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이용자의 치과 감염관리 인식과 경험에 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dental infection management awareness and experience of dental us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1, 2020년, pp.329 - 336  

김설희 (건양대학교 치위생학과) ,  오세리 (건양대학교 치위생학과) ,  이슬 (건양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목적은 치과이용자를 대상으로 감염관리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고 치과 감염관리 개선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2020년 7-8월, 20세 이상 198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감염관리 인식과 경험, 개선안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고, PASW Statistics ver 18.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과 이용자 91%가 감염관리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감염관리 인식에서 진료기구 멸균, 의료진 손 위생과 장갑교체가 높게 조사되었다. 의료진의 일회용가운 및 보안경 교체는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치과 의료진의 개인방호와 기구멸균은 수행을 잘하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표면소독과 수질관리는 개선이 요구되었다. 연구를 통해 치과이용자 관점의 감염 인식과 경험을 토대로 감염관리 개선을 제언하는데 의미가 있었고 치과 의료기관에서 질 높은 의료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infection control targeting dental users. During July-August 2020, 198 adults over the age of 20 were survey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experience, and improvem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ASW Statistic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부 대상자를 조사하여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감염관리 지침에 근거한 치과이용자 관점의 인식과 경험을 토대로 치과 의료기관 감염관리 개선을 제언하고 질적 진료의 필요성을 제언하는데 의미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치과이용자들이 치과 감염관리를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했는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질 높고 신뢰성 있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치과이용자를 대상으로 치과 의료기관의 의료진 개인보호, 표면, 환경, 수질 관리 및 환자협조를 포함한 치과감염관리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고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치과 감염관리 수행 개선안을 제언하고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치과이용자를 대상으로 치과 의료기관의 의료진 개인보호, 표면, 환경, 수질 관리 및 환자협조를 포함한 치과감염관리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고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치과 감염관리 수행 개선안을 제언하고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Xian Peng, Xin Xu, Yuqing Li, Lei Cheng, Xuedong hou. Biao Ren (2020). Transmission routes of 2019-nCoV and controls in dental practice, Int J Oral Sci. 3;12(1), 9 DOI: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054527/ 

  2. Centers for Diseases Control and Prevention (2005). DOI: https://www.cdc.gov/oralhealth/infectioncontrol/pdf/safe-care2.pdf 

  3. Jones RM, Brosseau LM. (2015). Aerosol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 J Occup Environ Med. 5;57(5), 501-508. DOI: https://pubmed.ncbi.nlm.nih.gov/25816216/ 

  4. Zi-Yu Ge, Lu-Ming Yang, Jia-Jia Xia, Xiao-Hui Fu, Yan-Zhen Zhan(2020). Possible aerosol transmission of COVID-19 and special precautions in dentistry. J Zhejiang Univ Sci B. 2020 May;21(5), 361-368. DOI: https://pubmed.ncbi.nlm.nih.gov/32425001/ 

  5. CDC: Guideline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healthcare facilities(2008). Retrieved August 1, 2017, DOI:https://www.cdc.gov/infectioncontrol/guidelines/disinfection/index.html 

  6. Y. K. Lee, S. D Kim (2010). About dentistry infection from dentistry medical institution recognition research of patient J Korean Soc Dent Hyg 10(4), 617-625. 

  7. Jonathan A Otter 1, Saber Yezli, James A G Salkeld, Gary L French (2013). Evidence that contaminated surfaces contribute to the transmission of hospital pathogens and an overview of strategies to address contaminated surfaces in hospital settings. Am J Infect Control. 41(5), S6-S11. DOI: https://pubmed.ncbi.nlm.nih.gov/23622751/ 

  8. A.M.G.A. Laheij,1, J.O. Kistler, G.N. Belibasakis, H. Valimaa, J.J. de Soet and European Oral Microbiology Workshop (2012) Healthcare-associated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in dentistry J Oral Microbiol. 4: 10.3402/jom.v4i0.17659. Published online 2012 Jun 12. DOI: https://pubmed.ncbi.nlm.nih.gov/22701774/ 

  9. H. Y. Yoon, S. Y. Lee(2015). Effects of Flushing in Dental Unit Waterlines on the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 J Dent Hyg Sci. 15(5), 659-665. DOI: http://dx.doi.org/10.17135/jdhs.2015.15.5.659 

  10. D. R. Choi, S. H. Kim(2015). The study on organization, infection controller, patient infection control of dental clinic in certain areas. J Dent Hyg Sci 15, 399-406. DOI: http://dx.doi.org/10.17135/jdhs.2015.15.4.399 

  11. S. H. Hwang (2017). Related factors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 by dental hygienists in some areas. AJMAHS. .7(7), 337-348. DOI: http://journal.hsst.or.kr/DATA/pdf/v7_7_31.pdf 

  12. U. K Lee, S. D. Kim (2009). Current conditions regarding dental infection management recognition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J Korean Soc Dent Hyg. 9.(3), 468-478. DOI: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9 23263073695.pdf 

  13. H. Y Choi, Y. S. Choi (2011). Actual state of dental hygienist's behavior for infection control during dental practice and radiologic examination J Korean Soc Dent Hyg, 11(2), 169-178 DOI:http://210.101.116.28/W_files/kiss61/1x200459_pv.pdf 

  14. M. A Sung, Y. S. Uk (2018). Infection Control practices in accordance characteristic of Dental institutions-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roun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299-307. DOI : https://doi.org/10.14400/JDC.2018.16.5.299 

  15. Y. N. Park (2017). The study of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for infection control during clinical trai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307-315. DOI: https://doi.org/10.14400/JDC.2017.15.11.307 

  16. H. N. Yoo, K. H. Kang (2013).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Dental Treatment Infection Control Standards of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2), 649-656. DOI: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649 

  17. Jihad Dagher, Charles Sfeir, Ahmad Abdallah, Zeina Majzoub (2017), Infection Control Measures in Private Dental Clinics in Lebanon. Int J Dent. 5057248. Published online 2017 May 31. DOI : https://doi.org/10.1155/2017/5057248 

  18. Ghada Alharbi, Noura Shono, Lamya Alballaa, Alaa Aloufi (2019). Knowledge, attitude and compliance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among dental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in KSU. BMC Oral Health. 9;19(1), 7. DOI :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186/s12903-018-0706-0 

  19. Jain M, Sawla L, Mathur A, Nihlani T, Ayair U, Prabu D, et al.(2010).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owards droplet and airborne isolation precautions amongs dental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India.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15(6), e957-e961. DOI : https://pubmed.ncbi.nlm.nih.gov/20526247/ 

  20. K. H. Lee, J. E. Yang, S. H. Moon, J. E. Kim (2017).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s about dental infection control of the dental patients. J Korean Soc Dent Hyg, 17(3), 343-354 DO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40326 

  21. Fung ICH, Cairncross S (2006). Effectiveness of handwashing in preventing SARS: a review. Trop Med Int Health, 11(11), 1749-1758. DOI:https://doi.org/10.1111/j.1365-3156.2006.01734.x 

  22. Feres M, Figueiredo LC, Faveri M, et a (2010). The effectiveness of a preprocedural mouthrinse containing cetylpyridinium chloride in reducing bacteria in the dental office. J Am Dent Assoc. 141(4), 415-422. DOI : https://pubmed.ncbi.nlm.nih.gov/20354090/ 

  23. Lu CW, Liu XF, Jia ZF (2020). 2019-nCoV transmission through the ocular surface must not be ignored. Lancet. 395(10224), PE39. DOI : https://pubmed.ncbi.nlm.nih.gov/32035510/ 

  24. Z. Y. Ge, L. M. Yang, J. J. Xia, X. H. Fu, Y. Z. Zhang (2020) Possible aerosol transmission of COVID-19 and special precautions in dentistry. J Zhejiang Univ Sci B. May;21(5), 361-368. DOI : https://pubmed.ncbi.nlm.nih.gov/32425001/ 

  25. G Kampf, D Todt, S Pfaender, E Steinmann (2020). Persistence of coronaviruses on inanimate surfaces and their inactivation with biocidal agents. J Hosp Infect, online ahead of print. DOI : https://pubmed.ncbi.nlm.nih.gov/32035997/ 

  26. S. H. Kim (2017). Survey of Staphylococcus epidermidis Contamination on the Hands of Dental Hygienists and Equipment Surface of Dental Clinics. J Dent Hyg Sci. 17(6), 472-480. DOI :https://doi.org/10.17135/jdhs.2017.17.6.4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