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강현실 기술과 삼차원 튜토리얼 방식을 활용한 단계별 치아 형태 조각 실습 컨텐츠 개발과 관련된 융합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epwise Tooth Carving Practice Content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a Three-Dimensional Tutorial Method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0, 2020년, pp.81 - 88  

임은정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이재기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아 형태 조각의 반복 실습이 가능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다. 치아 형태의 단계별 실습을 위해, 1단계부터 16단계까지의 단계별 실습스토리 보드에 의한 근심, 원심, 협면, 설면의 특징을 반영한 단계별 치아 조각 형태를 삼차원 모델링 하였다. 이 자료가 학습자의 모바일 기기 화면상에 출력될 수 있도록 단계별 이미지 마커를 인식하여,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치아 형태 조각 연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해 완성도 높은 상악 우측 중절치를 조각할 수 있었다. 이 콘텐츠를 이용하여 치아 형태학 강의실 수업과 치의학 입문자의 실습이 함께 연계되어 치아 형태 조각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tent that enables repetitive carving practice of the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MRCI) based on augmented reality (AR). For a step-by-step practice of achieving the tooth shape, after creation of the storyboard from the square box shape in step 1 to 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치아 구조의 이해 및 조각에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 교육 자료를 삼차원 구조로 제작하여 치아의 입체감을 통해 공간지각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또한 치아 방향 전환 화면 터치 방법은 치아의 각 면의 특징을 쉽게 구분하기 어려운 입문자에게 방향 혼동을 줄이기 위해 증강현실 활용해 직접 원하는 방향으로 마커를 돌려 치아 구조를 학습하게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증강현실기술을 기반으로 3D 튜토리얼 방식의 단계별 치아 형태 조각 실습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치아 형태에 대한 이론과 치아 조각의 수행과정을 연계시켜 치아 형태학 조각 과정 중 학습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콘텐츠를 활용하여 치아 형태 조각 연습을 할 수 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치아 형태학 조각 입문에서 기존 이론 학습 과정을 실습으로 연계하여 기본 형태와 방법을 익히는 첫 모델로 상악 우측 중절치를 선정하였고 3D모델링 기술을 이용한 모바일 튜토리얼 방식으로 단계별로 진행하여 강의실 수업 시 실습 지원 도구의 역할과 학습자의 자가주도형 실습 반복 도구로 학습자의 참여도를 올려 실습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 이를 통해 학습자는 단계별 마커를 이용한 치아 형태학 조각 실습 단계의 정확한 구분이 가능해 학습자의 공간지각력 확장과, 자가 학습을 통한 실습 절차 이해 증대로 인해 교수자는 수업 시 효율적인 실습 진행을 이끌 수 있다. 학습자의 치아 형태학 조각 학습능력 향상으로 기초 역량을 구축하여 나아가 임상 활용 역량을 축적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실습 교육 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 임상가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기본 실무 능력은 무엇인가? 치아 형태학 조각 능력은 치과 임상가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기본실무 능력이다. 치과 임상가는 다른 재료를 이용해 잃어버린 치아 구조를 복원하기 위해 지식, 손재주 및 예술적 감각을 개발해야 한다[1].
임시치관은 어떠한 과정인가? 치과 임상가의 임무 중 하나인 임시치관의 제작 과정은 치아 형태학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 임시치관은 치아의 이동방지, 지대치 보호, 심미적 기능을 회복하는 중요한 과정으로[3,4] 치아 형태학을 기반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치아 형태학은 상실된 치아의 외형을 복원시켜주기 위해 필요하며 치아의 형태학적 지식을 통해 치아 처치 대한 사고, 진단 및 평가를 하게 된다.
컴퓨터 기술을 활용한 기술 중 증강현실이 의학 분야의 교육적 도구로 시도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시뮬레이션 장비 중에서도 모바일 기계를 통해 접근성을 높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활용하는 것은 교육 분야에서 활용 가치가 높다. 지식 및 교육 분야에서도 단순한 동영상이나 플래시 기반의 일방형적인 교육 콘텐츠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스스로 몰입하여 배울 수 있는 학습 환경으로 실재감과 몰입감을 높여 학습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증강현실 시스템 개발이 의학 분야의 교육적 도구로 시도되고 있다[12]. 증강현실은 기본적 현실세계에 가상의 디지털 콘텐츠를 병합하여[13] 학습자의 감각과 인식을 확장시키는 실감 미디어로 맥락적 학습이 가능하게 하고, 학습자에게 높은 상호 작용성을 제공하여 흥미 유발을 위해 게임형식진행으로 구성되어[14] 증강현실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R. A. Azevedo, M. B. Correa, M. A. Torriani & R. G. Lund. (2017). Optimizing quality of dental carving by preclinical dental students through anatomy theory reinforcement. Anatomical Sciences Education, 11(4), 377-384. DOI : 10.1002/ase.1752 

  2. R. A. Eid, K. Ewan, J. Foley, Y. Oweis & J. Jayasinghe. (2013). Self-directed study and carving tooth models for learning tooth morphology: perceptions of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aberdeen. Journal of dental education, 77(9), 1147-1153. DOI : 10.1002/j.0022-0337.2013.77.9.tb05586.x 

  3. M. M. Rayyan, M. Aboushelib, N. M. Sayed, A. Ibrahim & R. Jimbo. (2015). Comparison of interim restorations fabricated by cad/cam with those fabricated manually.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114(3), 414-419. DOI : 10.1016/j.prosdent.2015.03.007 

  4. V. Rutkunas, V. Sabaliauskas & H. Mizutani. (2010). Effects of different food colorants and polishing techniques on color stability of provisional prosthetic materials. Dental Materials Journal, 29(2), 167-176. DOI : 10.4012/dmj.2009-075 

  5. S. V. Kellesarian. (2018). Flipping the Dental Anatomy Classroom. Dentistry Journal, 6(3), 23. DOI : 10.3390/dj6030023 

  6. R. Harold, S. Melissa & P. James. (2005).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aided learning in teaching orthodontic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127(5), 599-605. DOI : 10.1016/j.ajodo.2004.02.020 

  7. J. T. Park & J. H. Kim. (2018). Effects of mobile task information presentation using 3D multimedia on tooth carving knowledge, performance and class satisfaction for dentistr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5), 376-385. DOI : 10.5392/JKCA.2018.18.05.376 

  8. C. Mario, M. Munoz & O. Sergio. (2015). Generation of 3D Tooth Models based on Three-dimensional Scanning to Study the Morphology of Permanent Teeth. International Journal of Morphology, 33(2), 782-787. DOI : 10.4067/S0717-95022015000200057 

  9. M. Lone, J. P. McKenna, J. F. Cryan, E. J. Downer & A. Toulouse. (2018). A Survey of tooth morphology teaching methods employed in the united kingdom and ireland. European Journal Of Dental Education, 22(3), 438-443. DOI : 10.1111/eje.12322 

  10. A. M. Al-Thobity, I. Farooq & S. Q. Khan. (2017). Effect of software facilitated teaching on final grades of dental students in a dental morphology course. Saudi medical journal, 38(2), 192-195. DOI : 10.15537/smj.2017.2.15627 

  11. P. L. Ingrassia et al. (2020). Augmented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for basic life support and defibrillation training: usability stud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2(5), 14910. DOI : 10.2196/14910 

  12. N. Jain, P. Youngblood, M. Hasel & S. Srivastava. (2017). An augmented reality tool for learning spatial anatomy on mobile devices. Clinical Anatomy, 30(6), 736-741. DOI : 10.1002/ca.22943 

  13. R. T. Azuma. (1997).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6(4), 355-385. DOI : 10.1162/pres.1997.6.4.355 

  14. H. J. Lee, S. A. Cha & H. N. Kwon. (2016). Study on the effect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based instruction for adult learners on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 and flow.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 424-437. DOI : 10.5392/JKCA.2016.16.01.424 

  15. K. H. Noh, H. K. Jee & S. H. Lim. (2010). Effect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based instru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 and flow of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2), 1-13. DOI : 10.5392/JKCA.2010.10.2.001 

  16. J. S. Kang. (2017). Application method of cultural heritage contents exhibition combin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5), 137-143. DOI : 10.15207/JKCS.2017.8.5.137 

  17. J. H. Yoon, T. J. Ji, J. Yoon & H. G. Kim. (2017). A convergence study on the 5-axis machining technology using the DICOM image of the humerus bon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1), 115-121. DOI : 10.15207/JKCS.2017.8.11.115 

  18. H. J. Kim & J. Yoon. (2017). Convergence comparison of metal artifact reduction rate for pacemaker insertion of ct imaging phantoms in the raw data with mar algorith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 43-49. DOI : 10.15207/JKCS.2017.8.1.043 

  19. K. B. Kim & E. H. Goo. (2016). Image evaluation for a kind of patient fixing pad in 64 multi-channel detector computed tomograph.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1), 89-95. DOI : 10.15207/JKCS.2016.7.1.089 

  20. J. M. Rhie & M. J. Jang. (2013).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and the Present Curriculum Condition of Space Design: With a Focus on Four-Year Course Colleges in Korea and Japan.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3), 197-217. DOI : 10.15187/adr.2013.08.26.3.197 

  21. J. Y. Gu & J. G. Lee. (2018). Convergence stud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new clinical training simulator for dental radiography based on augmented real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1), 161-167. DOI : 10.15207/JKCS.2018.9.11.161 

  22. T. E. Kim. (2017).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children's storybook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8(3), 435-442. DOI : 10.9728/dcs.2017.18.3.4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