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 노출 신체이미지와 탄막 이용이 다이어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비리비리(Bilibili) 동영상 사이트를 중심으로
Effect of Exposure to Body Image in Media and Bullet Screen on Weight Loss Intention - Focused on Bilibili, a Video Sharing Website of Chin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0, 2020년, pp.268 - 283  

양수아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  조희정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  이혜은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표적인 탄막 동영상 사이트인 비리비리(Bilibili)를 중심으로 미디어 노출 신체이미지와 탄막의 이용이 다이어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20대 중국인 여성 3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3 (탄막 여부: 탄막 없음 vs. 신체이미지 칭찬하는 탄막 vs. 신체이미지 비판하는 탄막) x 2 (미디어 노출 신체이미지: 이상적 vs. 현실적) 피험자 간 설계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이상적인 신체이미지를 칭찬하는 탄막과 현실적인 신체이미지를 비판하는 탄막에서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더 나아가,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는 현실적인 신체이미지를 탄막 없이 볼 때보다 이상적인 신체이미지를 탄막과 같이 볼 때, 그리고 현실적인 신체이미지를 비판하는 탄막을 볼 때보다 이상적인 신체이미지를 칭찬하는 탄막을 볼 때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적 시청의 방식 중 하나로서의 탄막의 이용과 수용자의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xposure to body image in media and bullet screen on weight loss intention by specifically focusing on Bilibili, a video sharing website of China. For the study, a 3 (Social viewing: no bullet screen vs. complimentary bullet screen vs. critical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청자들이 다양한 신체이미지가 등장하는 영상을 볼 때, 사회적 시청의 특성을 가진 탄막에 따라 이들의 다이어트 의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비리비리 사이트의 탄막 환경에서 탄막 동영상을 보는 시청자들이 접하는 콘텐츠 속 신체이미지가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즉, 이러한 시청방식은 공동 시청자를 친구나 동료처럼 느끼게끔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이어트 의도에 대한 영상 속 신체이미지와 사회적 시청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고자 가설4-1과 4-2를 제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탄막 이용 정도와 탄막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 또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실적인 신체이미지를 탄막 없이 볼 때보다 이상적인 신체이미지를 탄막과 같이 볼 때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가설4-1).
  • 본 연구는 미디어 노출 신체이미지와 탄막이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의 대표적인 탄막 동영상 사이트, 비리비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3 (탄막 여부: 탄막 없음 vs.
  • 본 연구는 사회적 시청인 탄막 기능을 중심으로 이러한 시청방식이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했다는 점에서 함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미디어에 노출된 신체이미지에 대한 칭찬 혹은 비판하는 탄막에는 프레이밍(framing) 효과도 존재할 수 있음을 무시할 수 없다.
  •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사회적 시청으로서의 탄막 동영상 이용을 통해 다른 시청자의 의견이나 주장에 쉽게 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시청으로의 비리비리 탄막 동영상의 이용과 여러 종류의 콘텐츠 중에서도 영상 속 신체이미지가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탄막이 없는 영상보다 탄막이 있는 영상을 볼 때,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가 더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1을 제시하였다.
  • 과체중인 여성 신체이미지가 시청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 연구에서는 여성들이 이상화된 날씬한 신체이미지에 무감각해지고 더는 개인의 신체 비교 기준으로 삼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68].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미디어 노출 신체이미지가 시청자 다이어트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실적인 신체이미지가 포함된 영상보다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포함된 영상을 볼 때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가설2).
  • 이러한 맥락에서 탄막 이용을 사회적 시청으로 규정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사회적 시청을 통해 시청자들은 개별적으로 같은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공통적인 소재를 갖게 되고, 온라인에서의 시청자들 간 공동 대화가 가능케 된다[2].
  • 그러나 앞선 연구들은 주로 시청 동기와 만족도 측정에 관한 연구[6][7]이며, 시청행위 이외의 구체적인 인지나 행동 의도 변화에 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청자들이 다양한 신체이미지가 등장하는 영상을 볼 때, 사회적 시청의 특성을 가진 탄막에 따라 이들의 다이어트 의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비리비리 사이트의 탄막 환경에서 탄막 동영상을 보는 시청자들이 접하는 콘텐츠 속 신체이미지가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비리비리 동영상 사이트를 중심으로, 미디어 노출 신체이미지와 탄막의 이용이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해보고자 한다. 탄막 이용 여부, 탄막의 내용, 그리고 이들이 접하는 영상 속 신체이미지의 유형에 따라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비리비리 동영상 사이트를 중심으로, 미디어 노출 신체이미지와 탄막의 이용이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해보고자 한다. 탄막 이용 여부, 탄막의 내용, 그리고 이들이 접하는 영상 속 신체이미지의 유형에 따라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때, 시청자의 체질량지수(BMI), 신체 존중감, 다이어트 관심도, 그리고 다이어트 경력을 통제 변수로 설정하고 살펴볼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1: 탄막이 없는 영상보다 탄막이 있는 영상을 볼 때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가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2: 현실적인 신체이미지가 포함된 영상보다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포함된 영상을 볼 때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가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3-1: 이상적인 신체이미지를 비판하는 탄막보다 칭찬하는 탄막을 볼 때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가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3-2: 현실적인 신체이미지를 칭찬하는 탄막보다 비판하는 탄막을 볼 때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가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4-1: 현실적인 신체이미지를 탄막 없이 볼 때보다 이상적인 신체이미지를 탄막과 같이 볼 때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는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4-2: 현실적인 신체이미지를 비판하는 탄막을 볼 때보다 이상적인 신체이미지를 칭찬하는 탄막을 볼 때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는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 탄막이 없는 영상보다 탄막이 있는 영상을 볼 때,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가 더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1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영상 속 신체이미지는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현실적인 신체이미지 보다는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포함된 영상을 접했을 때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가 더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다(가설2).
  • 마른 신체이미지를 원하고 이를 부러워하거나, 일반인의 마르지 않은 신체이미지에 공감하는 탄막을 칭찬 탄막으로 보았으며, 마른 신체이미지를 비현실적이라고 생각하거나, 마르지 않은 신체이미지에 대한 다이어트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탄막을 비판 탄막으로 분류하였다. 이상적인 신체이미지를 칭찬하는 탄막을 볼 때(가설3-1), 그리고 현실적인 신체이미지를 비판하는 탄막을 볼 때(가설3-2)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가 더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막이란 무엇인가? 비리비리는 탄막 동영상 사이트이며, 탄막(Danmu(弹幕); Danmaku; Bullet Screen)은 실시간 댓글 기능으로, 동영상 스크린을 움직이는 자막 스트림(stream)으로 가리고, 동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의견을 영상에 직접 표시하는 시스템이다[9][그림 1]. 1.
사회적 시청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또한, TV와 뉴미디어의 융합으로 ‘사회적 시청(social viewing)’이라는 새로운 시청방식도 등장했다[1]. 사회적 시청은 TV 시청과 인터넷 커뮤니티 등을 통한 의견 교환과 같은 온라인상의 사회적(social) 행위가 함께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한다[2]. 사회적 시청은 일방적 정보 수용인 ‘시청’에서 더 나아가, ‘대화’를 통한 쌍방향 의견교환으로 참여자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이해와 비판적 해독 등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한다.
1인 미디어의 발전으로 한국과 중국은 어떤 플랫폼에서 1인 미디어를 소비하는가? 최근 1인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시청자들은 다른 장르의 콘텐츠들을 비교하며 더욱 능동적으로 1인 방송을 수용하고 있다[7]. 한국에서는 주로 유튜브(YouTube)나 아프리카 TV(AfreecaTV)와 같은 플랫폼으로 1인 방송을 소비한다면, 중국에서는 후야(虎牙), 투어(鬥魚), 그리고 비리비리(Bilibili, 嗶哩嗶哩)를 통해 시청한다. 이 중 비리비리는 다른 두 플랫폼과는 달리, 유튜브와 유사하게 여러 종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사이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5)

  1. N. Ducheneaut, R. J. Moore, L. Oehlberg, J. D. Thornton, and E. Nickell, "Social TV: Designing for distributed, sociable television viewing," Int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Vol.24, No.2, pp.136-154, 2008. 

  2. 최윤정, "TV 시청과 온라인 대화의 결합," 한국방송학보, 제28권, 제4호, pp.315-355, 2014. 

  3. J. Lee and Y. Choi, "Shifting from an audience to an active public in social viewing: Focusing on the discussion networ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75, pp.301-310, 2017. 

  4. A. O. Larsson and H. Moe, "Studying political microblogging: Twitter users in the 2010 Swedish election campaign," New media & society, Vol.14, No.5, pp.729-747, 2012. 

  5. J. Lee and Y. Choi, "Expanding affective intelligence theory through social viewing: Focusing on the South Korea's 2017 presidential elec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83, pp.119-128, 2018. 

  6. 최윤정, "예능 프로그램 수용 방식의 변화: '사회적 시청'(social viewing) 과 수용자 공중 등장," 방송문화연구, 제27권, 제2호, pp.7-37, 2015. 

  7. 이준호, 이사희, 윤지환, "유튜브 개인여행방송 시청자의 개인 특성과 사회적 시청이 시청만족, 지속이용,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28권, 제4호, pp.51-71, 2019. 

  8. Bilibili, 2019, Retrieved from https://mp.weixin.qq.com/s/8-lFK0C1mq2CronCIw7noQ 

  9. Y. Chen, Q. Gao, and P. L. P. Rau, "Watching a movie alone yet together: Understanding reasons for watching Danmaku video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Vol.33, No.9, pp.731-743, 2017. 

  10. ?明?, 王??, 万?玲, ??直播?境下??互?新形式探析-以 bilibili ???幕??例.??, Vol.21, pp.24-25, 2017. 

  11. H. X. Jiang, The Research of Barrage Video from Communication Vision, Master' s Thesis, Huazhong Normal University, 2014. 

  12. A. L. Ahern, K. M. Bennett, and M. M. Hetherington, "Internalization of the ultra-thin ideal: positive implicit associations with underweight fashion models are associated with drive for thinness in young women," Eating Disorders, Vol.16, No.4, pp.294-307, 2008. 

  13. S. Fernandez and M. Pritchard,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media influence and drive for thinness," Eating behaviors, Vol.13, No.4, pp.321-325, 2012. 

  14. S. Tucci and J. Peters, "Media influences on body dissatisfaction in female students," Psicothema, Vol.20, No.4, pp.521-524, 2008. 

  15. V. Swami, U. S. Tran, S. Stieger, M. Voracek, and The YouBeauty.com Team, "Associations between women's body image and happiness: Results of the YouBeauty.com Body Image Survey (YBI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6, No.3, pp.705-718, 2015. 

  16. A. E. Field, L. Cheung, A. M. Wolf, D. B. Herzog, S. L. Gortmaker, and G. A. Colditz, "Exposure to the mass media and weight concerns among girls," Pediatrics, Vol.103, No.3, p.e36, 1999. 

  17. K. F. van Es and E. Muller, "The Voice: Redefining the 'Social' in 'Social TV," Montage/AV, Vol.21, No.1, pp.63-84, 2012. 

  18. A. Kroon, "More than a hashtag: Producers' and users' co-creation of a loving "we" in a second screen TV sports production," Television & New Media, Vol.18, No.7, pp.670-688, 2017. 

  19. C. Vaccari, A. Chadwick, and V. O'Loughlin, "Dual screening the political: Media events, social media, and citizen engage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5, No.6, pp.1041-1061, 2015. 

  20. N. C. Kramer, S. Winter, B. Benninghoff, and C. Gallus, "How "social" is Social TV? The influence of social motives and expected outcomes on the usage of Social TV applicatio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51, pp.255-262, 2015. 

  21. Q. Ji, "Exploring the motivations for live posting duringentertainment television viewing," Atlantic Journal of Communication, Vol.27, No.3, pp.169-182, 2019. 

  22. A. A. Raney and Q. Ji, "Entertaining each other? Modeling the socially shared television viewing experie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43, No.4, pp.424-435, 2017. 

  23. T. Highfield, S. Harrington, and A. Bruns, "Twitter as a technology for audiencing and fandom,"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Vol.16, No.3, pp.315-339, 2013. 

  24. N. Anstead and B. O'Loughlin, "The emerging viewertariat and BBC Question Time: Television debate and real-time commenting onlin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 and Politics, Vol.16, No.4, pp.440-462, 2011. 

  25. J. S. Lim, Y. Hwang, S. Kim, and F. A. Biocca, "How social media engagement leadsto sports channel loyalty: Mediating roles of social presence and channel commitm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46, pp.158-167, 2015. 

  26. Y. Zhao, X. Peng, J. Tang, and S. Song, "Understanding young people's we-intention to contribute in Danmaku websites: Motivational, social, and subculture influence," .iConference 2017 Proceedings, 2017. 

  27. S. Djamasbi, A. Hall-Phillips, Z. Liu, W. Li, and J. Bian, "Social viewing, bullet screen, and user experience: A first look." In 2016 49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HICSS), pp.648-657. IEEE, 2016. 

  28. A. Doland, "In China, People are Plastering over Brand's Online Videos with Funny, Snarky Comments'," Advertising Age, Vol.86, No.18, pp.46, 2015. 

  29. L. Liu, A. Suh, and C. Wagner, "Investigating communal interactive video viewing experiences online,"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pp.538-548, 2016. 

  30. Q. Bai, Q. V. Hu, L. Ge, and L. He, "Stories that big danmaku data can tell as a new media," IEEE Access, 7, 2019. 

  31. Y. Zhang, A. Qian, Z. Pi, and J. Yang, "Danmaku Related to Video Content Facilitates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47, No.3, pp.359-372, 2019. 

  32. A. Wan, L. Moscowitz, and L. Wu, "Online social viewing: Cross-cultural adoption and uses of bullet-screen videos,"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p.1-19, 2019. 

  33. M. Carrier, L. Rosen, N. Cheever, and A. Lim, "Causes, effects, and practicalities of everyday multitasking," Developmental Review, Vol.35, pp.64-78, 2015. 

  34. 張鵬程., "彈幕文化傳播現狀與策略?究," 山東師範大學碩士論文界, Vol.36, No.8, pp.116-130, 2017. 

  35. D. M. Garner, P. E. Garfinkel, and K. M. Bemis, "A multidimensional psychotherapy for anorexia nervosa,"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1, No.2, pp.3-46, 1982. 

  36. Y. Yamamiya, T. F. Cash, S. E. Melnyk, H. D. Posavac, and S. S. Posavac, "Women's exposure to thin-and-beautiful media images: Body image effects of media-ideal internalization and impact-reduction interventions," Body image, Vol.2, No.1, pp.74-80, 2005. 

  37. B. Silverstein, L. Perdue, B. Peterson, and E. Kelly, "The role of the mass media in promoting a thin standard of bodily attractiveness for women," Sex roles, Vol.14, No.9-10, pp.519-532, 1986. 

  38. E. Stice and H. E. Shaw, "Adverse effects of the media portrayed thin-ideal on women and linkages to bulimic symptomatolog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13, No.3, pp.288-308, 1994. 

  39. D. Pompper and J. Koenig, "Cross-cultural-generational perceptions of ideal body image: Hispanic women and magazine standard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81, No.1, pp.89-107, 2004. 

  40. P. Van den Berg, S. J. Paxton, H. Keery, M. Wall, J. Guo, and D. Neumark-Sztainer,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comparison with media images in males and females," Body image, Vol.4, No.3, pp.257-268, 2007. 

  41. B. Harper and M. Tiggemann, "The effect of thin ideal media images on women's self-objectification, mood, and body image," Sex roles, Vol.58, No.9-10, pp.649-657, 2008. 

  42. J. W. Kim and T. M. Chock, "Body image 2.0: Associations between social grooming on Facebook and body image concer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48, pp.331-339, 2015. 

  43. M. Tiggemann and A. Slater, "NetTweens: The internet and body image concerns in preteenage girls,"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34, No.5, pp.606-620, 2014. 

  44. A. Slater, N. Cole, and J. Fardouly, "The effect of exposure to parodies of thin-ideal images on young women's body image and mood," Body image, Vol.29, pp.82-89, 2019. 

  45. R. Cohen and A. Blaszczynski, "Comparative effects of Facebook and conventional media on body image dissatisfaction,"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3, No.1, p.23, 2015. 

  46. J. Fardouly and L. R. Vartanian, "Negative comparisons about one's appeara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book usage and body image concerns," Body image, Vol.12, pp.82-88, 2014. 

  47. S. Grabe, L. M. Ward, and J. S. Hyde, "The role of the media in body image concerns among women: a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and correlational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Vol.134, No.3, p.460, 2008. 

  48. J. K. Thompson and E. Stice, "Thin-ideal internalization: Mounting evidence for a new risk factor for body-image disturbance and eating patholog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10, No.5, pp.181-183, 2001. 

  49. 남상우, 고은하, "다이어트 영웅의 탄생: 리얼리티 쇼의 비만담론과 문화효과,"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4권, 제2호, pp.69-97, 2011. 

  50. L. A. Klos, C. Greenleaf, N. Paly, M. M. Kessler, C. G. Shoemaker, and E. A. Suchla, "Losing weight on reality TV: A content analysis of the weight loss behaviors and practices portrayed on "The Biggest Loser,"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20, No.6, pp.639-646, 2015. 

  51. A. E. Field, C. A. Camargo, C. B. Taylor, C. S. Berkey, S. B. Roberts, and G. A. Colditz, "Peer, parent, and media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weight concerns and frequent dieting among preadolescent and adolescent girls and boys," Pediatrics, Vol.107, No.1, pp.54-60, 2001. 

  52. V. I. Kraak and M. Story, "Influence of food companies' brand mascots and entertainment companies' cartoon media characters on children's diet and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research needs," obesity reviews, Vol.16, No.2, pp.107-126, 2015. 

  53. K. Harrison and J. Cantor,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consumption and eating disorder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7, No.1, pp.40-67, 1997. 

  54. C. H. Basch, I. H. Fung, A. Menafro, C. Mo, and J. Yin, "An exploratory assessment of weight loss videos on $YouTube^{TM}$ ," Public health, Vol.151, pp.31-38, 2017. 

  55. 임인숙, "다이어트의 사회문화적 환경," 한국사회학, 제38권, 제2호, pp.165-187, 2004. 

  56. T. Mukai, "Mothers, peers and perceived pressure to diet among Japanese adolescent girls."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996. 

  57. M. A. Vincent and M. P. McCabe, "Gender differences among adolescents in family, and peer influences on body dissatisfaction, weight loss, and binge eating behavi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29, pp.205-221, 2000. 

  58. S. J. Chung, A. L. Ersig, and A. M. McCarthy, "The influence of peers on diet and exercise among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Vol.36, pp.44-56, 2017. 

  59. H. Shim, E. Shin, and S. Lim, "What makes us two-screen users? The effects of two- screen view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traits on social interactio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5, pp.339-346, 2017. 

  60. P. Prevos, Differences in body image between men and women, Psychology 1A, 2005. 

  61. 우형진, "텔레비전 시청자의 다이어트 행위의지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6호, pp.290-326, 2008. 

  62. 雷開春, "高中生的體型認同:基於女性的分析視角, "?代?年?究, Vol.325, No.4, pp.84-90, 2013. 

  63. S. L. Franzoi and S. A. Shields, "The Body Esteem Scale: Multidimensional structure and sex differences in a college popul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8, No.2, pp.173-178, 1984. 

  64. 김효정, 김미라,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신체이미지 및 체형에 대한 외적 요인이 다이어트 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2권, 제4호, pp.65-75, 2010. 

  65. H. Gil de Zuniga, V. Garcia-Perdomo, and S>C. McGregor, "What is second screening? Exploring motivations of second screen use and its effect 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5, No.5, pp.793-815, 2015. 

  66. 최윤정, "사회적 시청 (social viewing)에서 이견 노출이 의견의 동조, 강화, 절충에 미치는 영향: 선거 토론 TV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9권, 제1호, pp.5-43, 2018. 

  67. L. J. Heinberg, J. K. Thompson, and S. Storm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17, No.1, pp.81-89, 1995. 

  68. A. J. Holmstrom, "The effects of the media on body image: A meta-analysi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8, No.2, pp.196-217, 2004. 

  69. J. B. Walther, B. Van Der Heide, L. M. Hamel, and H. C. Shulman, "Self-Generated versus other-generated statements and impres- sions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 test of warranting theory using Facebook," Communication Research, Vol.36, No.2, pp.229-253, 2009. 

  70. E. Taniguchi and H. E. Lee, "Individuals' perception of others'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ole of body size and peers' comments," The Social Science Journal, Vol.52, No.2, pp.217-228, 2015. 

  71. 김정현, 김보영, "디지털 문화매개자로서 1 인 미디어, 유튜브 채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50-62, 2018. 

  72. 윤지영, 유지윤, 이장석, "유튜브 브이로그 이용 동기및 이용자 특성이 이용 만족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pp.189-201, 2020. 

  73. D. Chong and J. N. Druckman, "Framing Theory,"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Vol.10 pp.103-126, 2007. 

  74. 葛皓?, 互動視頻的初步嘗試及未來前景探究---????彈幕網?例, 2019. 

  75. ??, 晏?. ?幕的?言特征?究--以?????幕??例., p.7,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