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식론 및 존재론적 관점에서 두 유형의 산·염기 모델에 대한 화학 교사들의 인지 수준 분석
Analysis of Chemistry Teachers' Cognitive level related to Two Types of Acid-Base Models based on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viewpoint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4 no.5, 2020년, pp.267 - 276  

류은주 (신탄진고등학교) ,  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에서 가르치는 두 유형의 산-염기 모델에 대한 화학 교사들의 인지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모델이 가지는 '이그노런스'를 분석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교사들의 인지를 알아보는 설문을 개발하였다. 설문은 두 모델에 대한 불일치 상황을 제시한 산과 염기 반응에 관련된 문항과 산과 염기 해리와 관련된 문항 등 2문항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15명의 화학 교사들이었으며, 설문 분석 결과, 4가지 수준으로 교사의 인지가 분석되었다. 4가지 수준은, 모델을 모르는 경우, 한 모델만 이해하는 경우, 두 모델을 이해하고, 한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지각하는 경우, 두 모델을 이해하고 두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지각하는 경우였다. 가장 큰 비율의 교사들은 두 모델을 이해하고, 한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인지하는 경우였다. 그러나 두 모델을 이해하고 두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지각하는 경우의 비율은 매우 적었다. 이를 통해 모델과 '이그노런스'에 대한 화학교사들의 인지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 of chemistry teachers' cognition related to two types of acid-base models taught in secondary schools. For the purpos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identify teachers' cognit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the 'Ignorance' of each model. The questionnair...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대상의 인지 과정에서 오개념을 가지거나 모르는 경우와 같은 인식론적 관점에서의 이해 뿐 아니라, 산-염기 모델 자체가 가지는 ‘이그노런스’에 대한 존재론적 관점의 지각(perception)을 포함하여 산-염기 모델에 대한 교사들의 인지(cognition) 수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Arrhenius 모델과 Brønsted–Lowry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알아보는 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교사들의 모델 인지 수준을 분석하였다.
  •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에서는 화학 교사들이 중등학교에서 다루는 두 유형의 산-염기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지각하는 수준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주어진 산과 염기 반응과해리에 관련된 현상에서 Arrhenius 모델의 불일치 상황이 발생하면, 이는 주어진 현상에 대한 Arrhenius 모델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현상은 Arrhenius 모델로만 제시한다는 것을 교사들에게 제시함으로써 다른 모델인 Brønsted–Lowry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교사들이 지각할 수 있는지 알아본 것이다.

가설 설정

  • 그리고 이러한 Brønsted-Lowry 모델의 불일치 상황은 Arrhenius 모델로 이온화 상수 개념을 설명할 수 없다는 ‘이그노런스’를 지각하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고 가정하였다.
  • 한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지각한다는 것은 두 모델을 모두 이해한 다음에 가능하므로, 모델의 인지 III 수준부터는 두 모델에 대한 이해를 모두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ang, H. S. Is Water $H_{2}O$ ?:Evidence, Realism and Pluralism;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London, 2012. 

  2. Firestein, S. Ignorance: How It Drives 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2. 

  3. Smithson, M. Research Article 1993, 15, 133. 

  4. Edwards, J.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990, 20, 66. 

  5. Lyu, E. J.; Paik, S. H.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20, 64, 175. 

  6. Buckley, B. C.; Boulter, C. J. Investigating the role of representations and expresed models in building mental models. In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Gilbert, J. K.; Boulter, C. J., Eds., Kluwer Academic: Dordrecht, The Netherlands, 2000, 119. 

  7. Schwarz, C. V.; Gwekwerere, Y. N. Science Education 2007, 91, 158. 

  8. Snow, R. E.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990, 14, 45. 

  9. Redish, E. F. American Journal of Physics, 1994, 62, 792. 

  10. Kang, N.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7, 37, 143. 

  11. Clement, J. J.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0, 22, 1041. 

  12. Clement, J. J.; Rea-Ramirez, M. A.; Mimez-Oviedo, M. C. An instructional model derived from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theory. In Model 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Science, Clement, J. J.;Rea-Ramirez, M. A., Eds., Kluwer Academic:Dordrecht, The Netherlands, 2008, 23. 

  13. Gobert, J. D.; O'Dwyer, L.; Horwitz, P.; Buckley, B.; Levy, S.; Wilensky, U.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1, 33, 653. 

  14. Justi, R.; Gilbert, J. K.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2, 25, 1369. 

  15. Lehrer, R.; Schuable, L. Cultivating model-based reasoning in science education. In Cambridge handbook of the learning sciences, Sawyer, R. K.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West Nyack, NY, USA, 2006, 371. 

  16. Suckling, C. J.; Suckling, K. E.; Suckling, C. W. Chemistry through models.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modeling in chemical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Cambridge, 1978. 

  17. Asnat, R. Z.; Sharona, T. 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19, 56, 881. 

  18. Shermer, M. Nature 2012, 484, 446. 

  19. Furio-Mas, C.; Calatayud, M. L.; Guisasolac, J.; Furio-Gomeza, C.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5, 27, 1337. 

  20. Paik, S. H.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2015, 92, 1484. 

  21. Paik, S. H.; Choi, J. I.; Park, E.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du 2013, 33, 1273. 

  22. Jo, G. H. Using examples and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in school science : focusing on the concepts of mechanics in middle school, Ph. D.,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23. Collette, A. T.; Chiappetta, E. L.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Merrill Publishing Company: Columbus, 1986, 255-258. 

  24. Paik, S. H.; Kim, S. K.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017, 25, 381. 

  25. Wobbe, D. V.; Albert, P. Journal of Chemistry Education 2001, 78, 494. 

  26. Drechsler, M.; Schmidt, H. Journal of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2005, 6, 19. 

  27. Carr, M.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984, 14, 97. 

  28. Zumdahl, S. S.; Zumdahl, S. A. Chemistry 8th ed.; Cengage Learning: Singapore, 2010. 

  29. Oxtoby, D.; Gillis, H. P.; Campion, A.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7th ed.; Cengage Learning: NY, 2012. 

  30. John, H.; Go, M. J. The History of Chemistry; Book's hill: Seoul, 2005. 

  31. Brubaker, C. H., Jr.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57, 34, 325 

  32. Go, H. S.; Kim, K. E.; Paik, S. H.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2, 56, 628. 

  33. Paik, S. H.; Go, H. S.; Jeon, M. C.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3, 57, 279. 

  34. Paik, S. H. The history of chemistry: imotionmedia: Seoul, 2018. 

  35. Creswell, J. W.; Miller, D. L. Theory Into Practice, 2000, 39, 124. 

  36. Kim, S. G.; Choi, H.; Park, C. Y.; Paik, S. H.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9, 63, 56. 

  37. Kim, S. G.; Kim, J. E.; Paik, S. H.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9, 63, 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