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립분말 유동성 변화가 부조세라믹타일의 소결거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lowability of Ceramic Tile Granule Powders on Sintering Behavior of Relief Ceramic Tile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30 no.10, 2020년, pp.550 - 557  

신철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  최정훈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  김정헌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  황광택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  김진호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ed in the ceramic tile market as a representative building material, relief ceramic tile is showing increased demand recently. Since ceramic tiles are manufactured through a sintering process at over 1,000 ℃ after uniaxial compression molding by loading granule powders into a mold, it is 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분무건조 공정으로 제조된 세라믹타일 과립분말의 표면에 유동층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소수화 처리를 하고 이에 따른 과립분말의 유동성 변화 및 부조세라믹타일 성형체 및 소성체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과립분말의 소수화 표면 코팅제는 포화지방산의 일종으로 양친매성(amphipathy) 분자구조로 계면활성제와 연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카올린, 규석, 장석을 출발원료로 분무 건조 공정을 통하여 세라믹타일 과립분말의 제조하고, 스테아르산을 통한 과립분말 표면의 소수화 처리가 과립 분말의 유동성 변화 및 최종 소결체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분무건조 공정으로 제조된 세라믹타일 과립분말은 75 ~ 355 μm 입도가 전체 94 %를 차지하는 구형의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Fig. 3은 스테아르산 농도에 따른 세라믹타일 과립분말의 (a) 안식각과 탭밀도 변화 및 (b) 압축도와 유동성 지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 Dondi, M. Raimondo and C. Zanelli, Appl. Clay Sci., 96, 91 (2014). 

  2. J. H. Kim, H. G Noh, U. S. Kim, W. S. Cho, J. H. Choi and Y. O. Lee, J. Korean Ceram. Soc., 50, 1 (2013). 

  3. J. H. Kim, U. S. Kim, K. S. Han and K. T. Hwang, Korean J. Mater. Res., 29, 425 (2019). 

  4. Z. Shu, J. Garcia-Ten, E. Monfort, J. L. Amoros and Y. X. Wang, Ceram. Int., 38, 517 (2012). 

  5. S. C. Byeon, H. J. Je and K. S. Hong, J. Korean Ceram. Soc., 32, 549 (1995). 

  6. Z. Shu, J. Zhou and Y. X. Wang, J. Cleaner Prod., 18, 1045 (2010). 

  7. G. Bertranda, C. Filiatreb, H. Mahdjouba, A. Foissyb and C. Coddeta, J. Eur. Ceram. Soc., 23, 263 (2003). 

  8. R. T. Pusapati and T. V. Rao, Indian J. Res. Pharm. Biotechnol., 2, 1360 (2014). 

  9. M. Hemati, R. Cherif, K. Saleh and V. Pont, Powder Technol., 130, 18 (2003). 

  10. J. H. Choi, E. T. Kang, J. W. Lee, U. S. Kim and W. S. Cho, J. Ceram. Process. Res., 19, 43 (2018). 

  11. S. B. Jeong, J. Y. Hyun and Y. B. Chae, J.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41, 490 (2004). 

  12. P. P. Nampi, S. Kume, Y. Hotta, K. Watari, M. Itoh, H. Toda and A. Matsutani, Ceram. Int., 37, 3445 (2011). 

  13. M. L. Gualtieri, M. Romagnoli and A. F. Gualtieri, J. Eur. Ceram. Soc., 31, 673 (2011). 

  14. R. Soldati, C. Zanelli, G. Guarini, S. Fazio, M. C. Bignozzi and M. Dondi, J. Eur. Ceram. Soc., 38, 4118 (2018). 

  15. V. E. Henkes, G. Y. Onoda and W. Carty, Science of Whitewares, p.112, Wiley (1996). 

  16. B. R. Yoo and D. E. Jung, Polym. Sci. Technol., 20, 124 (2009). 

  17. R. L. Carr, Chem. Eng., 72, 163 (1965). 

  18. Z. Shu, J. Garcia-Ten, E. Monfort, J. L. Amoros and Y. X. Wang, Ceram. Int., 38, 1479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