/su120518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