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농촌지역 노인의 일반 특성 및 구강상태와 치주염유발세균의 관련성
Association of periodontitis-related bacteria complex with socio-demographic and oral health condition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area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20 no.5, 2020년, pp.743 - 752  

이승근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  정은재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  김지혜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  송근배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  최연희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level of periodontopathic bacteria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Methods: A total of 335 elderly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lder who lived in Ganghwa-gun, Incheon, wer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구강 세균과 치주질환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특정 질환과의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고, 상대적으로 구강건강이 열악한 농촌 지역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구강특성에 따른 주요 치주세균의 출현율과 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구강특성에 따른 고위험 및 중위험 치주세균의 유무와 수를 파악하고 노인들의 구강상태와 치주세균과의 연관성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구강건강 불량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처럼 고령화가 가속화 되면서 노인의 건강관리가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구강건강의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1,2]. 노인의 구강건강 불량은 치아상실로 이어지고 이는 곧 저작능력의 저하, 음식물 선택 범위의 축소를 불러올 뿐만 아니라 건강과 체력유지의 어려움, 발음 문제 및 외모에 영향을 주어 사회적 관계에까지 제한을 주기 때문이다[3].
치주세균과 구강 상태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micra를 중위험 치주세균 (orange complex)로 분류하였다. 이들 세균은 다양한 독소의 생산으로 치주조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치주질환을 유발하고 악화시키며, 이는 전신건강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7-10,12,13]. 따라서 이들 치주세균과 구강 상태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은 노인들에게서 가장 중요한 구강문제인 치주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부분이다.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우리나라 60세 이상 여성의 몇 %가 치주질환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는가? 2018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의하면 65세 이상 노인의 ‘질병소분류별 다빈도 상병, 외래 다빈도 상병 급여현황’ 중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 2위로 나타났다[2].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우리나라 60세 이상 남자의 약 50%, 여자의 약 40% 이상이 치주질환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ang SB, Moon HS, Han DH, Lee HY, Chung MK. Oral health status and treatment need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patient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8;46(5):455-69. https://doi.org/10.4047/jkap.2008.46.5.455 

  2. Ko HJ, Jeon ES, Kim HJ. Analysis of periodontal pathogens in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J Korean Soc Dent Hyg 2017;17(1):155-68.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1.155 

  3. Kim YS, Shin KH, Chung SH, Kim YS, Lee BW, Kim YS. A study on oral health on quality of life considering current aging trends - focusing on Korean elderly people in the U.S. and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4;40(1):29-39. https://doi.org/10.22900/kphr.2014.40.1.003 

  4. Loomer PM. Microbiological diagnostic testing in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s. Periodontol 2000 2004;34:49-56. https://doi.org/10.1046/j.0906-6713.2002.003424.x 

  5. Jang MS, Kim HY, Shim YS, Rhyu IC, Han SB, Chung CP, et al. Association between the self-reported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Koreans. J Korean Acad Periodontol 2006;36(3):591-600. https://doi.org/10.5051/jkape.2006.36.3.591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277-8. 

  7. Haffajee AD, Socransky SS. Microbial etiological agents of destructive periodontal diseases. Periodontol 2000 1994;5:78-111. https://doi.org/10.1111/j.1600-0757.1994.tb00020.x 

  8. Socransky SS, Haffajee AD, Cugini MA,Smith C, Kent Jr RL. Microbial complexes in subgingival plaque. J Clin Periodontol 1998;25(2):134-44. https://doi.org/10.1111/j.1399-302X.2007.00411.x 

  9. Haffajee AD, Teles RP, Socransky SS. Association of Eubacterium nodatum and Treponema denticola with human periodontitis lesions. Oral Microbiol Immunol 2006;21(5):269-82. https://doi.org/10.1111/j.1399-302X.2006.00287.x 

  10. Tanner AC, Socransky SS, Goodson JM. Microbiota of periodontal pockets losing crestal alveolar bone. J Periodontal Res 1984;19:279-91. https://doi.org/10.1111/j.1600-0765.1984.tb00819.x 

  11. Socransky SS, Haffajee AD. The bacterial etiology of destructive periodontal disease-current concepts. J Periodontol 1992;63:322-31. https://doi.org/10.1902/jop.1992.63.4s.322 

  12. Moon JH, Jang EY, Yang SB, Shin SY, Ryu JI, Lee JY, et al. Genome sequence of Prevotella intermedia strain originally isolated from cervicofacial actinomycosis. Korean J Microbiol 2019;55(1):58-60. https://doi.org/10.7845/kjm.2019.8097 

  13. Kang YM, Kim GY, Jung YH, Kim CH, Kim EC, Kim NJ, et al. A case of infectious spondylodiscitis due to Parvimonas Micra. Korean J Med 2012;82(5):632-6. https://doi.org/10.3904/kjm.2012.82.5.632 

  14. Kang YH, Kim SH, Jeon YS, Chang MT, Kim HS. A comparative study of periodontal conditions around mesially tipped molars by a tipping degree. J Periodontal Implant Sci 2002;32(1):51-9. 

  15. Sinn HB, Yun CY, Kim SM, Kim BO, Han KY. Clinical evaluation after periodontal flap surgery with without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J Periodontal Implant Sci 2001;31(1):233-42. https://doi.org/10.5051/jkape.2001.31.1.233 

  16. Zijnge V, van Leeuwen MB, Degener JE, Abbas F, Thurnheer T, Gmur R, et al. Oral biofilm architecture on natural teeth. PloS one 2010;24;5:e9321.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09321 

  17. Bui FQ, Almeida-da-Silva CLC, Huynh B, Trinh A, Liu J, Woodward J, et al.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pathogens and systemic disease. Biomed J 2019;42(1):27-35. https://doi.org/10.1016/j.bj.2018.12.001 

  18. Kim JH, Lee DI, Im SU, Jeon ES, Song KB, Choi YH. Oral health condition according to distribution of periodontopathic bacterial complex. J Korean Acad Oral Health 2020;44(1):41-7. https://doi.org/10.11149/jkaoh.2020.44.1.41 

  19. Kawada M, Yoshida A, Suzuki N, Nakano Y, Saito T, Oho T, et al. Prevalence of Porphyromonas gingivalis in relation to periodontal status assessed by real-time PCR. Oral Microbiol Immunol 2004;19(5):289-92. https://doi.org/10.1111/j.1399-302X.2004.00154.x 

  20. Choi YH, Kosaka T, Ojima M, Sekine S, Kokubo Y, Watanabe M, et al.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of major periodontal bacteria and serum lipid profile in a cross-sectional Japanese study. BMC Oral Health 2018;18(1):77. https://doi.org/10.1186/s12903-018-0536-0 

  21. Yun JH, Park JE, Kim DI, Lee SI, Choi SH, Cho KS, et al. Identification of putative periodontal pathogens in Korean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J Periodontal Implant Sci 2008;38(2):143-52. https://doi.org/10.5051/jkape.2008.38.2.143 

  22. Kulekci G, Leblebicioglu B, Keskin F, Ciftci S, Badur S. Salivary detection of periodontopathic bacteria in periodontally healthy children. Anaerobe 2008;14:49-54. https://doi.org/10.1016/j.anaerobe.2007.08.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